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앞두고 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위한 범부처 논의 ‘본격화’[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산업 전반에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미국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범부처 논의가 본격화된다.정부는 27일 “글로벌 통상·산업 환경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관계부처 합동으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운영계획’을 발표했다.먼저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기존 기업 구조조정 외에 산업 체질 개선 방안까지 논의하는 회의체로 확대개편한다.차관 주재로 기존 기업구조조정 분과에 더해 총괄 분과와 기술분과, 산업분과, 혁신분과, 기반시설 분과를 추가
2000년 이후 연간 경제성장률 ‘마이너스’는 코로나19 2020년뿐…경제 우려에 소비자심리지수도 ‘뚝’[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을 앞두고 산업계에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내년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2%대에서 1%대까지 추락할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이미 트럼프 당선인은 내년 취임 직후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들여오는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물리고 중국에도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할 것이라고 공개 선언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교역에서 흑자를 내는 상황이기 때문에 표적이 될지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앞서 국제통화기금(IMF) 한국미션단도 지난주 연례협의 결과발표에서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2%에서 2.
'멕시코 25% 관세' 트럼프 쇼크, 국내 자동차·가전업계 직격탄[더퍼블릭=오두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취임 첫날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중국에 이어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트럼프 당선인의 선언은 국내 기업들에게 폭탄 선언과 마찬가지다.이미 국내 기업들은 북미를 겨냥한 제품 생산기지로 멕시코에 많이 진출해 있기 때문이다. 이들 기업 대부분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강도 높게 진행된 대중 무역 제재를 피해 미국과 무관세 협정을 맺은 멕시코로 넘어왔었다.하지만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내년)
트럼프 행정부, 반도체 지원금 "모두 재검토"...삼성·SK 어쩌나[더퍼블릭=오두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과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지원금 지급과 관련해 마찰을 빚고 있다.비벡 라마스와미는 26일(현지시간) 엑스에 올린 글에서 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의 폴리티코 인터뷰를 거론하고서 “매우 부적절하다. 그들은 정권 인수 전에 지출(반도체 지원금 지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기업인 출신 라마스와미는 내년 1월 20일 출범하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와 함께 '정부효율부'(DOGE)를 이끈다.트럼프 당선인은 두 기업인이 신설되는 DOGE를 이끌며
‘탈(脫) 국장’ 현상만 있다?…증권가 “외인, 삼성전자 파는 대신 기계·조선·유틸리티 9000억 순매수”[더퍼블릭=김미희 기자]국내 증시가 미국 대선 뒤 ‘트럼프 쇼크’에 휘청이면서 한국 주식 대신 미국 주식으로 자금이 쏠리는 ‘탈(脫) 국장’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국장을 선택하면 ‘바보’라는 평가도 나온다.16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세이브로)에 따르면 13일 기준 국내 투자자들이 보유한 미국 주식 보관잔액은 1017억4600만달러(약 142조5718억원)로 한 주 전(7일) 1013억6570만달러보다 3억8030만달러 늘었다.이는 삼성전자의 같은 날 기준 시가총액 302조709억원의 47.2%에 달하며, 코스피 2위인 SK
‘대왕고래’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첫 시추선 12월 중순께 ‘본격화’…“전세계서 자재들 들어온다”[더퍼블릭=김미희 기자]‘대왕고래’로 알려진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위한 첫 시추선이 오는 12월 중순 대왕고래 유망구조 해역에서 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나올 첫 탐사시추 결과는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우선 가늠할 첫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이러한 가운데, 정부는 27일 개발전략회의에서 석유공사의 시추계획을 최종 검토한다. 정부 및 석유공사 등에 따르면 동해 심해 가스전에는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산업부는 이달 중으로 안덕근 장관 주재로 민간 전문가들이 함께
‘변곡점’ 맞은 국내 증시…역사적 저점에 금주 ‘매수 타이밍’ 나올까[더퍼블릭=김미희 기자]코스피가 금일 상승폭을 확대하면서 장중 2,540선을 넘어선 가운데, 이번주 증시 반등 여부에 시선이 쏠린다.이날 오전 11시 9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6.96포인트(1.48%) 오른 2,538.20을 나타냈다.지수는 전장보다 22.87포인트(0.91%) 오른 2,524.11로 출발해 오름폭을 점차 넓히고 있다. 장중 한때 2,540.62로 2,540선을 회복하기도 했다.기관이 1882억원어치를 순매수하고 있고, 순매도로 장을 시작했던 외국인이 방향을 전환, 328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개인은
기준금리 올리자니 경제위축, 내수 부진…내리자니 가계부채 우려에 고심 커지는 한은[더퍼블릭=김미희 기자]28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3.25%)에서 유지할지, 조정할지 결정할 예정인 가운데 시선이 쏠리고 있다.앞서 10월 11일 금통위는 0.25%포인트(p) 인하로 3년 2개월 만에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선 바 있다. 다만 당시에도 한은은 늘어나는 가계대출에 대해 ‘우려’가 컸는데 이번 금통위에서는 어떠한 결정을 내릴지 예의주시 되는 상황이다.현재 3분기 성장률이 0.1%에 이를 만큼 경기가 좋지 않고, 트럼프 재선으로 내년 수출 둔화 등까지 예상되는
중국만 문제가 아니다…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시 미국만 ‘홀로’ 성장[더퍼블릭=김미희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2기 행정부 인선에 공을 들이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집권 2기가 시작되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의 자금이 이동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집권 2기 행정부를 구성하는 데 거침없이 속도를 내고 있다.대선일 다음 날인 지난 6일(현지시간) 승리를 확정한 때부터 23일까지 3주도 되지 않아 새로운 행정부 내각과 백악관 주요 인선을 거의 마무리했다.특히 이번 대선에서 전면에 내세운 캐치프레이즈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
국내 조선업 추켜세운 ‘트럼프’에 조선株 ‘질주’…친환경정책 후퇴 기조에 ‘강점’ 기술력 약화 우려도[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2기 행정부가 무역수지 적자 해소를 목표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맹국들까직도 관세로 압박하고, 자국 내 각종 보조금을 축소할 계획에 산업 전반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다만,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윤석열 대통령과의 지난 7일 첫 통화에서 뜻밖에 한국과의 군 항공정비(MRO)를 포함한 조선 산업 협력 문제를 화두로 꺼내면서 조선산업 만큼은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대통령 당선 후 윤 대통령과 첫 통화에서 ‘조선업’을 꼭 집어 말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통화에서 “한
이미 ‘산타랠리’ 올라탄 美 증시, 국내 증시도 ‘반등’ 할까[더퍼블릭=김미희 기자]국내 주식 시장에서 크리스마스를 전후한 연말과 신년 초에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는 ‘산타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미 시장이 저평가가 된 만큼 매수 타이밍이라는 기대가 이어지기 때문이다.뉴욕증시는 이미 연말 랠리에 올라탄 모습이다. 간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40.06포인트(0.99%) 오른 44,736.57로 마감해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8.03포인트(0.30%) 상승한 5,987.37에, 나스닥 지수는 51.18포인트(0.2
상법 개정 멈춰달라며 공동성명 낸 재계…“교각살우(矯角殺牛) 우 범해서는 안 될 것“[더퍼블릭=김미희 기자]더불어민주당이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주주 권리를 확대한다는 취지로 발의한 상법 개정안에 대해 재계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상법 개정은 이사에 대한 소송 남발을 초래하고, 해외 투기자본의 경영권 공격 수단으로 악용돼 기업 경쟁력을 훼손한다는 것이 반대 주장으로, 재계는 국내 4대 그룹 사장단의 긴급 성명 등으로 이러한 개정안 통과를 저지할 계획이다.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 국내 기업들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2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FKI)와 국내 주요 기업
“가상화폐 이제 온기 돌았다”…트럼프 효과로 비트코인 ‘랠리’ 이어지는데 가상자산 ‘과세’ 두고 與野 ‘줄다리기’[더퍼블릭=김미희 기자]친가상화폐 대통령을 자임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가상화폐 시장이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기존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우려로 여러 규제가 작동되던 것과는 달리 트럼프 당선인의 경우 가상화폐 시장의 여러 규제를 철폐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이에 가상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 또한 연일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미국뿐만 아니라 국내 자금 또한 해외주식에 이어 가상화폐 시장으로 흘러들어가는 머니무브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이에 내년 시행 예정인 가상자산 과세를 놓고도 여야가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공모주 한파에 트럼프發 우려까지…IPO 시장 ‘초토화’[더퍼블릭=김미희 기자]백종원 대표의 더본코리아가 지난 6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첫날 쾌조의 출발을 하면서 최근 부진에 빠진 공모주 시장에 ‘온기’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많았지만 상장 이후 ‘최저가’를 찍는 등 여전히 침체를 이어가고 있다.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50분 기준 더본코리아는 3만8800원을 기록하며 지난주 3만 8950원보다 더 떨어졌다가 다소 반등했다. 금일 오전 9시 50분 기준3만9200원으로 전일 대비 350 원(+0.90%) 상승중이다.이처럼 공모주 시장에 모처럼 대어인 ‘더본코리아’가 등장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