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백서 ⑪] "여론조사 없나요?"…깜깜이 선거가 초래한 '한 끗의 비극'
2024.04.24
'당 씽크탱크' 여의도 연구원 發 판세 분석 보고서, 지역 출마 후보자들에게도 깜깜이 '한동훈 일원화' 인한 소통 부재도 문제점 "집단지도체제 전환이 해결책" 목소리도 잠깐 시간을 4·10 총선이 열리기 약 한달 반 전인 2월 26일로 돌려보자. 아직 추위가 기승을 부리던 시기였지만 국민의힘 내부는 따뜻했다. 그 따뜻함의 원인은 총선에 대한 장밋빛 전망에서 비롯됐다. 당시 당 안팎에선 4·10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지역구에서만 최소 150석의 의석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란 이야기가 흘러나왔다. 오죽했으면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직접 "우리 국민의힘은 아직 국민들의 사랑과 선택을 받기에 많이 부족하고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며 내부 공지를 낼 정도였다. 한 위원장이 직접 경고문까지 내면서 입단속에 나섰지만 실제로 당시 국민의힘 내부는 희망에 가득 차 있었다. 근거 없는 희망은 아니었다. 당시 국민의힘의 지지율은 소위 '한동훈 효과'로 더불어민주당을 제칠 정도로 급상승한 상황이었다. 실제로 서울경제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2월 22~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5명을 대상으로 정당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국민의힘의 지지율은 한 달 새 3%포인트(p) 오른 41%를 기록하며, 한 달 새 4%p 내린 36%에 그친 민주당과 '골든크로스'를 이뤄냈다. 당시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이 민주당 지지율을 앞선 건 지난해 8월 이후 6개월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다. 아울러 당시 국민의힘은 '내일이 총선일이라면 지역구 의원으로 어느 정당 후보에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서도 41%의 응답자에게 선택을 받으며 40%였던 민주당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 같은 당 지지율 상승 요인은 한동훈 효과만은 아니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의료대란이 시작됐지만 당시엔 국민들의 여론도 의료개혁에 첫 걸음을 내딛은 정부에 호의적이었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3월 4일)과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언론인 회칼 테러 사건 언급(3월 14일)이 벌어지기 이전 시점이기도 했다. 지역구의 분위기도 좋았다. 바닥민심이 호전적으로 돌아서면서 승리의 기운이 국민의힘 후보들에게 조금씩 전파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 훈풍은 말 그대로 잠깐의 바람에 그치고 말았다. 여론조사와 같이 지역구에서 흐름을 이어갈 중앙당의 차원의 지원이 전무했기 때문이었다. 실제 기자가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를 취재하면서 국민의힘 후보들로부터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혹시 여론조사 돌고 있는 것이 있느냐"는 것이었다. 선거철 여론조사는 언론사가 여론조사 기관에 의뢰해 실시되는 것이 통상적인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한 가지 여론조사가 더 있다. 당 씽크탱크라고 불리는 여의도연구원이 자체적으로 돌리는 여론조사가 그것이다. 소속 당에서 실시했음에도 후보들이 여론 추이를 굳이 기자에게 묻는 이유는 여론조사 결과가 공유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었다. 언론사가 여론조사를 돌리는 일부 지역은 한정돼 있다. 그래서 보통은 여의도연구원이 전국 모든 지역구의 판세 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자료는 통상 일반인에게는 공표가 금지되는 비공개 자료다. 문제는 이 자료가 지역구 출마 후보자들에게까지 비공개됐다는 점이다. 국민의힘 소속으로 수도권에 출마했던 인사 A씨는 "처음 공천이 확정되고 나서 한 차례 여론조사 결과를 받고 나선 당으로부터 한 번도 자료를 받지 못했다"며 "오히려 후보자가 다른 이들을 통해 소문으로 내용을 파악하거나 소위 얘기하는 썰로만 추이를 대충 파악할 수밖에 없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수도권 출마자 B씨도 "제아무리 당협위원장을 맡고 있어도 지역구 현역이라면 알 수 없는 자료들이 있는데 이런 걸 취합해서 분석할만한 여력은 후보들에게는 없다"며 "지역의 민심이 어떻게 되고 특히 어떤 곳이 어떤 연령대가 강하다거나 약하다는 점을 알게 되면 그쪽에 집중하는 선거 운동이 가능한데 애초에 그런 판 자체가 깔리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여론조사의 부재는 후보가 그 지역에서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알기 어렵게 하는 장애물로 작용한다. 이 같은 선거를 깜깜이 선거라고 부른다. 이번 총선 과정에서 국민의힘 후보들이 나선 지역 중 격전지로 분류된 상당수 지역조차 깜깜이 선거를 치른 곳에 포함되기도 했다. 수도권 판세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 예고된 한강벨트가 대표적이다. 역대 총선에서 늘 초박빙 승부를 펼쳤고, 이번 22대 총선에선 국민의힘의 강세가 예고됐던 강동갑의 여론조사는 4월 3일 '여론조사 꽃'이라는 조사기관 한 곳에서만 실시됐을 뿐이다. 역대급 깜깜이 선거를 펼친 강동갑에서 전주혜 국민의힘 의원은 7만489표(47.88%)를 얻어 7만3791표(50.12%)를 얻은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3302표(2.24%p)차로 석패하고 말았다. 김근식 국민의힘 후보가 7만7072표(48.95%)로 8만358표(51.04%)를 얻은 남인순 민주당 후보에게 3286표(2.09%p)차로 석패한 송파병 지역의 여론조사 역시 이번 총선 기간 동안 여론조사 꽃(2월 26일), 리서치앤리서치(3월 25일), 조원씨앤아이(4월 4일) 등 3곳에서만 진행됐을 뿐이었다. 김병민 국민의힘 후보(4만8881표·47.46%)가 이정헌 민주당 후보(5만4105표·52.53%)와 5224표(5.07%p)차 승부를 펼쳤던 광진갑 지역도 이번 총선 기간 동안 여론조사공정(4월 2일), 케이에스오아이 주식회사(4월 3일) 등 2곳에서만 여론조사를 실시했을 뿐이었다. 이외에도 △중성동구을(3회) △중랑구갑·을(각1회) △영등포구을(4회) △동작구갑(5회) △양천구갑(4회) 등 지역도 5회 이하의 여론조사만을 거치면서 제대로 된 민심을 파악하기 어려웠던 지역으로 꼽힌다. 당 안팎에선 이 같은 상황이 벌어진 이유로 소통의 부재를 꼽는다. 당 지도부가 한 비대위원장에게 일원화 돼 있다 보니 '메시지 전달'에 집중했던 지도부가 다른 지원에 소홀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특히 지도부의 메시지가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으로 흐르면서 실제 바닥민심이 달라지는 걸 느꼈음에도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아쉬움을 토로하는 후보들도 있었다. 다른 수도권 출마자 C씨는 "전략 자체가 없었다. 그건 괜찮다. 전략은 수정하면 되니까. 그런데 지원유세를 빼고 아무런 도움을 받을 수가 없으니 그건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수도권 출마자 D씨도 "이미 (민주당 쪽으로) 바람이 한 번 불고 나니 뭘 어떻게 할 수도 없더라. 무슨 숫자라도 보여주면서 주민들을 설득해야 하는데 그런 게 없으니 진짜 뭘 어쩔 수 없더라"라고 답답함을 토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새로운 지도부의 체제가 '집단지도체제'로 가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지도부 체제가 일원화 돼 있으면 의사결정 속도가 빠를 순 있지만 체계적으로 팀을 나눠 지역을 도와야 하는 총선과 같은 전국 단위 선거에선 오히려 소통이 잘 안 될 수밖에 없다. 사람의 몸은 하나뿐이지 않은가"라며 "이제부터라도 집단지도체제를 통해 확실히 분업할 수 있는 부분은 분업해서 소통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총선백서 ⑩] '깜냥' 안 되는 참모가 선거 망친다 [총선백서 ⑨] 정권심판 바람 이겨낸 박수영…'선거 전략'이 '대역전극' 이끌었다 [총선백서 ⑧] 국민의힘은 왜 '김준혁 설화'에도 수원에서 참패했나 [총선백서 ⑦] 용산 뒤집은 '동부이촌동·한남동'의 힘 [총선백서 ⑥] '찻잔 속 태풍'이었던 與 캠페인과 한동훈의 정치적 향방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