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장수보다 중요한 ‘노년 건강’…“예방 중심 대비책 필요해”

이투데이 조회수  

주한영국대사관·한국GSK, ‘Healthy Ageing Korea’ 포럼 공동 개최

한성주 기자 hsj@2일 서울 중구 주한영국대사관에서 개최된 ‘헬시 에이징 코리아(2024 Healthy Ageing Korea)’ 포럼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촬영 중이다. 왼쪽부터 조비룡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데이비드 싱클레어 국제롱제비티센터 소장, 임숙영 질병관리청 의료안전예방국장, 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 마우리치오 보르가타 한국GSK 대표, 김태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김진아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사무국장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의 건강 정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고령화 사회에 국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백신을 활용한 예방 중심의 건강정책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주한영국대사관과 한국GSK는 2일 서울 중구 주한영국대사관에서 ‘헬시 에이징 코리아(2024 Healthy Ageing Korea)’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영 양국 보건 전문가들은 국가예방접종 프로그램을 활용해 전 국민의 백신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는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에 따라 고령자를 보호하기 위한 예방대책은 영국과 한국을 비롯해 여러 국가에서 필수적인 과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예방접종이 질병의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국민과 지역사회를 보호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우리치오 보르가타 한국GSK 대표는 “기대 수명을 연장하는 것만큼, 최고의 상태로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국가에서는 의료서비스의 중점을 치료에서 예방으로 옮겨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의료 수요 급증에 대비하고, 국민 건강을 도모하는 포괄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접근성 낮은 성인 예방접종…“1달러 투자 시 19달러 효과”

첫 번째 연자로 나선 조비룡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영유아뿐 아니라 성인을 대상으로도 적극적인 예방접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예방접종은 고령화 사회에서 예방 가능한 질병을 감소시키는 가장 비용 효과적인 공중보건 중재 수단이지만, 성인은 소아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백신의 접근성이 떨어져 국가예방접종(NIP)으로 지원되지 않는 백신은 예방접종률이 상당히 낮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성인은 백신의 효과가 낮아 접종해도 소용이 없다는 오해가 적지 않으며 부작용에 대한 과도한 우려도 확산해 있어,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표를 진행한 데이비드 싱클레어 국제롱제비티센터 소장(하버드 의과대학원 유전학과 교수)은 성인 예방접종으로 고령화 사회의 고질적 문제인 의료비 증가와 건강 불평등을 일부 해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싱클레어 소장은 “성인 예방접종에 1달러를 투자하면 최대 19달러의 사회적 편익이 돌아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라며 “전 세계적으로 예방과 관련된 보건 예산이 많고, 1인당 예방접종에 투자하는 비용이 큰 국가는 국민 기대 수명과 삶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성인 예방접종이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이고, 고령화 사회에 모든 국민의 건강한 노화를 지지할 수 있는 필수적인 요소인 만큼, 대중적인 접근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성주 기자 hsj@2일 서울 중구 주한영국대사관에서 개최된 ‘헬시 에이징 코리아(2024 Healthy Ageing Korea)’ 포럼에서 데이비드 싱클레어 국제롱제비티센터 소장(가운데)이 청중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한정적 보건의료 재원, 선택과 집중 전략 고민해야

강연에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는 패널들이 계층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이 건강을 유지하는 ‘건강형평성’ 달성 방안을 모색했다.

토론에 참석한 김태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백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최대한 빠르게 널리 전달하고, 개인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정부와 전문가 집단이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라며 “보건의료 재원이 한정된 만큼, 정부는 선택과 집중이라는 정책적 접근 전략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아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사무국장은 “그간 정부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예방접종 사업을 추진해, 감염병에 더욱 취약할 수 있는 고령자와 기저질환자 및 면역저하자에 대한 관심은 부족했다”며 “전 국민이 예방접종에 접근할 수 있다면 취약 계층을 보호하고 지역 사회 내 질병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숙영 질병관리청 의료안전예방국장은 “한 번 NIP에 도입된 백신은 지속적으로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 지원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연구 결과와 전문가 의견에 근거해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라며 “도입 타당성이 검증된 백신중에서도 우선순위, 백신 수급 가능성,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투데이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Uncategorized] 랭킹 뉴스

  • 맥없이 무너진 전기 트럭… 1톤 화물차 시장, LPG가 주도권 잡아
  • “에어컨에서 하얀 가루가”.. 전기차 공세 시작한 BYD, 알고 보니 결함 덩어리?
  • 소파이(SOFI.O), 4분기 실적 상쇄 불구 전망치 하향 조정…주가 하락
  • 지멘스(SIE.TR), 추정치 상회한 분기 예비 매출 보고
  • 돈잔치 제대로 하고있다는 현재 은행들 "퇴직금만 10억이다..?"
  • “터질 것 같은데 제대로 터진 적 없다…여기서 반등 못하면 재능 없다” SK→삼성→키움→35세 저니맨 셀프 팩폭

[Uncategorized] 공감 뉴스

  • 이재명 2심 재판부 "2월 26일 결심공판"…빠르면 3월 말 선고 나올 듯
  • '이상한 이적설 그만 말해'…'리버풀의 미래' 득점 후 세리머니로 이적설 일축 "전 어디도 가지 않습니다"
  • ‘중국차 견제용?’.. 기아車, 다시 한번 꺼내든 3천만 원대 ‘SUV’
  • 8살 때 이혼한 엄마 찾다가 보육원까지 들어간 톱스타 연예인..
  • '트럼프 귀환' 업은 美 빅테크, 공세 더 세진다…AI·플랫폼 초비상
  • “테슬라 차주들 어쩌나..” 자율주행 결함에 200만대 전부 리콜한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캐스퍼 차주들 오열” 이 차 나오면 무조건 바꾼다 선언!
  • “오토바이 싹 다 난리” 정부, 이제 오토바이 제대로 잡겠다 선언!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리터당 22km 달리는 데 1810만원…."여보, 이 미니밴 꼭 사자"

    뉴스 

  • 2
    '충격' UCL에서 뛸 기회 잡았다! '맨유 문제아' 아스톤 빌라 임대 확정→'720억' 영입 옵션 포함

    스포츠 

  • 3
    트럼프, 加·中·멕시코에 전면관세 강행…글로벌 통상전쟁

    뉴스 

  • 4
    “뻔하지 않은 펀(FUN)한 실내 놀거리” 서울관광재단이 추천하는 서울 명소 추천

    여행맛집 

  • 5
    홈런왕이 업그레이드 됐다, 올해는 도루 예고 "공격적 주루 위해 5㎏ 뺐다"

    스포츠 

[Uncategorized] 인기 뉴스

  • 맥없이 무너진 전기 트럭… 1톤 화물차 시장, LPG가 주도권 잡아
  • “에어컨에서 하얀 가루가”.. 전기차 공세 시작한 BYD, 알고 보니 결함 덩어리?
  • 소파이(SOFI.O), 4분기 실적 상쇄 불구 전망치 하향 조정…주가 하락
  • 지멘스(SIE.TR), 추정치 상회한 분기 예비 매출 보고
  • 돈잔치 제대로 하고있다는 현재 은행들 "퇴직금만 10억이다..?"
  • “터질 것 같은데 제대로 터진 적 없다…여기서 반등 못하면 재능 없다” SK→삼성→키움→35세 저니맨 셀프 팩폭

지금 뜨는 뉴스

  • 1
    “이 車가 테슬라·포르쉐를 넘었다?”… 혹한에서도 압도적인 성능에 전 세계 ‘화들짝’

    차·테크 

  • 2
    56세 신현준이 눈물 콧물 범벅될 정도로 그리워하는 한 사람: 보는 사람도 울컥한다(전참시)

    연예 

  • 3
    과자봉지 뜯기 정석 vs 배가르기 vs 넥슬라이스 vs 기타

    뿜 

  • 4
    떡국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먹는 과학적 이유

    뿜 

  • 5
    템플스테이에 대해 알아보면서 깨진 편견들

    뿜 

[Uncategorized] 추천 뉴스

  • 이재명 2심 재판부 "2월 26일 결심공판"…빠르면 3월 말 선고 나올 듯
  • '이상한 이적설 그만 말해'…'리버풀의 미래' 득점 후 세리머니로 이적설 일축 "전 어디도 가지 않습니다"
  • ‘중국차 견제용?’.. 기아車, 다시 한번 꺼내든 3천만 원대 ‘SUV’
  • 8살 때 이혼한 엄마 찾다가 보육원까지 들어간 톱스타 연예인..
  • '트럼프 귀환' 업은 美 빅테크, 공세 더 세진다…AI·플랫폼 초비상
  • “테슬라 차주들 어쩌나..” 자율주행 결함에 200만대 전부 리콜한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캐스퍼 차주들 오열” 이 차 나오면 무조건 바꾼다 선언!
  • “오토바이 싹 다 난리” 정부, 이제 오토바이 제대로 잡겠다 선언!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추천 뉴스

  • 1
    리터당 22km 달리는 데 1810만원…."여보, 이 미니밴 꼭 사자"

    뉴스 

  • 2
    '충격' UCL에서 뛸 기회 잡았다! '맨유 문제아' 아스톤 빌라 임대 확정→'720억' 영입 옵션 포함

    스포츠 

  • 3
    트럼프, 加·中·멕시코에 전면관세 강행…글로벌 통상전쟁

    뉴스 

  • 4
    “뻔하지 않은 펀(FUN)한 실내 놀거리” 서울관광재단이 추천하는 서울 명소 추천

    여행맛집 

  • 5
    홈런왕이 업그레이드 됐다, 올해는 도루 예고 "공격적 주루 위해 5㎏ 뺐다"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이 車가 테슬라·포르쉐를 넘었다?”… 혹한에서도 압도적인 성능에 전 세계 ‘화들짝’

    차·테크 

  • 2
    56세 신현준이 눈물 콧물 범벅될 정도로 그리워하는 한 사람: 보는 사람도 울컥한다(전참시)

    연예 

  • 3
    과자봉지 뜯기 정석 vs 배가르기 vs 넥슬라이스 vs 기타

    뿜 

  • 4
    떡국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먹는 과학적 이유

    뿜 

  • 5
    템플스테이에 대해 알아보면서 깨진 편견들

    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