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외부 식당 Archives - 뉴스벨

#외부-식당 (1 Posts)

  • "학식도 비싸 편의점으로"…개강에 식비 부담되는 대학생들 5천∼6천원대 학생식당 메뉴, 외부식당보다는 싸지만 여전히 부담 이화여대 학식 키오스크 앞에 늘어선 줄 [촬영 안정훈] (서울=연합뉴스) 계승현 안정훈 기자 = 지난 8일 서대문구 이화여대 기숙사에 위치한 학생 식당. 낮 12시가 넘자 3대의 키오스크마다 네댓명의 학생이 줄을 서서 식사 메뉴를 주문했다. 학생 대부분은 밥과 국, 4가지 반찬이 나오는 5천800원짜리 정식 메뉴를 골랐다. 이 식당에는 이른 오전부터 학생들의 발걸음이 이어진다. 1천원에 아침을 먹을 수 있는 조식 시간대에만 170∼180명이 이곳을 이용한다. 하루에 많을 땐 약 600명이 이곳에서 식사를 한다.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에 재학 중인 홍모(23)씨는 "신촌역이나 이대역 쪽 물가가 부담스러워서 조금이라도 저렴한 이 학식(학생 식당)을 찾게 된다"며 "최근에는 물가가 너무 높아서 학교 안에 있는 카페에 가는 빈도도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학식을 이용하기에도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은 학생들은 저렴하게 한 끼 식사를 때울 수 있는 컵밥을 찾기도 했다. 이화여대 정문으로부터 300여m 떨어진 한 컵밥집은 야채컵밥을 4천500원에 판매하고 있다. 가게 주인은 "하루 평균 60∼70명이 학생들이 이곳에서 끼니를 해결한다"고 전했다. 동양화과 4학년 이모씨는 이곳에서 점심을 포장하며 "아무래도 물가가 비싸니까 최대한 양 많고 가격이 저렴한 이곳을 찾게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대 학내 편의점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학생들 [촬영 계승현] 계속되는 외식 물가의 상승이 대학 캠퍼스에도 여파를 미치고 있다. 지갑이 얇고 주머니 사정이 빤한 대학생들에게는 개강 첫 주부터 아무래도 식비가 부담이다. 이 때문에 많은 대학생들이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식품처럼 상대적으로 저렴한 메뉴를 자주 찾게 되는데 장기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서울대의 경우 학식 메뉴 대부분이 5천500∼6천500원으로 외부 식당이나 외부 기관이 운영하는 학교 내 식당보다는 싸지만 학생들로서는 이마저도 마음 편히 사 먹기가 쉽지 않다. 특히 서울대는 여느 대학들과 달리 인근 상권과 꽤 떨어져 있어 캠퍼스 앞에서 주로 판매되는 비교적 저렴한 먹거리에도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 학생회관 인근에서 만난 화학과 신입생 이종우(21)씨는 "외부 기관이 운영하는 학내 식당에 가다가 너무 비싸서 학식을 사 먹기로 했는데, 이마저도 그렇게 싼 편은 아니라서 돈 아끼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서울대는 학생회관 지하 1층에서 밀키트도 판매하고 있지만, 끼니를 대신하기에는 부족한 데다 식사로 가장 그럴듯한 레토르트 식품(밀봉된 가공식품)의 경우 4천원 안팎이라 부담 면에서 학식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게 학생들 얘기다. 실제로 이날 점심시간 밀키트를 판매하는 공간에는 학생 2명만이 식사를 하고 있었지만, 지상 1층 생활협동조합 편의점은 김밥이나 과일을 사기 위한 학생들로 북적였다. 중앙도서관 편의점 앞 카페형 공간에도 빈 테이블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학생이 많았다. 중앙도서관에서 1년 반째 고시 공부를 하고 있다는 인문대학 이모(23)씨는 최선을 다해 하루 지출을 1만원 아래로 통제하고 있다고 했다. 이씨 같은 학생들에게 한 끼에 1만5천원 안팎을 써야 하는 외부 식당은 그야말로 언감생심이다. 그는 "밀키트가 입점했을 때 기대했지만, 편의점 김밥이 더 '혜자'(가성비가 좋다)라서 저녁은 편의점에서 사 먹는다"고 말했다. 학내 편의점 김밥은 2천500원 선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이씨는 "'집에 가서 먹으면 돈을 더 아낄 수 있지 않느냐'고 말할 수도 있지만, 저 같은 고시생들은 하루 종일 학교에 머물며 공부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그러기는 어렵다"며 씁쓸한 표정을 지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전체 평균(3.1%)보다 0.7%포인트 높았다. 이런 현상은 2021년 6월부터 33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 햄버거와 김밥, 냉면, 도시락 등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27개가 평균을 웃돌았다. 서울대 밀키트 가격 [촬영 계승현] key@yna.co.kr "이부진의 투자강의, 인원제한 1천명"…끊이지 않는 리딩방 사기 툭 하면 욕설에 폭행…회식 후 "데리러 와" 지시한 공군 원사 청주서 승용차가 배달 오토바이 치고 도주…1명 중상 전기톱으로 땔감 자르던 80대 절단 사고로 숨져 순천시의원, 식사 중 호흡 곤란…의식 불명 "멍키스패너로 폭행한 전 남친, 전자발찌도 없이 출소한다면…" 성착취물 피해자 속여 가해자 돈 받아다주고 사례비 챙긴 30대 아르헨서 프로축구 선수 4명이 기자 성폭행 의혹…여론 '공분' 배우 내털리 포트먼, 안무가 밀피에와 11년 만에 이혼 새벽 강변북로서 스포츠카가 화물차 추돌…2명 중상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추천 뉴스

  • 1
    '보물섬'에서 빛나는 새 얼굴, 홍화연은 누구?

    연예 

  • 2
    김용임, TV조선 E&M과 전속계약 [공식]

    연예 

  • 3
    최정 이후 19년 만에 뽑았던 이 선수, 내외야 겸업 도전…SSG 슈퍼 유틸리티로 거듭나나 "어색함 사라졌다"

    스포츠 

  • 4
    '이민호 셀프 열애설 논란' 박봄도 함께…2NE1, 이제 서울 앙콘만 남았다

    연예 

  • 5
    복귀전 159.8km 미쳤다, ML 55승 사이영상&100패 팀 에이스 컴백…美 경악 "아무도 159km 도달 못했는데"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월급 다 세금으로 나가네” ‘국민연금 개혁’ 어떻게 됐길래

    경제 

  • 2
    '의욕이 불러온 대참사' 천당과 지옥을 오갔다! 안토니, '1도움→다이렉트 퇴장' 베티스, 헤타페에 2-1 승리

    스포츠 

  • 3
    '송끄란'연휴엔 '한국 봄꽃여행'오세요!...태국 해외여행 성수기 겨냥, 한국관광 세일

    여행맛집 

  • 4
    베트남 무이네 여행 숙소 추천 빌라 아리아, 더 아남, 뱀부 빌리지 리조트

    여행맛집 

  • 5
    시청률 19% 뚫었다…SBS·MBC 신작 다 꺾고 '압도적 1위' 차지한 한국 드라마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