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가계대출 한 달 새 4조7000억↑
2024.06.02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한 달 만에 5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달 30일 기준 702조7020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4조6990억원 늘었다. 지난 3월 2조2238억원 감소를 기록한 뒤 지난 4월과 5월 두 달 연속 증가세다.증가 폭은 전월(4조4346억원)보다 확대됐다. 특히 지난 2021년 7월(6조2009억원) 이후 2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유형별로 보면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545조6111억원으로 4조620…
5대 은행 '깡통 대출' 4조 육박…고금리發 손실 '눈덩이'
2024.05.21
올해 들어 2400억 증가 코로나 지원 종료 한몫 1분기 상·매각만 1.7조 연내 금리 인하 불투명 국내 5대 은행이 보유한 자산에서 이자조차 받지 못하는 '깡통 대출'이 올해 들어 석 달 동안에만 2000억원 넘게 불어나면서 4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 장기화로 가계와 기업의 빚 상환 여력이 갈수록 악화하는 탓이다. 특히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금융지원이 종료되고 대출 상환이 재개되면서 잠재 부실이 수면 위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연중 내내 높은 수준의 금리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부실로 인한 은행들의 손실은 계속될 전망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무수익여신 잔액은 올 1분기 말 기준 3조7586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6.8%(2378억원) 늘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7.3%(5553억원) 증가했다. 무수익여신은 90일 이상 연체된 대출채권과 이자 미계상 여신의 합계를 말한다. 원금은 고사하고 이자조차 거둘 수 없어 고정이하여신보다 악성으로 취급된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국민은행이 8668억원으로 15.6% 늘어나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우리은행이 6126억원으로 신한은행은 6866억원으로 각각 15.8%, 13.3% 증가하며 뒤를 이었다. 농협은행도 7886억원으로 2.7% 늘었다. 반면 하나은행은 8040억원으로 7.4% 감소했다. 2022년 4분기(6521억원) 이후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지난해 말 9000억원에 육박하자 부실 정리 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은행들의 대출 자산에서 무수익여신이 확대된 배경엔 장기화하는 고금리와 경기 침체 상황이 자리하고 있다. 앞서 한국은행은 2021년 8월 0.50%였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1월까지 10차례 인상해 3.50%로 급격히 끌어올렸다. 이후 같은 해 2월부터 10차례 연속 기준금리가 동결됐지만, 대출자들이 감당하기엔 여전히 높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시행한 대출 원금·이자 상환유예 조치가 종료되면서 수면 아래 있던 부실도 고개를 드는 모습이다. 금융지원 대상 차주들의 분할 상환이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됐는데, 유예 기간 동안 누적된 금리 인상으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특히 중소기업들의 경영 여건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점이 부실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실제 한은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지난 3월 기업대출 평균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96%를 기록했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지난 2021년 8월(연 2.78%)보다 2.18%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최근 기업대출 평균 금리가 4% 후반대로 소폭 내려왔지만, 2022년 9월(4.66%) 이후 올 2월까지 17개월간 5%대가 유지되기도 했다. 한계에 내몰린 중소기업들의 상황은 각종 지표로 확인되고 있다. 실제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법인의 파산 신청은 1657건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파산 신청 대부분은 중소기업으로 알려졌다. 또 전국 어음부도액도 지난해 말 5조3484억원으로 전년 대비 2.4배 급증했다. 앞으로도 높은 수준의 금리가 오랜 기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부실로 인한 은행권의 손실은 계속될 전망이다. 실제 지난 1분기 5대 은행이 단행한 상·매각 규모는 1조60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9.5% 급증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현재 상황은 지난달 통화정책방향 회의 때와 많이 달라졌다"며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관해 다시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누나, 나야…" 매장서 옷 벗기고 성관계 요구, 거부하자 주먹 '퍽퍽퍽'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임신 자랑한 63세女, 26세 남편도 신나서 춤췄다 문재인의 자충수, 그것은 외교 아닌 혈세 낭비 범죄 "2살부터 담배 뻑뻑" 하루에 2갑 그 소년…16세 모습 '충격'
5대 은행 적금 가입 10명 중 8명은 '비대면'
2024.05.12
국내 5대 은행에서 올해 적금을 든 고객 10명 중 8명 이상은 영업점을 방문 대신 온라인·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방식으로 상품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개 은행의 올해 1분기 적립식 예금 신규 가입 중 비대면 가입 비중은 계좌 수 기준 평균 82.0%로 집계됐다. 해당 비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이전인 2019년 1분기 60.0% 수준에서 2022년 1분기 80.0%로 4년 만에 20%포인트(p) 상승한 이후 최근까지 비슷한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5대 은행 거치식 예금의 올해 1분기 비대면 가입 비중은 평균 69.6%를 기록했다. 5년 전의 41.4%보다 28.2%p 높아졌다. 펀드 역시 같은 기간 53.6%에서 74.8%로 비대면 가입 비중이 21.2%p 올랐다. 대출에서도 비대면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신용대출 가운데 75.0%가 비대면으로 이뤄졌다. 2019년 1분기까지만 해도 30.4%에 그쳤지만 2020년 1분기에 40%, 2021년 1분기에 50%, 2022년 1분기에 60%를 차례로 넘었다. 은행들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비대면 영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해왔다. 그 결과 5대 은행의 모바일 앱 누적 가입자 수는 각자 최소 1000만명을 넘어선 상황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로또 1119회 당첨번호 '1·9·12·13·20·45'번...1등 당첨지역 어디? "도서관도 가고" 그말대로…한동훈, 양재도서관서 목격 "누나, 나야…" 매장서 옷 벗기고 성관계 요구, 거부하자 주먹 '퍽퍽퍽' 개혁신당 호남·제주 투표서 허은아 1위…이기인과 누적 공동선두
5대 은행 부실채권 5조 육박…길어지는 '고금리 터널'
2024.05.01
전년 동기 대비 9500억↑ 지연되는 금리 인하 시점 국내 5대 은행이 가계와 기업에 내준 대출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이 최근 한 해 동안에만 1조원 가까이 불어나면서 5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 장기화로 대출자들의 빚 상환 여력이 갈수록 악화하는 형국이다. 앞으로도 높은 수준의 금리가 상당 기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부실에 대한 고민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이 실행한 대출에서 발생한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지난 1분기 말 기준 4조77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9%(9512억원) 늘었다. 은행은 대출채권 상태를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로 구분한다. 이중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을 묶어 구분하는 부실채권은 3개월 이상 연체돼 사실상 떼인 돈으로 볼 수 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국민은행이 1조2549억원으로 53.6% 늘어나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농협은행(1조1633억원·34.2%) ▲우리은행(6750억원·22.1%) ▲하나은행(8150억원·19.6%)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신한은행만 8670억원으로 4.3% 감소했다. 이처럼 부실채권이 급증한 배경엔 고금리 환경이 자리하고 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2021년 8월 0.50%였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1월까지 10차례 인상해 3.50%로 급격히 끌어올렸다. 이후 같은 해 2월부터 10차례 연속 기준금리가 동결됐지만, 대출자들이 감당하기에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치솟은 금융비용과 경기 둔화에 따른 매출 감소로 대출자들의 채무 상환 여력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특히 은행들은 부실채권을 장부에서 지워내며 건전성 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새로운 부실이 더 빠르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 지난 1분기 5대 은행이 단행한 상·매각 규모는 1조6045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89.5% 증가했다. 은행은 회수 가능성이 낮은 부실채권을 장부에서 손실(상각) 처리하거나, 자산유동화전문회사 등에 헐값에 매각해 건전성을 관리한다. 앞으로도 은행의 대출채권에서 부실화가 계속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올해 들어 미국 물가가 강한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이 시장의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미국과 보조를 맞춰야 하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도 지연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재 한·미 금리 차는 역대 최대인 2.0%포인트까지 벌어진 상태다. 한은이 미국보다 금리를 먼저 인하해서 외국인투자자의 자금 유출과 환율 변동성을 키울 이유가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올 1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깜짝 성장'을 하면서 현 강도의 긴축을 더 오래 유지할 여건이 조성되는 모습이다.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 1.3%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21년 4분기(1.4%) 이후 9분기 만에 최고치다. 수출 개선이 이어지고 부진했던 내수가 다소 회복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정성태 삼성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10월과 11월 두 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우리나라 성장이 전적으로 수출에서 비롯되며 소비와 투자는 부진하고, 미 연준의 첫 금리 인하 시점을 9월로 전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女정치인, 24세 스님과 불륜…남편이 촬영·유포한 현장 상황 "난 레즈비언, 유부남과 성관계가 웬 말" 모텔 CCTV 경악 "문재인 아저씨, 제발 그런 말은…" 평산 간 김제동 직격 '제2의 에이즈' 라임병, 두 배 늘었다...증상과 원인은? "성관계 한번 거절 후 허락…하고 나선 울어라" 강사 발언 '충격'
고금리 장기화·경기 둔화에 5대 은행 부실채권 급증
2024.04.28
아시아투데이 조은국 기자 =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둔화로 인해 주요 은행들의 건전성 지표에 적신호가 켜졌다. 올해 들어 국내 5대 은행의 연체율이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모두 연체율이 올랐다. 이에 유동성이 풀리기 전인 코로나19 펜데믹 이전 수준까지 대출자산 건전성 지표가 돌아간 것으로 관측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단순 평균 대출 연체율은 0.32%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동기보다 0.05%포인트, 전분기보다 0.03%포인트 나빠진 수치다. 우선 가계대출 연체율은 0.28%를 기록해, 전분기보다 0.02%포인트 올랐다. 지난 2월에는 0.32%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기업대출 건전성은 더 심각하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올 1분기 말 0.35%로 전분기 대비 0.04%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 연체율의 경우 지난해 1분기 0.30%에서 작년 4분기 0.31%로 0.01%포인트 오른 점을 고려..
5대 은행 달러예금 이달만 2조원 줄어…환차익發 '썰물'
2024.04.21
국내 5대 은행의 달러예금에서 이번 달에만 2조원이 넘는 돈이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이 치솟자 환차익을 노린 투자자들이 대거 자금을 인출한 결과로 풀이된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 18일 기준 달러 예금 잔액은 558억6560만달러로 지난 달 말보다 15억1200만달러 줄었다. 원화로 환산하면 2조760억원에 달하는 감소폭이다. 달러 예금은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 적립해뒀다가 출금하거나 만기가 됐을 때 원화로 돌려받는 금융상품이다. 그런데 최근 환율이 오르자 기업들이 달러 예금에서 돈을 인출, 환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17개월 만에 1400원까지 올랐다. 미국의 물가 불안으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고, 여기에 중동 분쟁까지 겹치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확대된 영향 등 글로벌 달러가 강세를 나타낸 영향이 컸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달러 강세는 올해 하반기에 다소 약화할 것"이라며 "올해 말이나 내년에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 폭도 축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JP모건은 최근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 성장세의 개선이 지속되고 있어 큰 폭의 강달러는 어려울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성관계 한번 거절 후 허락…하고 나선 울어라" 강사 발언 '충격' 로또 1116회 당첨번호 '15·16·17·25·30·31'번...1등 당첨지역 어디? ‘사실상 결승전’ 맨시티 vs 첼시 빅매치 승자는? ‘0.739’ 질주하는 KIA, 2위 NC마저 연파...나성범·임기영 복귀 눈앞 비 그치고 낮 최고기온 23도…변덕스러운 요즘 날씨, 뭘 입어야 할까
5대 은행 정기예금에 새해 13조 '밀물'…3%대 금리 '막차'
2024.02.02
석 달 새 0.5%P 떨어졌지만 시장 불안에 안정적 이율 선택 대기성자금은 26조 넘게 빠져 5대 은행의 정기예금에 한 달 새 13조원 넘는 돈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4%대 금리 상품이 사라지자, 3%대 막차라도
5대 은행 홍콩 ELS 사태 쟁점은 ‘불완전판매’…CEO 중징계 가능성은 [금융이슈 줌인]
2024.01.17
[한국금융신문 한아란 기자] 주요 시중은행에서 판매한 홍콩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에서 올해 들어 1000억원이 넘는 원금손실이 확정됐다. 올 상반기에만 5대 은행에서 5조원대 손실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이번 사태와 관련해
5대 은행, 11월 예대금리차 0.74%…연중 최저
2023.12.27
3개월 연속 축소 신한 가장 낮아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3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지난달 연중 최저점을 찍었다. 2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 제외)는 평균 0.742%포인트(
다시 뛰는 예금 금리…시중은행도 4%대
2023.08.12
은행권의 수신금리가 다시 오르면서 예·적금 상품을 찾는 이도 증가하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정기 예·적금 잔액은 한 달 만에 11조원 넘게 늘었고,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에서는 고금리 적금 특판이 '완판'되는 현상도 벌어졌다. 12일 은행연합회에
금감원, 올해 새희망홀씨 대출 공급 4조원으로 늘린다
2023.04.10
금융감독원이 서민금융상품인 새희망홀씨대출의 올해 공급 목표를 전년 대비 4000억원 증가한 4조원으로 늘린다고 10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권의 새희망홀씨 대출 공급액은 2조3000억원 규모로, 2010년 상품 출시 이후 약 236만명에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