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economics Archives - Page 3 of 9 - 뉴스벨

#economics (164 Posts)

  • 트럼프 ‘후광효과’ 꺼졌나…美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 낮아지자 가상화폐 상승분 또 ‘반납’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친가상화폐 대통령을 자임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으로 변하면서 비트코인을 필두로 하는 가상화폐 시장이 승승장구 했지만 갈수록 분위기가 반전되는 형국이다.트럼프 당선인의 가상화폐에 대한 러브콜에는 변함이 없지만 미국의 경제지표가 모두 호조를 나타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동결 가능성을 높인 것이 가상화폐 입장에서는 ‘악재’가 된 것이다.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가격이 7일(현지시간) 큰 폭으로 하락했다. 가상화폐정보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10분(미 동부시간) 기준 비트코
  • 오는 20일 열리는 도널드 트럼프 美 대통령 취임식에 정용진‧허영인·우오현 회장 ‘참석’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오는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인들도 취임 참석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8일 재계에 따르면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은 트럼프 취임식과 당일 저녁에 열릴 무도회에 모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무도회에는 트럼프 부부도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재계 인사 중에 무도회에 참석하는 것은 정 회장이 유일한 것으로 전해졌다. ‘VIP’만 모이는 무도회에 참석하려면 당선인 취임위원회나 공화당 측 핵심 인사의 초청을 받아야 한다.정 회장은 트럼프 당선인의 장남인 트럼프 주
  • 트럼프 관세 우려에 원‧달러 환율 1,464원 터치‥美 자국 우선주의에 각국 ‘초비상’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트럼프 당선인이 공언해온 ‘관세’ 정책에 대해 전 세계의 시선이 쏠린 가운데, 트럼프 당선인이 보편관세를 위해 ‘국가 경제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원‧달러 환율도 다시 상승했다.8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은 4명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동맹과 적을 가리지 않는 ‘보편 관세’ 부과를 정당화하기 위해 ‘국가 경제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이 같은 소식이 이어지자
  • “신제품은 마이크론과”…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폭탄 발언에 반도체株 ‘고심’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CES 2025’ 기조연설에서 신제품에 마이크론 칩을 탑재한다고 밝히면서 반도체 주가가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이에 따라 장 초반 상승하던 삼성전자(-0.89%), SK하이닉스[000660](-2.40%)가 하락 전환하면서 지수 상단을 제한하는 흐름을 보이기도 했다.특히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CES 2025’에서 신기술을 선보였지만 기대감보다 실망감이 더 큰 영향에 엔비디아 주가가 6% 넘게 급락하면서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1.8% 하락했다.여기에 삼성전자긔
  • 트럼프, 親가상화폐 정책 왜 나오나 봤더니…재정적자 ‘확대’ 따른 기축통화 ‘신뢰도’ 하락 맞대응?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친 가상화폐 대통령임을 자임하고 있는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이후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시장이 연일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실제로 지난 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통령 당선이 미 의회에서 공식 인증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해 10만달러선을 탈환하기도 했다.지난달 초 7만달러를 밑돌았던 비트코인 가격은 “친(親) 비트코인 대통령이 되겠다”고 공약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대선 승리 이후 상승세를 탔고 대선 승리 약 한 달 만에 10만달러 선까지 넘어섰다.
  • 친가상화폐 정책에 우후죽순 ‘밈 코인’…엔비디아發 강세에 AI 테마까지 입고 ‘등장’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친 가상화폐 대통령임을 자임하고 있는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이후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시장이 연일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실제로 지난 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통령 당선이 미 의회에서 공식 인증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해 10만달러선을 탈환하기도 했다.올해 초 5만 달러를 밑돌았던 것과 비교하면 100% 넘게 오르면서 너나 할 것 없이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드는 분위기다.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에 친가상화폐 인사들이 대거 기용되면서 이제는 가상화폐를 넘어 각종 밈
  •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앞두고 지난해 FDI 신고액 역대 최다…韓美 FTA 통해 보호무역 우회 ‘흐름’ 해석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해 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산업에 외국인 투자가 늘어나면서 외국인직접투자(FDI) 신고액이 역대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과 중국의 투자가 돋보였다.현재 중국의 경우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그간의 미중간의 무역갈등이 더 커질 것으로 예고되는 가운데 중국이 국내 투자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상태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이차전지소재 등 분야에 전략적으로 투자해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로도 읽힌다.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 퇴직연금 수익 난다는데, 어디 투자?…美 ETF ‘주목’, 단 2차전지 등 하락 종목 꼼꼼히 따져야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해 10월, 약 400조원에 달하는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가 ‘본격화’ 되면서 은행사, 증권사들 너나 할 것 없이 퇴직연금 시장에 뛰어든 바 있다.올해에도 각축전이 치열할 것으로 예고되는데 이는 퇴직연금 상품을 원금보장형 상품으로 두기도 하지만 ‘수익률’을 내기 위해 은행이나 증권사로 이동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존에는 퇴직연금 계좌를 다른 사업자로 이전하려면 기존 상품의 해지에 따른 비용과 펀드 환매 후 재매수 과정에서 금융시장 상황변화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었다.앞으로는 기존 상품을 매도하지 않
  • 글로벌 투자은행들도 韓 경제성장률 ‘우려’…2년 연속 1%대 성장률은 1953년 이후 ‘전례’ 없어 [더퍼블릭=김미희 기자]계엄 후폭풍이 아직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경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글로벌 투자은행(IB)들도 국내 경제가 올해 저성장 국면에 놓일 것으로 예측했다. 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관세정책을 이어가겠다고 공언한 만큼 인플레이션 압력에 놓일 것으로도 예측했다.특히 해외 투자은행들은 내년에도 평균 1.8% 수준의 성장률을 예상했다. 한국 경제가 2년 연속 1%대의 저조한 성장률을 기록하는 것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53년 이후 전례 없다는 점에서 저성장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7일 국
  • “자사주 공개매수 배임으로 보기 어려워”…재판부가 ‘손’ 들어준 고려아연, 임시주총서 ‘힘’ 받나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영풍·MBK파트너스(이하 MBK) 연합과 경영권 분쟁 중인 고려아연이 이번 달 23일 열리는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한다. 이번 임시주총에서는 고려아연과 영풍·MBK 연합이 경영권을 놓고 표 대결을 펼칠 예정이다.이와 관련 고려아연은 1일 신년 인사를 겸해 오는 23일 열리는 임시 주주총회 지지를 호소하는 주주 서한을 잇달아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이 주주서한에는 경영권 분쟁을 겪고 있는 최대 주주 영풍과의 실적을 비교하며 주주들의 현명한 선택을 요청했다.최 회장은 고려아연이 99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가고 있
  • No.1 두고 ‘치열한’ 경쟁…미래에셋증권 ‘수성’ vs 한국투자증권 ‘도전장’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해 국내 증시가 유례 없는 약세장을 이어왔지만 올해 ‘반등’을 꾀하는 가운데 증권사들도 올해 새로운 도약을 다짐하고 나섰다.미래에셋증권은 2일 “올해도 고객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면서 핵심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혁신과 도전을 지속해나가겠다”고 밝혔다.김미섭·허선호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 부회장은 이날 신년사를 통해 “글로벌 WM(자산관리)과 연금 비즈니스를 중점적으로 추진하면서, IB(기업금융)·PI(자기자본투자)·Trading 수익을 강화하여 회사의 전반적인 수익 레벨을 끌어올리겠다
  • 이미 심리적 마지노선 넘고 1,470원 웃돌아…“1,450원 넘은 당시는 IMF와 외환위기뿐 [더퍼블릭=김미희 기자]금일 원‧달러 환율이 6일 중국 위안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장 초반 상승해 1,470원을 웃돌았다. 이미 심리적 방어선은 넘어선지 오래내 일각에서는 1,500원이 ‘뉴노멀’이라는 평가도 나온다.지난해 말 1,480원대까지 치솟았던 원‧달러 환율은 정치적 불안이 완화된다면 점차 하락하겠지만 상반기까지는 1,400원대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비상계엄 후폭풍에 이어 탄핵 정국에 이르기까지 정치적 불확실성이 나아지고 있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이처럼 국내 원달러 환율 상승에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자리하는데
  • 실적 좋은데, 주식 왜 도돌이표?…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 두고 투자자들 ‘갸웃’ [더퍼블릭=김미희 기자]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옛 현대상선)의 주가가 전세계 주요 해운사 가운데 가장 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는 지적이 나왔다.6일 한국경제 보도에 따르면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3일 종가 기준 현대상선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57배로 세계 10대 해운사 가운데 최하위권이었다고 보도했다.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이다. PBR 1배 미만은 시가총액이 회사를 청산한 가치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하는데, 주주 입장에서는 HMM을 상장폐지해서 자산을 나눠갖는 편
  •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두고 세계 각국 ‘논의’ 한창이지만 국내 全無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친가상화폐 대통령을 주장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시시각각 다가오는 가운데,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 달러나 유로 등에 교환가치가 고정되도록 설계된 가상화폐를 말한다.트럼프 당선인은 2기 행정부에서 달러와 가치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활성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가상화폐 업계는 이번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을 크게 지원한 바 있다.다만 6일 세계일보 보도에 따르면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테더(US
  • 중기중앙회, ‘중소기업인 신년인사회’ 개최…최상목·우원식 등 한자리에 [더퍼블릭=조두희 기자]중소기업중앙회는 3일 여의도 중기중앙회 KBIZ홀에서 전국의 업종·지역별 중소기업 대표와 중소기업 단체, 정부·국회 등 각계 주요인사 400여 명을 초청해 ‘2025 중소기업인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현재 대한민국 행정부와 입법부 수장 역할을 맡고 있는 최상목 권한대행과 우원식 국회의장이 한자리에 모여 눈길을 끌었다.‘중소기업인 신년인사회’는 새해를 맞아 중소기업인들이 대한민국 경제의 재도약을 다짐하고 정부와 국회, 유관기관과 함께 한 해의 청사진을 그리는 중소기업계 신년하례의 장이다
  • “조직 바꾸고 종투사 준비”…부동산 PF 수익내던 증권사들, 올해 IB 분야 ‘강화’ [더퍼블릭=김미희 기자]2025년 새해가 시작되면서 코스피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최근 증권사들이 IB부문 수장을 교체하고 조직을 개편하는 등 전통 기업은행(IB) 강화를 위한 재정비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이는 앞서 수년간 수익률을 내왔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주춤해지자 전통 IB 분야에서 실적 개선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이에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및 초대형 투자은행(IB) 진입을 위한 준비 혹은 사업 확장을 위한 움직임으로도 풀이된다.SK증권은 2일 WM(자산관리)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영업점을
  • 멕시코 관세 ‘공언’으로만 글로벌 주식 ‘곤두박질’ 경험…자동차 업계, 트럼프 2기 앞두고 ‘예의주시’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각국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내 시장에서도 특히 자동차 업계에 시선이 쏠린다.당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모든 수입품에 10~20%, 중국 수입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고, 당선 이후에는 취임 당일 중국에 10%의 관세를 더 매기고 멕시코와 캐나다엔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이에 블룸버그 통신은 1일(현지시간) 올해 주식시장의 주요 이슈에 관한 월가의 시각을 전하면서 “인공지능(AI) 거품 붕괴와 방만한 정부에 대한 국채 투자자들
  • 170조원 규모로 성장한 ETF, 올해 ‘투심’은?…“트럼프 테마 올라타고 ‘방위산업’ 주목해야”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해 증시가 유례 없는 약세장이라는 평가 속에서 결국 10% 가까운 하락세로 막을 내린 가운데 올해 투심이 어디로 쏠릴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특히 지난해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총액이 53조원 늘어나 총 170조원 시장으로 확대됐지만 이도 국내가 아닌 해외형만 대거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12월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에 상장된 935개 ETF의 순자산총액은 이날 기준 173조2천억원으로 전년(121조1천억원)보다 약 52조900억원(43.0%) 증가했다.순자산총액이 가장 많은 상품은 ‘KO
  • 국내 증시, ‘역사적 딥밸류 구간’ 평가 속 반등세 나올까‥엇갈린 전망 속 ‘기대’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한 우려와 달러화 강세 그리고 환율 문제에 현재 탄핵 정국에 이르기까지의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코스피가 지난해에만 10% 넘게 하락세를 보였다.특히 비상계엄 사태로 국내 정세가 급격히 불안정해지자 지난해 4분기 원‧달러 환율은 평균 1,398.75원을 기록,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분기(1,418.3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특히 지난달은 1,401원으로 출발해 한 달사이 1,472.5원까지 치솟으며 달러 환산 코스피의 급락세를 이끌었다.당장 외국
  • 세입자 전세보증금 돌려주지 않는 ‘악성 임대인’에는 ‘19세’도 있었다…한 사람이 반환채무만 ‘862억원’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해 12월 전세자금 사기대출 조직에 처음으로 범죄집단죄를 적용해 기소한 사건이 대법원에서 유죄로 확정됐지만, 여전히 세입자의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악성 임대인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지난달 31일 대법원에서 앞서 1심이 “중대한 사회적 범죄”라며 중형을 선고한 것을 두고 대법원이 이에 대해 원심 판결을 확정하면서 검찰의 첫 범죄집단저 처벌이 확정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갈길이 멀다는 분석이 나온다.실제로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두 차례 이상 제때 돌려주지 않은 '악성 임대인' 명단이 공개 1년 만에
1 2 3 4 5 6 7 8 9

당신을 위한 인기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 “전기 밴은 나야 둘이 될 수 없어” 폭스바겐에 도전장 내민 기아 PV5, 승자는?
  • “일본산 지바겐 나온다!”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에 하이브리드 연비까지 갖춘 렉서스 GX
  • “가정 교육을 어떻게 받은 거니” 17세 소년, 흡연하다 무면허 적발

추천 뉴스

  • 1
    “치유의 도시라 불릴 만하다”… 인기 급상승 중인 웰니스 여행지

    여행맛집 

  • 2
    “평범해 보이는 저 사람도 기름부자?” 세계적인 호화의 도시, 두바이 여행

    여행맛집 

  • 3
    틱톡 라이트, 북치기 대항전 환상의 팀을 모집 합니다

    연예 

  • 4
    “스마트폰 하나로 떼돈 벌기 가능해집니다” 가상화폐 불 지핀 코인의 정체

    경제 

  • 5
    "이민호가 올리라고 해서 올렸다"… 박봄, 셀프 열애설에 내놓은 횡설수설 해명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간식 추천 상하키친 떡볶이 쫄깃쫄깃 쌀떡볶이

    여행맛집 

  • 2
    돌이켜보면 꼭 부모님같고 고마운 학교과목

    뿜 

  • 3
    무인자동세차장에 알몸으로 들어가서 세차와 샤워를 같이한 남자

    뿜 

  • 4
    이별 후 5년간 후유증을 겪은 연예인 ㄷㄷㄷ

    뿜 

  • 5
    아이브 레이, ‘따라해볼레이’ 편의점 레시피 도전...레이 정식 탄생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