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만년 3위’ 마이크론의 반격 “6세대 HBM4 내년 상반기 공개”

서울경제 조회수  

'만년 3위' 마이크론의 반격 '6세대 HBM4 내년 상반기 공개'
프라빈 바이댜나탄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부사장이 대만 타이베이 TFC타워에서 개최된 ‘컴퓨텍스 2024’ 기자회견에서 회사의 제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강해령 기자

'만년 3위' 마이크론의 반격 '6세대 HBM4 내년 상반기 공개'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컴퓨텍스 2024 전시 부스에서 공개한 HBM3E. 사진=강해령 기자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6세대 HBM(HBM4) 칩을 내년 상반기에 처음으로 공개한다. 계획대로 될 경우 현재 HBM 1위인 SK하이닉스, 2위 삼성전자와의 기술 격차를 뒤집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마이크론은 이미 5세대 8단 HBM(HBM3E)에서도 삼성전자보다 양산 시기를 앞지르는 저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마이크론에서 D램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프라빈 바이댜나탄 부사장은 5일(현지 시간) 대만 타이베이 TFC타워에서 개최된 ‘컴퓨텍스 2024’ 기자 간담회 현장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HBM4 샘플을 내년 상반기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바이댜나탄 부사장이 밝힌 계획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HBM4 양산 계획을 2025년이라고 발표한 것보다 더 구체적이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보다 개발을 앞당기겠다는 마이크론의 의지도 강해 양산 시점이 경쟁사보다 빠를 수도 있다.

최근 공개한 5세대 HBM(HBM3E)에 대해서도 자신감이 넘쳤다. 그는 “내년 양산할 계획인 마이크론의 12단 HBM3E는 업계 최고의 성능을 가진 제품”이라며 “4세대 제품(HBM3) 양산까지 늘어나면 HBM 시장에서 우리가 목표로 했던 23~25% 점유율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미국에 본사를 둔 메모리 회사 마이크론은 전체 D램 시장에서 약 25%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2000년대 초 글로벌 D램 치킨게임에서 살아남아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 이어 ‘세계 D램 3강’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만년 3위' 마이크론의 반격 '6세대 HBM4 내년 상반기 공개'

하지만 HBM 시장에서는 기술력과 생산능력 면에서 후발 주자다. 마이크론의 현재 HBM 시장 점유율은 3~5%에 불과하고 지난해 기준 HBM 생산능력은 SK하이닉스의 6.7%(12인치 웨이퍼 기준)에 그치면서 월 3000장 정도 만들어내고 있다.

하지만 마이크론의 저력은 무섭다. 마이크론은 2022년 챗GPT 등 생성형 AI가 출현한 후 HBM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자 3세대 HBM(HBM2E)에서 4세대(HBM3) 개발을 건너뛰고 곧바로 5세대 HBM3E 연구에 뛰어드는 강수를 뒀다. 이 전략은 적중했다. 2월 라이벌 회사인 삼성전자보다 빠르게 HBM3E 8단 제품 양산에 돌입했다고 알리면서 업계를 깜짝 놀라게 한 것이다. 마이크론 측은 이 발표를 하면서 “HBM3E 8단은 엔비디아가 2023년 11월 공개한 ‘H200’ 그래픽처리장치(GPU)에 탑재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세계 최대 AI 반도체 업체인 엔비디아로부터 성능을 보장받으면서 HBM 공급망의 실력자로 거듭났다는 것을 시장에 알린 것이다.

업계에서는 마이크론의 HBM 생산능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원가 경쟁력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하지만 마이크론은 생산능력까지 빠르게 늘려나가며 한국 경쟁사들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대만 타이중을 중심으로 새로운 HBM 라인을 확충하고 있다. 타이중 후공정 공장 내부에서 반도체 테스트 설비가 있던 한 개 층을 HBM 생산 설비로 전격 교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마이크론의 HBM 생산능력은 월 2만 5000장으로 SK하이닉스 생산능력(월 4만5000장)의 55%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대만 공장뿐 아니라 미국 뉴욕주 클레이, 일본 히로시마에도 HBM 팹을 건설할 예정이다. 이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마이크론은 최근 HBM 설비투자액을 늘리기로 했다. 지난달 매슈 머피 마이크론 최고재무책임자(CFO)는 “HBM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올해 자본지출(CAPEX)을 75억 달러(약 10조 2697억 원)에서 80억 달러(약 10조 9544억 원)로 상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마이크론의 참전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위주로 돌아가던 시장의 균열을 의미한다. 앞으로 3개 회사의 HBM 생산량이 늘어나는 만큼 기술 경쟁뿐 아니라 단가 경쟁까지 치열하게 벌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엔비디아의 수장인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 역시 HBM 공급망의 변화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 황 CEO는 4일 대만 타이베이 그랜드하이라이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세 곳은 모두 우리에게 HBM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크론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차세대 그래픽용 메모리인 GDDR7 칩을 소개했다. 정보 전달 속도를 나타내는 대역폭이 GDDR6보다 60%나 증가했고 전작보다 전력 효율이 50%나 증가했다. 컴퓨텍스 2024에서 전시 부스를 운영한 SK하이닉스 역시 관람객들에게 GDDR7 D램을 선보였다.

서울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Uncategorized] 랭킹 뉴스

  • 맥없이 무너진 전기 트럭… 1톤 화물차 시장, LPG가 주도권 잡아
  • “에어컨에서 하얀 가루가”.. 전기차 공세 시작한 BYD, 알고 보니 결함 덩어리?
  • 지멘스(SIE.TR), 추정치 상회한 분기 예비 매출 보고
  • 소파이(SOFI.O), 4분기 실적 상쇄 불구 전망치 하향 조정…주가 하락
  • 돈잔치 제대로 하고있다는 현재 은행들 "퇴직금만 10억이다..?"
  • “터질 것 같은데 제대로 터진 적 없다…여기서 반등 못하면 재능 없다” SK→삼성→키움→35세 저니맨 셀프 팩폭

[Uncategorized] 공감 뉴스

  • 이재명 2심 재판부 "2월 26일 결심공판"…빠르면 3월 말 선고 나올 듯
  • '이상한 이적설 그만 말해'…'리버풀의 미래' 득점 후 세리머니로 이적설 일축 "전 어디도 가지 않습니다"
  • ‘중국차 견제용?’.. 기아車, 다시 한번 꺼내든 3천만 원대 ‘SUV’
  • “테슬라 차주들 어쩌나..” 자율주행 결함에 200만대 전부 리콜한다
  • “안 사는 걸 어떡해요” 제네시스 GV60, 특단의 조치에 ‘깜짝’
  • '트럼프 귀환' 업은 美 빅테크, 공세 더 세진다…AI·플랫폼 초비상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 “결국 중국에 꼬리 내린 현대차” 가성비 전기차 공세에 파격 할인 돌입!
  • “1,026만 원 줄게, 지프랑 푸조 살래?” 스텔란티스코리아의 파격 결정
  • “음주단속 면제냐? 분노 폭발” 인천시의원, 매달 550만 원 받는다
  • “미국에서 난리난 기아 K4” 국내 출시는 대체 언제?
  • “정신 못 차린 아우디” 혼란스러운 네이밍 정책 또 바뀐다!
  • “진짜 부수고 싶다” 민폐 1위 전동킥보드, 이제 과태료 먹나
  • “드디어 현대차 꺾은 쉐보레” 2년 연속 국내 1위한 비결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전기차 캐즘에도 한국타이어 질주…실적 신기록 행진[biz-플러스]

    차·테크 

  • 2
    DS, 하이엔드 럭셔리로 ‘생존’ 돌파구 찾을까?

    차·테크 

  • 3
    칸예 웨스트♥비앙카 센소리, 충격의 나체쇼로 290억 날렸다[해외이슈](종합)

    연예 

  • 4
    "이소영, 진짜 열심히 했는데" 21억 통 큰 투자, 어깨가 말썽일 줄이야…70세 노감독 안타까움, 10G 반전 가능한가

    스포츠 

  • 5
    TB는 현재 '김하성 앓이' 중, 니엔더 사장 "보는 재미 있는 선수"…'ML 342HR' 팀 레전드도 언급

    스포츠 

[Uncategorized] 인기 뉴스

  • 맥없이 무너진 전기 트럭… 1톤 화물차 시장, LPG가 주도권 잡아
  • “에어컨에서 하얀 가루가”.. 전기차 공세 시작한 BYD, 알고 보니 결함 덩어리?
  • 지멘스(SIE.TR), 추정치 상회한 분기 예비 매출 보고
  • 소파이(SOFI.O), 4분기 실적 상쇄 불구 전망치 하향 조정…주가 하락
  • 돈잔치 제대로 하고있다는 현재 은행들 "퇴직금만 10억이다..?"
  • “터질 것 같은데 제대로 터진 적 없다…여기서 반등 못하면 재능 없다” SK→삼성→키움→35세 저니맨 셀프 팩폭

지금 뜨는 뉴스

  • 1
    다이어가 김민재-우파메카노 제쳤다…분데스리가 월간 베스트11 선정

    스포츠 

  • 2
    “40·40 vs 45홈런” KIA 김도영·위즈덤 홈런쇼 예고…09김상현·최희섭 넘어 99이승엽·14강정호 ‘나와’

    스포츠 

  • 3
    ‘불황 효자’ 트레이더스, 작년 영업익 1000억 첫 돌파… 점포당 매출은 이마트의 2배

    뉴스 

  • 4
    아이오닉9 가격으로 승부수… EV9·팰리세이드 어쩌나

    차·테크 

  • 5
    [센서스 100년]③ “韓 최초 컴퓨터가 센서스 위해 도입된 것 아세요?… 이젠 AI도 씁니다”

    뉴스 

[Uncategorized] 추천 뉴스

  • 이재명 2심 재판부 "2월 26일 결심공판"…빠르면 3월 말 선고 나올 듯
  • '이상한 이적설 그만 말해'…'리버풀의 미래' 득점 후 세리머니로 이적설 일축 "전 어디도 가지 않습니다"
  • ‘중국차 견제용?’.. 기아車, 다시 한번 꺼내든 3천만 원대 ‘SUV’
  • “테슬라 차주들 어쩌나..” 자율주행 결함에 200만대 전부 리콜한다
  • “안 사는 걸 어떡해요” 제네시스 GV60, 특단의 조치에 ‘깜짝’
  • '트럼프 귀환' 업은 美 빅테크, 공세 더 세진다…AI·플랫폼 초비상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 “결국 중국에 꼬리 내린 현대차” 가성비 전기차 공세에 파격 할인 돌입!
  • “1,026만 원 줄게, 지프랑 푸조 살래?” 스텔란티스코리아의 파격 결정
  • “음주단속 면제냐? 분노 폭발” 인천시의원, 매달 550만 원 받는다
  • “미국에서 난리난 기아 K4” 국내 출시는 대체 언제?
  • “정신 못 차린 아우디” 혼란스러운 네이밍 정책 또 바뀐다!
  • “진짜 부수고 싶다” 민폐 1위 전동킥보드, 이제 과태료 먹나
  • “드디어 현대차 꺾은 쉐보레” 2년 연속 국내 1위한 비결은?

추천 뉴스

  • 1
    전기차 캐즘에도 한국타이어 질주…실적 신기록 행진[biz-플러스]

    차·테크 

  • 2
    DS, 하이엔드 럭셔리로 ‘생존’ 돌파구 찾을까?

    차·테크 

  • 3
    칸예 웨스트♥비앙카 센소리, 충격의 나체쇼로 290억 날렸다[해외이슈](종합)

    연예 

  • 4
    "이소영, 진짜 열심히 했는데" 21억 통 큰 투자, 어깨가 말썽일 줄이야…70세 노감독 안타까움, 10G 반전 가능한가

    스포츠 

  • 5
    TB는 현재 '김하성 앓이' 중, 니엔더 사장 "보는 재미 있는 선수"…'ML 342HR' 팀 레전드도 언급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다이어가 김민재-우파메카노 제쳤다…분데스리가 월간 베스트11 선정

    스포츠 

  • 2
    “40·40 vs 45홈런” KIA 김도영·위즈덤 홈런쇼 예고…09김상현·최희섭 넘어 99이승엽·14강정호 ‘나와’

    스포츠 

  • 3
    ‘불황 효자’ 트레이더스, 작년 영업익 1000억 첫 돌파… 점포당 매출은 이마트의 2배

    뉴스 

  • 4
    아이오닉9 가격으로 승부수… EV9·팰리세이드 어쩌나

    차·테크 

  • 5
    [센서스 100년]③ “韓 최초 컴퓨터가 센서스 위해 도입된 것 아세요?… 이젠 AI도 씁니다”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