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스포츠 (83 Posts)
-
e스포츠, 하반기는 국제전으로 ‘들썩’…한국팀 우승 기대 대회 4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e스포츠 팬들이 하반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굵직한 국제대회가 줄줄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소위 롤드컵으로 팬들에게 친숙한 리그 오브 레전드(LoL) 월드 챔피언십도 9월부터 시작한다. LoL 외에 발로란트, PUBG: 배틀그라운드, FC 온라인 대회에도 시선이 모다. 9일 e스포츠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개최되는 국제대회로 ‘발로란트 챔피언스 시리즈 서울’이 8월 1일부터 시작된다. 챔피언스 시리즈는 발로란트 최상위 국제 대회다. 4개 지역에서 최상위 16개 팀이 모여 각축을 벌인다. 결승전은 다음 달 25일 인천 영종도에 있는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열릴 예정이다. 한국팀으로는 퍼시픽 리그에 속해있는 DRX와 젠지의 활약이 기대된다. 라이엇 게임즈 관계자는 “올해는 발로란트에서 DRX 등 퍼시픽팀의 상승세가 돋보인다”며 “챔피언스에서 한국팀의 선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배틀그라운드는 하반기에 국가 대항전 PUBG 네이션스 컵(PNC) 2024가 기다리고 있다. 전 세계 16개국이 참가하는 PNC 2024는 9월 6~8일 서울에서 열린다. 디펜딩 챔피언인 한국팀은 올해에도 트로피를 들어올리기 위해 물밑 작업을 시작했다. 지난 3일 크래프톤이 PNC 2024 한국 대표팀 구성 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혀 팬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FC 온라인 팬들을 위한 국제 대회도 있다. 다음 달 21일부터 FC 프로 챔피언스컵이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다. 한국에서는 국내 리그 1~4위인 KT 롤스터, WH게이밍, 광동 프릭스, 젠지가 출전한다. 주요 선수로는 KT 롤스터 소속 곽준혁 등이 있다. e스포츠 팬들이 가장 기다리고 있는 대회는 LoL 월드 챔피언십(월즈)이다. 올해 월즈는 영국 런던 O2 아레나에서 개최된다. LoL 국내 리그인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에서 4개 팀이 월즈에 진출할 수 있다. 현재 젠지, 디플러스 기아, 광동 프릭스, T1, 한화생명e스포츠 5팀이 상위권 경쟁을 하고 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이달 사우디 LOL 월드컵에서 T1이 우승하면서 게임 팬의 열기가 한껏 달아오르고 있다”며 “하반기에는 한층 e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T1 사우디 월드컵 우승, 하반기 e스포츠 흥행 이끈다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T1이 사우디 e스포츠 월드컵 리그 오브 레전드(LoL) 초대 챔피언으로 등극하며 게임 팬의 열기도 한껏 달아오르고 있다. 곧이어 오는 10일부터 재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서머 정규 리그의 흥행이 기대된다. 8일 라이엇게임즈에 따르면 T1이 속한 국내 리그 LCK는 지난 스프링 시즌 동안 약 43만 명의 평균 분당 시청자 수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스프링에 비해 46%가량 성장한 역대 최고 수치다. 올해 LCK 서머는 8월 18일까지 정규리그가 진행된다. 이어 플레이오프를 8월 23일부터 9월 8일까지 개최한다. LCK에서는 페이커 이상혁뿐만 아니라 쵸비 정지훈, 데프트 김혁규 등의 스타 선수들이 활약하고 있다. 주요 팀은 이번 사우디 e스포츠 월드컵에서 우승한 T1과 지난 스프링까지 4연속 우승으로 포핏을 달성한 젠지 e스포츠 등이다. 이정훈 LCK 사무총장은 “LCK에서 롤드컵을 향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서머의 흥행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
케스파컵 참가해야 e스포츠 국가대표 될 수 있다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앞으로 e 스포츠 국가대표가 되려면 한국e스포츠협회(KESPA) 지정대회 참가 이력을 보유해야 한다. 4일 한국e스포츠협회는 이같은 내용의 e스포츠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발 자격 개편안을 발표했다. 협회는 지난해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e스포츠 국가대표를 파견한 바 있다. 출전한 전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나 국내 비활성화 종목의 파견과 국가대표 훈련여건 개선 등 필요성이 공론화에 됐다. 이번 국가대표 선수 선발자격 개편의 주요 골자는 △국가대표 육성종목 지정 △국가대표 선발 검토지표 활용 대상 대회의 확대 △선발 자격 강화다. 국가대표 육성종목 지정은 국제대회에서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 국내 저변 확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종목을 지정 및 지원한다. 국가대표 육성종목은 지속육성 종목과 신규육성 종목으로 나뉜다. 국가대표 선발 시 정량검토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대회를 지정하고 국가대표 육성종목을 해당 대회의 종목으로 선정한다. 협회 주최주관 대상 대회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검토 대상 지표를 늘린다는 방침이다. 선수 선발자격 강화는 올해부터 국제종합경기대회 국가대표 선발 시에 경기인 등록과 검토지표 대회 출전 이력 보유를 의무로 둔다. 해당 대회 입상실적, 개인기록 등을 정량평가 지표로 활용한다. 한국e스포츠협회 관계자는 “케스파컵을 시작으로 케스파컵 종목 확대와 국가대표 선발 검토지표 활용대회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