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1분기 영업익 2605억원…전망치 넘겼지만 전년比 48%↓【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넥슨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기저효과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절반 가량 줄었지만 글로벌 흥행을 이어가는 게임들의 성과에 힘입어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을 보였다. 넥슨은 14일 2024년 1분기 연결 실적을 발표하고 매출 1084억엔(한화 9689억원), 영업이익 291억엔(한화 260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 48%씩 감소한 수준이다. 넥슨은 올해 1분기 실적 감소를 역대 최대를 기록했던 지난해 1분기에 대한 기저효과로 분석했다. 실제 글로벌 흥행작 ‘FC 온라인’과
메리츠금융지주, 1분기 순익 5913억원…화재가 이끌고 증권이 당겼다 [금융사 2024 1분기 실적][한국금융신문 전한신 기자] 메리츠금융지주(대표이사 김용범 부회장)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2% 감소했다. 계열사인 메리츠화재(대표 김중현)의 순익은 24%가량 늘었지만, 메리츠증권(대표 장원재)은 37%나 쪼그라들면서다. 다만 화재는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증권도 25분기 연속 1000억원 이상의 순익을 내고 있는 만큼 양호한 실적이라는 평가다. 14일 메리츠금융지주는 2024년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메리츠금융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6037억원)보다 2.1% 감소한 5913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8.2%, 4.5% 줄어든 12조5638억원, 7708억원을 기록했다. 자산 총계는 103조1047억원,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업계 최고 수준인 24.8%로 집계됐다. 이 같은 실적은 글로벌 경기 침체 등 불확실한 대내외 경영 환경 속에서도 견실한 펀더멘탈과 이익 체력을 유지한 데 기인했다는 게 메리츠금융 측의 설명이다. 메리츠금융은 탄탄한 실적을 바탕으로 주주환원도 이어갈 예정이다. 올해 1분기에는 자사주 4000억원을 소각 완료한 데 이어 5000억원 규모 추가 매입을 발표했다. 주요 계열사별 실적을 살펴보면 메리츠화재의 올해 1분기 별도 기준 순이익은 4909억원으로 전년 동기(3965억원)보다 23.8% 증가했다. 이는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이며 지난 2020년 1분기 이후 17분기 연속 1000억원 이상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고 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7%, 21.5% 증가한 2조9129억원, 6,606억원으로 집계됐다. 메리츠화재는 양질의 신계약 확보를 통한 수익성 중심의 매출 성장 전략을 통해 장기보험 손익이 꾸준히 증가했고 일반보험 손익도 전년 동기 대비 35% 가까이 증가하는 등 보험 손익 부문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입증했다. 투자 손익도 전년 동기 대비 42.2% 증가한 2027억원을 기록했다. 메리츠증권의 경우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557억원, 126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각각 35.06%, 36.68% 감소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4.48% 줄어든 9조5819억원을 기록했다. 자산운용 실적 기저효과와 자회사인 메리츠캐피탈의 손익 감소(-55%)로 실적이 악화했지만,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양호한 성과를 냈다. 브로커리지 기반 수익은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인한 주식시장 거래대금 증가로 전 분기 대비 52% 확대돼 리테일 수익 상승을 이끌었다. 기업금융(IB)(+31%), 금융수지(+24%) 트레이딩 등 전 사업 부문에서 양호한 수익을 시현했다. 특히 지난 2018년 1분기부터 25분기 연속 1000억원 이상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하며 메리츠금융의 강점인 ‘차별화된 리스크관리 시스템’과 ‘안정적인 이익 창출 능력’을 입증했다고 메리츠증권은 설명했다. 메리츠금융지주 관계자는 “불안정한 금융시장 속에서 올해 1분기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것은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증권이 탄탄한 기초체력을 바탕으로 준수한 실적을 기록했기 때문”이라며 “메리츠화재는 양질의 장기 보장성 보험 매출 확대를 통한 장기 손익 성장에 집중할 예정이며 메리츠증권은 어려운 시장 여건 등을 감안해 선제적이고 보수적인 리스크관리를 통해 우량자산 중심의 수익 포트폴리오 구축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전한신 한국금융신문 기자 pocha@fntimes.com
황준호號 다올투자증권, 1분기 순익 67억원…2개 분기 연속 흑자 달성 [금융사 2024 1분기 실적][한국금융신문 전한신 기자] 다올투자증권(대표이사 황준호)이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 1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다올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순이익의 경우 67억원으로 전년 동기(386억원)보다 82.6% 쪼그라들었다. 매출액도 전년 동기 5451억9703만원에서 3650억7108만원으로 33.04% 감소했다. 다올투자증권은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충당금을 충실히 적립했다. 보수적 관점에서 시장 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예상 손실로 반영한 만큼 재무적 부담이 크게 줄어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균형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을 목표로 세일즈앤트레이딩(S&T) 부문과 리테일영업 조직을 강화했다. 다올투자증권 관계자는 “여러 힘든 상황을 극복하고 중소 증권사에 우호적이지 않은 시장환경 속에서도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불확실한 시장 상황이 지속되고 있지만, 그동안 준비하고 대비한 만큼 올해에는 안정적 수익 기반 구축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한신 한국금융신문 기자 pocha@fntimes.com
HMM, '고공행진' SCFI 덕에 1분기 영업익·매출 두자릿 수 상승[한국금융신문 홍윤기 기자] 지난 10일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연중 최고치인 2035.79를 기록했다. 중동 지역 갈등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2월부터 안정세에 있었던 SCFI가 다시 올랐다. 한편 국내 최대 컨테이너선사인 HMM은 1분기 SCFI의 고공행진으로 매출액과 영업익 모두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호실적을 거뒀다. 14일 HMM에 따르면 1분기 영업익은 4070억원으로 전년동기(3064억원) 대비 33% 증가하면서 16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조3299억원으로 12%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485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2975억원) 63% 올랐다. HMM은 “지난해 1분기 평균 969p였던 SCFI가 올해 1분기 평균 2010으로 상승해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홍해 이슈로 인한 운임지수 상승과 수익성 위주의 영업 강화로 매출액 및 영업이익 증가했다”고 밝혔다. SCFI는 중국 상하이 수출 컨테이너 운송시장 15개 항로의 스팟 운임을 반영해 상하이해운거래소(SSE)가 집계하는 글로벌 운임지수다. HMM 등 국내 해운사의 업황과 주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통상 1000을 넘기면 손익분기점을 넘긴 것으로 본다. 한국관세물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29일 886.86까지 하락했다가 올해 1월 19일 2239.61까지 올랐다. 이후 하향 안정세를 보이며 다시 2000선 밑으로 떨어졌지만 다시 올라 지난 10일 2305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HMM은 2분기에도 높은 SCFI와 미국 경제회복, 중국발(發) e-커머스(Commerce) 물량 증가, 인플레이션 완화 등 소비 수요 안정세로 실적 관련 주요 경제 지표는 양호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지정학적 리스크 변동성이 커지면서 시장 상황이 급변할 가능성도 있다. HMM 관계자는 “홍해 이슈가 장기화로 이어지면서 희망봉 우회 지속 중이라면서 이로 인해 스케줄 지연 및 운송 기간 증가 등 공급망 불안정으로 운임 변동성이 큰 상황”이라고 했다. HMM은 2021년 발주한 1만3000TEU(1TEU = 20피트 컨테이너)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12척을 올해 1월부터 순차적으로 인도 받아 올해 말까지 미주노선에 투입할 예정이다. 홍윤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ahyk815@fntimes.com
김승연號 토스증권, 1분기 당기순이익 119억원…“역대 최대 분기 실적” [금융사 2024 1분기 실적][한국금융신문 전한신 기자] 토스증권(대표 김승연)이 올해 1분기 11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두며 지난해 전체 연간 당기순이익의 약 8배를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영업수익)은 799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도 123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61% 성장, 영업손실은 4억원에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분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100억원을 돌파한 것은 토스증권 출범 이후 첫 사례며 출범 이후 최대 분기 실적이다. 토스증권은 올 1분기 해외주식 거래대금 역대 최고치를 새로 쓰는 등 실적 개선을 이어갔다. 1분기 해외주식 거래대금은 전분기 대비 86%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국내 주식 거래대금도 70% 증가했다. 매매 유저 수 증가세뿐 아니라 거래대금 증가 또한 두드러지며 전체 실적 개선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토스증권은 설명했다. 김승연 토스증권 대표는 “올 2분기부터 새로운 상품 출시로 고객들에게 토스증권만의 가치와 남다른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토스증권의 성장을 지켜봐달라"고 강조했다. 전한신 한국금융신문 기자 pocha@fntimes.com
KB금융 충전이익 '2.8조' 1위…신한금융 10% 성장률 두각 [1분기 금융 리그테이블][한국금융신문 한아란 기자] 4대 금융지주사의 올해 1분기 충당금적립전영업이익(이하 충전이익)이 회사별로 엇갈렸다. KB금융은 비이자이익이 줄며 충전이익도 감소했지만 4대 금융 중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했다. 신한금융의 충전이익은 10%대 성장률을 나타내며 KB금융과 격차를 좁혔다. 11일 한국금융신문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올 1분기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금융지주의 충전이익은 총 8조582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1분기(8조3849억원) 대비 2.35% 증가한 수준이다. 충전이익은 금융지주 영업력을 보여주는 수치로, 핵심이익인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더한 값에서 일반 판매관리비를 뺀 금액이다. 일회성 매각이익이나 충당금 환입 같은 요소를 제외해 경상적인 수익 창출력을 대표하는 지표로 꼽힌다. 금융지주별로 보면 KB금융은 2조7838억원의 충전이익을 기록해 4대 금융 가운데 1위 자리를 지켰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0.9% 감소한 수준이다. 이자이익 호조가 이어졌지만 비이자이익이 크게 감소한 결과다. KB금융의 1분기 3조1515억원의 이자이익을 냈다. 은행의 대출 평잔 증가와 순이자마진(NIM) 개선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1.6% 늘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1조2605억원으로 18.7% 쪼그라들었다. 증권업 수입수수료와 신용카드 수수료를 중심으로 수수료이익(9901억원)이 8.3% 증가한 가운데 기타영업손익(2704억원)이 57.5% 줄며 비이자이익을 끌어내렸다. 기타영업손익 부진은 시장금리 변동과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라 유가증권 및 파생상품·외환 관련 실적이 약세를 보인 영향이 컸다. KB금융은 판매관리비도 4대 금융 가운데 가장 많은 규모로 집행했다. KB금융의 1분기 판매관리비는 1조6282억원으로 희망퇴직, 디지털라이제이션 관련 비용 등이 반영되면서 4.0% 증가했다. 신한금융의 1분기 충전이익은 1년 전에 비해 10.6% 증가한 2조4461억원으로 2위를 유지했다. KB금융과의 격차는 지난해 1분기 5910억원에서 올 1분기 3377억원으로 좁혀졌다. 신한금융의 이자이익은 2조8159억원으로 금리부자산 증가와 NIM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 늘었다. 비이자이익은 1조25억원으로 0.3% 확대됐다.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감소했지만 신용카드, 증권거래, IB 등 수수료 이익이 고르게 성장했고 단기납 종신보험 등 영업활성화로 보험이익도 늘어난 결과다. 판매관리비는 1조3722억원으로 1.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1분기에 인식한 라이프 희망퇴직 비용을 제외하면 3.7% 늘어난 수준이다. 하나금융은 1분기 충전이익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한 1조8355억원을 기록했다. 이자이익 증가에도 비이자이익이 줄면서 핵심이익을 끌어내렸다. 하나금융의 1분기 이자이익은 2조2206억원으로 NIM 하락에도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대출 자산이 크게 늘면서 2.1% 증가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7126억원으로 8.5% 감소했다. IB 수수료와 퇴직연금 및 운용리스 등 축적형 수수료, 신용카드 수수료 등이 늘면서 수수료이익이 증가했으나 유가증권 이익 축소로 매매평가이익이 줄었고 기타 영업손실도 확대된 영향이다. 판매관리비는 1조978억원으로 0.9% 줄었다. 우리금융지주의 1분기 충전이익은 1조5168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0.2% 늘었다. 4대 금융 중 유일하게 이자이익이 줄었지만 높은 비이자이익 증가율을 기록하며 선방했다. 우리금융의 1분기 이자이익은 2조1982억원으로 기업대출 등 대출자산 증가에도 NIM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0.9% 감소했다. 반면 비이자이익 증가율은 4대 금융 중 가장 컸다. 우리금융의 1분기 비이자이익은 3506억원으로 수수료이익과 외환·파생이익 증가 등에 힘입어 5.7% 증가했다. 다만 증권, 보험 등 비은행 계열사 부재로 하나금융과 비이자이익은 3620억원 규모로 차이가 난다. 1분기 판매관리비로는 1년 전보다 0.5% 줄어든 1조320억원을 지출했다. 한아란 한국금융신문 기자 aran@fntimes.com
ELS 손실 여파에 4대 금융 수익성 악화…하나금융 ROE 1위로 [1분기 금융 리그테이블][한국금융신문 한아란 기자] 4대 금융지주(신한·KB·하나·우리)의 올해 1분기 수익성이 일제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과 총자산순이익률(ROA) 모두 1년 전보다 하락했다. 홍콩 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배상 비용을 충당부채로 반영하면서 영업외손실이 상당 규모로 발생한 영향이다. 수익성 순위는 하나금융지주가 KB·신한금융지주를 제치고 ROE 1위를 기록했고 ROA 기준으로는 신한금융이 선두에 올랐다. 11일 한국금융신문이 4대 금융지주의 올 1분기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금융지주의 ROE는 평균 9.82%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평균 12.15%보다 2.33%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ROE는 당기순이익을 자본총계로 나눈 값으로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낸다. ROE가 가장 높은 곳은 10.44%를 기록한 하나금융이었다. 이어 신한금융(10.37%), 우리금융(10.32%), KB금융(8.15%) 순으로 높았다. KB금융의 ROE는 작년 1분기와 비교해 4.35%포인트 떨어져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우리금융은 2.19%포인트 낮아졌고 신한금융과 하나금융은 각각 1.17%, 1.61%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4대 금융지주 ROE가 일제히 뒷걸음질 친 건 올 1분기 홍콩 H지수 ELS 손실 고객 보상 비용 관련 영업외손실이 대폭 늘었기 때문이다. 충당부채를 대규모로 반영하면서 순이익을 끌어내렸다. 금융지주 핵심 계열사인 4대 시중은행은 대규모 손실이 발생한 H지수 ELS와 관련해 지난달부터 자율 배상 절차에 돌입했다. H지수 ELS 판매 잔액은 KB국민은행이 8조1972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신한은행(2조3701억원), 하나은행(2조1183억원), 우리은행(413억원) 순이다. 회사별 지배주주 순이익을 보면 KB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1조4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5% 감소했다. KB금융은 H지수 ELS 관련 고객 보상 비용 8620억원을 충당부채로 인식했다. 이에 따라 영업외손실은 지난해 1분기 962억원에서 올 1분기 9480억원으로 큰 폭 확대됐다. 신한금융 역시 H지수 ELS 손실 관련 충당부채 적립이 영업외비용으로 반영되면서 순이익이 줄었다. 신한금융은 1분기 순이익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8% 감소한 1조3125억원을 기록했다. 충당부채 적립 규모는 2740억원으로 KB금융보다는 6000억원가량 적은 수준이다. 신한금융의 영업외이익은 올 1분기 2777억원 손실을 기록하면서 1년 전보다 378.3% 줄었다. 하나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1조3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감소했다. 하나금융은 H지수 ELS 충당부채 1799억원,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F/X) 환산 손실 813억원 등 대규모 일회성 비용을 인식했다. 우리금융은 1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9.8% 줄어든 8245억원에 그쳤다. 타 은행 대비 상대적으로 H지수 ELS 판매 잔액이 적어 관련 손실은 제한적이었지만 순이자마진(NIM)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이자이익이 줄고 연체율 상승으로 대손비용도 늘어난 영향이다. 우리금융은 1분기 대손비용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0.5% 급증한 3680억원을 적립했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고 비은행 계열사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한 영향이다. 우리금융의 1분기 NIM은 1.74%로 1년 전에 비해 0.17%포인트 하락하며 4대 금융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이자이익도 유일하게 역성장했다. 우리금융의 1분기 이자이익은 2조19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다. KB금융(2.11%)과 신한금융(2.00%)의 NIM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07%포인트, 0.06%포인트 상승했다. 하나금융의 NIM은 0.11%포인트 낮아진 1.77%를 나타냈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이 KB금융, 신한금융보다 적은 순이익에도 ROE에서 상대적으로 선방할 수 있었던 건 자본 규모 차이 때문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하나금융의 자본총계는 41조1568억원으로 KB금융(59조2073억원), 신한금융(54조4002억원)과 비교해 10조원 넘게 적은 수준이다. 우리금융의 자본총계는 32조2244억원으로 30조원대에 그친다. 4대 금융지주의 1분기 ROA는 평균 0.68%로 1년 전(0.83%)보다 0.15%포인트 하락했다. ROA는 당기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눈 수치로 총자산을 이용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 측정하는 지표다. 신한금융은 0.77%의 ROA를 기록해 1위에 올랐다. 이어 하나금융(0.70%), 우리금융(0.67%), KB금융(0.59%) 순으로 높았다. ROA 역시 4대 금융에서 모두 낮아졌다. 하락 폭은 KB금융이 0.30%포인트로 가장 컸고 우리금융(0.12%포인트), 신한금융(0.09%포인트) 하나금융(0.08%포인트) 순이었다. 한아란 한국금융신문 기자 aran@fntimes.com
'공격 영업' KB손보 수익성 최대 지주 이익 견인…신한EZ·하나손보 적자 여전 [1분기 금융 리그테이블][한국금융신문 전하경 기자] KB손해보험이 수익성, 건전성 모두 두각을 나타내며 KB금융지주 이익을 견인하고 있다. 11일 한국금융신문이 신한·KB·하나·농협금융지주 4개 금융지주사 산하 손보사 4곳 1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4곳 중 자산규모가 가장 큰 KB손보가 여전히 수익성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분기 기준 KB손보 자산규모는 37조4742억원, 농협손보는 11조1313억원, 신한EZ손해보험은 2534억원, 하나손보는 작년 말 기준 1조5834억원이다. IFRS17 도입 이후 규모가 작은 중소형사 신한EZ손해보험, 농협손해보험, 하나손해보험과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보험손익 50% 가량 성장한 KB손보…CSM도 폭풍성장 1분기 순익은 KB손보가 4곳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KB손보 1분기 순익은 2922억원이었으며 농협손보가 597억원으로 두번째로 높았다. 신한EZ손보, 하나손보는 각각 -9억원, -24억원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KB손보 순익 증가는 높은 이익체력에서 기인한다. 올해 1분기 KB손보는 전년동기대비 보험 손익이 366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7.5% 증가했다. KB손해보험은 "당기순익은 292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했다"라며 "장기보험과 일반보험 중심으로 손해율이 큰 폭으로 개선된 가운데, 계약서비스마진(CSM) 증가로 인한 보험영업손익이 증가한데 주로 기인한다"라고 밝혔다. KB손보는 작년부터 공격적으로 영업을 진행하며 매출을 끌어올렸다. 특히 GA 중심으로 고시책, 한도 확대 등이 효과를 봤다. 1분기 장기보험 원수보험료는 2조2434억원으로 전년동기(2조858억원) 대비 7.5% 증가했다. 자동차보험은 7161억원에서 7427억원으로, 일반보험은 3892억원에서 4368억원으로 증가했다. 전체 원수보험료는 3조422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7.3% 증가했다. 매출 증가로 1분기 CSM은 8조903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8.7% 증가했다. 농협손보도 보험손익은 전년동기 대비 증가했다. 농협손보 1분기 보험손익은 61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6% 증가했다. 보험 손익이 늘어나며 농협손보 CSM은 2조1973억원으로 작년 말(2조552억원) 대비 1421억원 증가했다. 보험손익은 증가했지만 투자손익이 절반 가량 감소하며 순익이 하락했다. 농협손보 투자손익은 22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8.4% 줄었다. 투자손익 감소로 1분기 순익도 전년동기대비 24.3% 적게 나타났다. KB손보도 금리 영향으로 평가손실이 발생해 투자손익은 부진했다.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FVPL자산의 평가손실이 발생하며 전년동기대비 66.4% 감소한 355억원을 기록했다. 하나손보는 전년동기대비 적자 폭을 줄였다. 하나손보 작년 1분기 순익은 -83억이었으나 올해 1분기는 -24억원으로 개선됐다. 하나손보는 장기보험 포트폴리오 확대 효과가 나타난 결과다. 신한EZ손보는 작년 1분기 -3억원이었으나 올해 1분기에는 -9억원으로 적자 규모가 늘었다. 차세대 시스템 구축 등 비용 영향이 컸다. 신한EZ손보 보험영업손익은 -20억원, 투자손익은 9억원으로 추정된다. K-ICS비율은 KB손보가 210.10%, 농협손보가 299%를 기록했다. 농협손보·신한EZ손보·하나손보 포트폴리오 다각화 박차 농협손해보험, 신한EZ손해보험, 하나손해보험 모두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세 보험사 모두 장기보험 포트폴리오 확대가 필요하다. 농협손보는 농작물재해보험 손해율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기보험 포트폴리오 확대를 지속해왔다. 농협손보는 손보업계 암보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상품을 출시했다. 올해 초 출시한 '(무)첫날부터든든한암보험'은 최대 8번까지 보장받는 '통합암진단비'를 탑재했다. 이 상품은 손보업계에서 암보험 고객 확보를 위해 경쟁적으로 출시한 담보다. 농협손보는 장기보장성보험 추진 확대로 신계약 CSM을 지속 확보해 나갈 것이며,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투자손익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신한EZ손보는 지난 4월 차세대 시스템을 가동, 여행자보험, 건강보험 등을 판매하고 있다. 신한라이프 설계사 교차 판매, 신한SOL 연계 등 판매 채널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하나손보는 배성완 대표 취임 이후 GA 채널 중심으로 판매를 강화하고 있다. 전하경 한국금융신문 기자 ceciplus7@fntimes.com
KB캐피탈, 하나·JB우리캐피탈 제치고 순익 2위 올라서 [1분기 금융 리그테이블][한국금융신문 홍지인 기자] 지난해 말 순이익 기준 4위까지 하락했던 KB캐피탈이 올 1분기 이자·비이자이익 확대에 힘입어 다시 2위로 올라섰다. 금융지주 계열 캐피탈사들은 전반적으로 수익성 지표가 떨어짐과 동시에 연체율·NPL비율과 같은 건전성 지표는 악화되는 흐름을 보였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지주 계열 캐피탈사는 2024년 1분기 총 339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창출했다. 평균 425억원 규모다. 당기순이익 1위는 신한캐피탈이 차지했다. 신한캐피탈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0.2% 줄어든 643억원을 기록했다. 큰 폭으로 순익이 감소했음에도 여전이 1위 자리를 지켰다. 순익 2위는 KB캐피탈이 차지했다. KB캐피탈은 지난해 말 신한-하나-JB우리캐피탈에 이어 순이익 기준 4위에 그쳤지만 올 1분기 2개 회사를 제치고 순위를 높였다. KB캐피탈 관계자는 “중고차·신용대출 확장으로 이자이익이 개선되고 임대·투자금융에서 발생하는 비이자수익도 증대됐다”며 “신용대출·기업여신 건전성 관리를 통한 대손상각비 축소와 판관비 관리 및 효율화를 통한 비용 절감이 더해져 순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하나캐피탈 602억원 ▲JB우리캐피탈 565억원 ▲BNK캐피탈 345억원 ▲우리금융캐피탈 330억원 ▲NH농협캐피탈 163억원 ▲DGB캐피탈 134억원의 순익을 기록했다. KB캐피탈, JB우리캐피탈, BNK캐피탈은 순익 성장에 성공했으며 나머지 5개 회사는 모두 순익 규모가 줄어들었다. 영업이익 1위는 KB캐피탈이 차지했다. KB캐피탈의 올 1분기 영업이익은 1628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3.1% 증가했다. 금융지주 캐피탈사 1분기 영업익 평균 853억원의 2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JB우리캐피탈은 1분기 영업익 1231억원을 기록하며 KB캐피탈에 이어 2위 자리를 차지했다. 이어 ▲신한캐피탈 1129억원 ▲BNK캐피탈 1003억원 ▲하나캐피탈 758억원 ▲우리금융캐피탈 710억원 ▲NH농협캐피탈 212억원 ▲DGB캐피탈 149억원의 영업이익을 나타냈다. 캐피탈 업권 전반의 수익 증가를 방해하고 있는 대손충당금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다만 하나·JB우리·NH농협·DGB캐피탈이 전년 동기 대비 충당금 규모를 확대한 것과 달리 신한·KB·BNK·우리금융캐피탈은 규모를 축소했다. 대손충당금 적립을 가장 크게 확대한 회사는 NH농협캐피탈로 전년 동기 대비 67.2% 늘어난 433억원을 적립했다. 반면 신한캐피탈은 같은 기간 47.5% 줄어든 334억원의 충당금을 쌓았다. 업권 전반의 순익이 하락함에 따라 수익성 지표인 ROA와 ROE는 모두 감소되는 흐름을 보였다. 기업의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가를 나타내는 ROA가 가장 많이 떨어진 회사는 신한캐피탈이다. 신한캐피탈의 지난 3월 말 기준 ROA는 1.99%로 전년 동기 대비 0.90%p 줄어들었다. ROA가 가장 낮은 회사는 NH농협캐피탈로 0.71% 수준에 그쳤다. 기업의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가를 보여주는 ROE가 가장 크게 줄어든 회사도 신한캐피탈이다. 신한캐피탈의 올 1분기 ROE는 전년 동기 대비 7.08% 줄어든 11.56%를 나타냈다. ROE가 가장 낮은 회사 역시 NH농협캐피탈이다. NH캐피탈의 1분기 ROE는 5.20%로 신한캐피탈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건전성 지표는 모두 악화됐다. 연체율·NPL비율을 공개한 회사 모두 관련 지표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 연체율이 가장 많이 늘어난 회사는 하나캐피탈이다. 하나캐피탈의 올 1분기 연체율은 전년 동기 대비 0.85%p 늘어난 1.96%를 기록했다. 연체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DGB캐피탈이다. DGB캐피탈의 3월 말 기준 연체율은 3.00%로 유일하게 3%대를 나타냈다. NPL비율이 가장 많이 늘어난 회사는 DGB캐피탈이다. DGB캐피탈의 올 1분기 NPL비율은 2.71%로 전년 동기 대비 1.55%p 증가했다. DGB캐피탈의 NPL비율은 금융지주 계열 캐피탈사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DGB캐피탈 관계자는 “업권 전반에서 부동산PF 부실로 대손충당금이 확대된 것과 달리 자사는 리테일 상품 취급을 늘림에 따라 충당금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
KB저축은행, 당기순이익 1위 달성…신한저축은행 유일하게 순익 감소 [1분기 금융 리그테이블][한국금융신문 김다민 기자]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실적이 회복세를 보이며 업황 개선 조짐을 보였다. 지난해 고금리 환경 및 부동산 금융 위기로 악화된 실적이 채권 매각 이익과 이자비용 및 충당금 전입액 감소 등의 요인으로 순익이 증가했다. 10일 각 사에 따르면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5개 사 모두 1분기 흑자를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이 가장 많은 곳은 KB저축은행이었으며 연체율이 가장 낮은 곳은 신한저축은행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당기순이익을 기록한 저축은행은 KB저축은행으로 올 1분기 113억원의 순익을 냈다. 지난해 말 기준 93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본 이후 3개월 만에 흑자전환을 이뤄냈다. KB저축은행은 “가격 정책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며 대출금 프라이싱을 강화시켰고 반대로 예수금 이자 비용 감축을 추진했다”며 “타사 대비 지난해 PF브릿지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많이 적립해 올해는 충당금 전입 규모가 비교적 크지 않아 순이익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KB저축은행에 따르면 일회성 요인으로 부실자산 정리가 영향을 끼쳤다. 3월 진행했던 채권매각이 당시 세후 80억정도의 매각 이익을 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 1위였던 신한저축은행은 올 1분기 순익 70억원에 그치며 2위로 내려왔다. 전년 동기(105억원) 대비 순익이 30억원 감소하며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 중 유일하게 순익이 감소했다. 다만 1분기 만에 지난해 4분기 당기순이익(30억원)보다 실적이 2배 넘게 개선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이어 하나저축은행이 18억원, NH저축은행이 17억원, 우리금융저축은행은 13억원을 기록했다.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과 자기자본순이익률(ROE)도 당기순이익 순위와 유사했다. ROA는 KB저축은행이 1.66%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신한저축은행 0.93%, NH저축은행 0.40%, 하나저축은행 0.28% 순으로 나타났다. ROE 또한 KB저축은행이 22.79%를 기록하며 압도적으로 높았다. 신한저축은행이 7.94%로 뒤를 이었다. NH저축은행은 3.26%, 하나저축은행이 2.03%로 드러났다. 연체율은 NH저축은행이 9.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말 6.63% 대비 3.28%p 상승한 수치다. NH저축은행의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말 4.02%부터 2분기 말 4.29%, 3분기 말 5.73%로 꾸준히 상승했다. NH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이 악화되며 프로젝트파이낸싱(PF)나 브릿지론 같은 부동산 금융 채권의 연체율이 많이 높아졌다”며 “저축은행 주관 펀드 및 캠코 매각 등을 추진하며 적시에 진행해 건전성을 관리하고자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KB저축은행은 6.85%로 전년 동기(4.23%) 대비 2.62%p 상승했다. 신한저축은행은 실적을 공시한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중 가장 낮은 5.33%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3.66%) 대비 1.67%p 상승한 수치다. 이번 실적개선은 채권 매각 등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은 저축은행중앙회와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위한 상호 협약 체결 및 1분기 중 최대 15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하기 위해 힘써왔다. 다만 부동산 시장의 불황이 길어지며 여전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험을 안고 있어 향후 실적 회복은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특히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은 당분간 부동산금융 손실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정호준 한국신용평가 금융·구조화평가본부 애널리스트는 지난달 15일 진행된 'KIS Webcast'에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은행계열 저축은행은 경착륙 시나리오 기준에서 충전영업이익 잠식률이 96%로 높아 당분간 부동산금융 손실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연착륙과 경착륙 시나리오까지는 중소형 증권사 대비 충전영업이익 잠식률 수준이 비교적 양호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추가 대손충당금 적립이 필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지난달 12일 나이스신용평가가 개최한 '부동산PF 손실인식 현황과 추가손실 전망' 세미나에서 김한울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 책임연구원은 “저축은행사의 부동산PF 추가 손실 규모는 약 2조6000억원에서 4조8000억원 사이로 추정된다”며 “지난해까지 적립된 대손충당금 규모보다 넘어 업권 전체에서 약 1조에서 최대 3조3000억원의 충당금을 추가 적립해야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김다민 한국금융신문 기자 dmkim@fntimes.com
SNS도 끊더니…정용진의 ‘신세계 1분기 매출’ 이렇게 달라졌죠신세계그룹이 1분기 어려운 업황에도 실적 반등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의 매출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작년 초부터 이어진 운영 효율화 작업으로 영업이익이 늘어나는 효과를 본 것으로 판단된다.
역시 '뮤'가 효자, 웹젠 1분기 영업이익 179억 원 기록웹젠이 8일(수), 2024년 1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매출은 61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6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79억 원, 당기순이익은 206억 원으로 각각 84.61%, 62.73% 상승했다.제품별 매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뮤' IP 기반 게임 매출은 4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다. 이는 작년 10월 서비스를 시작한 '뮤 모나크'의 흥행이 지속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2023년 1분기 실적 대비 기저효과까지 더해져 전년 대비 실적 호조를 보였다.웹젠은 올해 1분기, ‘테르
카카오게임즈 1분기 영업이익 123억 원, 전년 대비 8.1% 증가카카오게임즈가 8일(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한 2024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1분기 매출액은 약 2,46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2% 감소했다. 게임 부문은 모바일게임 및 PC게임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다. ‘오딘: 발할라 라이징(이하 ‘오딘’)’의 견조한 실적, 신작 ‘롬(R.O.M)’의 국내외 론칭 성과 일부 반영, PC온라인 ‘카카오 배틀그라운드’의 콘텐츠 업데이트 효과 등이 호재로 작용했다. 반면, 골프 및 스포츠 레저 통신 사업 등을 포함한 기타(비게임 부문) 매출은 계절적 비수기
‘배그’ IP 전방위 성장… 크래프톤, 1분기 영업익 9.7% 증가크래프톤이 8일(수), 2024년 1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1분기 매출은 6,659억원, 영업이익은 3,1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6%, 9.7% 증가했다.크래프톤 사업 부문별 매출액은 ▲PC/콘솔 2,552억원 ▲모바일 4,023억원 ▲기타 84억원이다. 이번 1분기에는 ’PUBG: 배틀그라운드(이하, 배틀그라운드)’ IP를 활용한 다양한 라이브 서비스로 매출과 트래픽 등 모든 부문에서 높은 성장을 이루었다.우선 ‘배틀그라운드’ PC/콘솔 부문은 지난 4분기 출시한 론도 맵 업데이트와 올해 1분기 출시한 성장형 무
대한항공, 1분기 영업익 4360억원 전년比 5.1%↑..."여객 수송량 빠른 회복"[한국금융신문 홍윤기 기자] 대한항공은 별도재무제표 기준 1분기 영업익 436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1% 늘었다고 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조8225억원으로 19.6%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3452억원으로 2.9% 감소했다. 대한항공은 매출은 여객 수송량의 빠른 회복과 견조한 화물수요의 영향으로 큰폭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영업익은 사업량 증가에 따른 유류비 및 공항·화객비 증가, 임금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 등의 여건 속에서도 여객사업의 개선 등으로 늘었다. 여객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2조3421억원 기록했다. 대한항공은 중국 노선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노선 공급이 2019년 수준으로 회복했으며, 동남아·일본 등 관광 수요 집중 노선에 적기에 공급을 확대해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밝혔다. 반면 화물사업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화물시장 및 운임 정상화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한 9966억원을 기록했다. 대한항공은 2분기 여객사업 경쟁심화에 대비해 수익성 기반 노선 운영에 나선다고 밝혔다. 화물사업에서도 중국발 전자상거래 물량 유치를 위해 화주와의 파트너십 강화, 주요 노선 공급 집중 등으로 경쟁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홍윤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ahyk815@fntimes.com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 효과, 위메이드 1분기 영업손실 줄였다위메이드가 8일(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적용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4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위메이드 1분기 매출은 약 16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상승했다. 영업손실은 약 376억원, 당기순손실은 약 590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약 92억 원 줄었으며, 당기순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05억 원 증가했다.부분별 매출로는 게임 약 1,522억 원, 블록체인 약 59억 원, 기타 약 21억 원, 라이선스 약 10억 원 등이다. 전체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임 부
김병희 DGB캐피탈 대표, 리테일 자산 20% 늘리며 고수익 중심 포트폴리오 재편 [금융사 2024 1분기 실적][한국금융신문 홍지인 기자] DGB캐피탈(대표이사 김병희)이 올 1분기 리테일(소매금융) 자산을 20% 가까이 확대하며 고수익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재편했다. 다만 리테일 상품 취급 증가에 따른 충당금 확대로 올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줄어들었다. 8일 DGB금융그룹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DGB캐피탈의 2024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205억원) 대비 34.6% 감소한 134억원을 기록했다. DGB캐피탈 관계자는 “고수익·고위험 상품인 리테일 취급을 확대함에 따라 대손충당금이 늘면서 당기순이익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DGB캐피탈의 지난 1분기 총영업이익은 471억원으로 전년 동기(470억원)와 비슷한 수준을 이어갔다. 이자이익이 2023년 1분기(401억원) 보다 2.5% 늘어난 411억원을 기록했지만 비이자이익이 같은 기간 13.0% 줄어든 60억원을 나타내면서 총영업이익이 전년 수준에 머물렀다. 총영업이익이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순익이 30% 이상 감소한 이유는 대손충당금 때문이다. DGB캐피탈의 올 1분기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213억원으로 전년 동기(131억원) 보다 62.6% 급증했다. DGB캐피탈 관계자는 “업권 전반에서 부동산PF 부실로 대손충당금이 확대된 것과 달리 자사는 리테일 상품 취급을 늘림에 따라 충당금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실제 DGB캐피탈의 소매금융은 지난해 1분기 전체 영업자산의 27%에 불과했지만 올해 1분기에는 31.7%까지 규모를 확대했다. 순익 감소에 수익성 지표는 하락했다. 기업의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가를 보여주는 ROE는 전년 동기(15.22%) 대비 6.81%p 떨어진 8.41%를 기록했다. 기업의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가를 나타내는 ROA는 전년(1.91%) 대비 0.71%p 줄어든 1.20%를 나타냈다. NIM(순이자마진)은 4.15%로 지난해 1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건전성 지표도 악화됐다. 지난 3월 기준 DGB캐피탈의 연체율은 3.00%, NPL비율 2.71%로 직전분기 대비 각각 0.62%p, 1.55%p 증가했다. DGB캐피탈의 올 1분기 총자산은 전년 동기(4조 3726억원) 보다 2.6% 증가한 4조 4859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자산은 2.2% 늘어난 4조 2300억원을 나타냈다. 영업자산 중 가장 큰 변화가 있었던 부문은 소매금융이다. DGB캐피탈의 올해 1분기 소매금융 자산은 1조 3409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 1178억원) 대비 19.9% 증가했다. 전체 영업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분기 2.70%에서 올 1분기 31.7%로 확대됐다. 반면 기업금융은 자산 규모가 축소됐다. DGB캐피탈의 올 1분기 기업금융 자산은 1조 362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1조 4697억원) 보다 7.3% 줄어들었다. 이에 전체 영업자산 중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1분기 35.5%에서 올 1분기 32.2%로 3.3%p 감소했다. 이는 DGB캐피탈의 고수익 중심 포트폴리오 재조정의 일환이다. DGB캐피탈은 기업-소매-자동차 금융의 고른 포트폴리오 운영으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수익성 중심 사업기반을 강화하고 이익창출능력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여기에 더해 포트폴리오 캡티브 가속화 추진을 통해 사업 안정성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
대구은행 순이익 6.5% 역성장…비이자이익 감소·보수적 충당금 적립 여파 [금융사 2024 1분기 실적][한국금융신문 한아란 기자] DGB대구은행(은행장 황병우)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6.5% 감소했다. 대출 자산이 늘며 이자이익이 증가했지만 기타 비이자이익이 크게 줄고 충당금 전입액이 늘어난 탓이다. 4일 DGB금융그룹에 따르면 대구은행의 올 1분기 순이익은 11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감소했다. DGB금융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보수적인 충당금 적립 기조가 이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1분기 총영업이익은 4112억원으로 이자이익 증가에 힘입어 전년 같은 기간보다 5.1% 증가했다. 세부 실적을 보면 1분기 이자이익은 3876억원으로 7.1% 늘었다. 순이자마진(NIM)이 하락했지만 원화대출 자산이 증가하면서 이자이익을 끌어올렸다. 대구은행의 NIM은 지난해 1분기 2.07%에서 올 1분기 2.02%로 낮아졌다. 반면 원화대출금은 1분기 말 기준 55조5744억원으로 대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잔액의 큰 폭 증가 등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10.0% 늘었다. 대기업대출은 4조8129억원, 중소기업 대출은 29조1718억원으로 작년 1분기 말과 비교해 각각 29.7%, 2.9% 불었다. 가계대출은 20조4489억원으로 17.1% 증가했고 공공·기타 대출도 15.8% 늘어난 1조1408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비이자이익은 2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2% 줄었다. 수수료 이익이 신탁 수수료 등을 중심으로 1.3% 늘며 234억원을 기록한 반면 기타 비이자이익은 96.7% 감소한 2억원에 그쳤다. 기타 비이자이익 가운데 유가증권 이익(340억원)이 41.7% 증가했지만 외환·파생상품 이익(21억원)은 67.2% 줄었고 대출채권 매각 손익(63억원)도 51.2% 쪼그라들었다. 충당금전입액 증가도 실적 악화 요인으로 작용했다. 대구은행의 1분기 충당금전입액은 982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3.8% 증가했다. 대구은행은 1분기 대손충당금으로 1년 전 대비 54.9% 늘어난 1035원을 적립했다. 기업 부문 대손충당금이 지난해 1분기 414억원에서 올 1분기 542억원으로 증가했고 가계 부문 같은 기간 대손충당금은 237억원에서 472억원으로 확대됐다. 특수금융 요주의 사업장 PD값 상향 등에 따른 추가 충당금은 153억원 규모로 적립했다. 대구은행의 건전성 지표는 악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1분기 말 기준 0.72%로 전년 동기보다 0.12%포인트 상승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0.07%포인트 오른 수치다. 연체율 역시 지난해 1분기 0.54%에서 올 1분기 0.64%로 높아졌다. 작년 4분기와 비교하면 0.03%포인트 상승했다. 가계 부문 연체율(0.47%)이 1년 전에 비해 0.20%포인트 뛰었고 기업 부문(0.72%)의 경우 0.05%포인트 올랐다. DGB금융은 은행 대출 자산의 양적·질적 성장으로 향후 대손비용이 안정될 시 은행 실적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천병규 DGB금융그룹 최고재무책임자(CFO)는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은행은 중소상공인, 취약 차주 익스포저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크레딧코스트(Credit Cost·대손비용률)를 현재 0.72%에서 올 연말까지 0.52%를 타깃으로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아란 한국금융신문 기자 aran@fntimes.com
“이래도 안 살래?” 포르쉐, 2024년 역대급 신차 러쉬 시작슈퍼카 시장에서 포르쉐, 람보르기니, 페라리는 각자의 장점을 살린 디자인과 성능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포람페’에서 포르쉐는 가장 약체라는 평가를 받고 있어, 다시 한번 굳건한 3강 구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전이 필요해 보인다.
PF 충당금에 발목…부산·경남은행, 순이익 ‘희비’ [금융사 2024 1분기 실적][한국금융신문 한아란 기자] BNK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올해 1분기 실적에 희비가 엇갈렸다. 부산은행은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이 감소한 가운데 충당금전입액이 늘면서 순이익이 줄었다. 경남은행의 경우 핵심 이익이 견조하게 증가한 데다 충당금도 소폭 확대되는 데 그쳐 순이익 개선에 성공했다. 1일 BNK금융그룹에 따르면 부산은행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12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8% 감소했다. 같은 기간 경남은행의 순이익은 19.1% 늘어난 1012억원을 기록했다. 부산은행은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이 줄면서 영업이익(3953억원) 증가율이 0.2%에 그쳤다. 이자이익(3829억원)은 1년 전보다 0.1% 감소했고 수수료이익(155억원)은 9.4% 축소됐다. 신탁이익(39억원)은 8.3% 늘었다. 부산은행의 1분기 말 기준 원화대출금은 58조94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 늘었다. 가계대출이 19조2799억원으로 10.7% 확대됐고 기업대출은 38조1277억원으로 3.1% 증가했다. 중소기업대출이 35조584억원, 대기업대출이 3조693억원으로 각각 2.4%, 11.7% 불었다. 순이자마진(NIM)은 지난해 1분기 2.10%에서 올 1분기 1.93%로 하락했다. 특히 충당금전입액이 큰 폭으로 늘면서 실적을 끌어내렸다. 부산은행의 올 1분기 충당금전입액은 71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7% 증가했다. PF 관련 충당금 339억원 미래경기조정 18억원 등 357억원의 추가 충당금을 적립한 결과다. 반면 경남은행은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이 견조하게 늘며 영업이익 증가세를 이어갔다. 경남은행의 이자이익(2594억원)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5.3% 증가했고 수수료이익(158억원)은 45.0% 뛰었다. 신탁이익(26억원)도 13% 늘었다. 경남은행의 원화대출금은 39조9748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5.6% 증가했다. 가계대출이 12조5703억원으로 2.6% 확대됐고 기업대출은 27조2억원으로 7.1% 증가했다. 중소기업대출이 24조9603억원, 대기업대출이 2조399억원으로 각각 6.0%, 23.0% 늘었다. NIM 역시 1년 전 수준인 1.92%를 유지했다. 경남은행의 충당금전입액은 2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하는 데 그쳤다. 경남은행은 부실 우려 차주 관련 추가 충당금 69억원 등을 쌓았다. 건전성은 두 은행 모두 크게 악화했다. 부산은행의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지난해 1분기 0.30%에서 올 1분기 0.44%로 상승했다. 연체율은 0.33%에서 0.62%로 높아졌다. 경남은행 역시 NPL비율이 0.46%, 연체율이 0.45%로 1년 전 대비 각각 0.09%포인트, 0.12%포인트 올랐다. BNK금융 관계자는 “경기 둔화와 금리 인상에 따른 부실증가로 NPL비율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한아란 한국금융신문 기자 aran@fntimes.com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