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상승서울 Archives - 뉴스벨

#상승서울 (3 Posts)

  • 서울 재건축 아파트 3월 이후 10주만에 상승 아시아투데이 정아름 기자 = 서울 재건축 아파트가 지난 3월 1일 이후 10주만에 상승으로 바뀌었다. 1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0.01% 상승해 지난 3월 1일(0.02%) 이후 10주만에 상승 전환했다. 재건축 대상은 준공 후 30년 이상 지난 노후 아파트 단지를 일컫는다. 거주 목적의 실수요 보다는 재건축 이후의 새 집을 기대하며 매입하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경기 변화나 제도에서의 변화에 민감한 시장이다. 정부가 주도하는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4월 27일부터 시행된 만큼, 이러한 제도 변화가 실제 서울 주요 노후 단지들과 1기 신도시를 자극할 수 있을지 가격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8주째 보합세(0.00%)다. 서울 8개구가 상승한 반면 하락은 3개구에 불과했다. 재건축은 0.01% 상승했고, 일반아파트는 가격 변동은 없었다. 신도시와 경기·인천도 보합(0.00%)을 기록했다. 서울 개..
  • 서울 집값 보합 전환…12개 자치구 매매가격 상승 서울 집값이 하락세에서 벗어나 보합(0.00%) 전환했다. 25개 자치구 중 12곳에서 집값이 상승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등) 매매가격은 0.12% 하락하며 한 달 전(-0.14%) 대비 낙폭이 축소됐다. 서울(-0.09%→0.00%)이 보합 전환한 가운데, 수도권(-0.15%→-0.11%)과 지방(-0.14%→-0.13%) 하락폭은 축소됐다. 수도권은 정주여건에 따른 지역·단지별 상승·하락의 혼조세를 보이는 중 일부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세를 보이며 서울은 보합 전환됐다. 경기(-0.19%)는 안양 동안구·파주시·성남 분당구 위주로 하락했으며 인천(-0.06%)은 미추홀구 등에서 하락했으나 중·부평·서구에서 상승하며 하락폭이 축소됐다. 서울 강북권에선 용산구(0.08%)가 한강로3가·이태원동 위주로, 광진구(0.07%)는 구의·광장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노원구(-0.11%)는 상계·중계동 구축 위주로, 도봉구(-0.11%)는 방학·쌍문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하락하며 강북지역 전역이 소폭 하락했다. 강남권에선 구로구(-0.11%)가 오류·구로·신도림동 구축 위주로, 관악구(-0.09%)는 붕천·신림동 주요단지 위주로 하락ㅎㅆ으나 송파구(0.14%)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및 오금동 위주로, 동작구(0.06%)는 흑석·본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하는 등 강남지역은 보합 전환했다. 지방은 강원(0.06%)이 동해·춘천시 위주로, 경북(0.04%)은 영천·상주시 위주로 상승했으나 세종(-1.05%)은 신규 입주물량 영향이 있는 어진·종촌동 위주로, 대구(-0.41%)는 달성군·달서구 위주로, 부산(-0.25%)은 해운대·연제구 위주로 하락했다.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은 0.05% 오르며 한 달 전(0.03%)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4%→0.19%), 서울(0.12%→0.19%)의 상승폭은 확대됐으나 지방(-0.08%→-0.08%)은 하락폭이 유지됐다. 수도권은 지역별 혼조세가 보이는 가운데 교통환경 및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되며 상승폭이 소폭 확대됐다. 서울(0.19%)은 노원·성동·용산구 위주로, 경기(0.13%)는 수원 영통·광명·성남 중원·고양 일산서구 위주로, 인천(0.42%)은 연수·중·미추홀구 위주로 올랐다. 서울 강북권에서는 노원구(0.57%), 성동구(0.55%), 용산구(0.30%), 서대문구(0.23%) 등이, 강남권에서는 구로구(0.28%), 영등포구(0.22%), 동작구(0.22%) 등이 올랐다. 다만 강남권에서 강동구(-0.09%)는 입주물량 영향이 있는 상일·길도 위주로 하락했다. 지방은 울산(0.12%), 전북(0.11%) 등 지역에서 전셋값이 상승했으나 대구(-0.44%), 경남(-0.15%) 등은 하락했다. 전국 월간 주택종합 월세가격은 0.09% 오르며 한 달 전(0.10%) 대비 상승폭이 줄었다. 수도권(0.16%→0.16%)은 상승폭 유지, 서울(0.11%→0.15%)은 상승폭 확대, 지방(0.04%→0.03%)은 상승폭 축소로 나타났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성관계 한번 거절 후 허락…하고 나선 울어라" 강사 발언 '충격' 윤석열, 국민과 언론 시키는 대로 하라 이재명, 동작을 7번 갔는데…나경원 승리 요인은 이것 '남은 인생 10년'→'청춘 18X2'→일본 스타 감독, 국내 극장가 틈새 저격 [D:영화 뷰] 정부, 해운산업에 2030년까지 민간 펀드 바탕 3.5조원 투입
  • '국제유가·농산물' 들썩… 8월 생산자물가 두 달 연속 상승 아시아투데이 정금민 기자 =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가 1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국제유가는 물론 농산물·서비스 가격 오름세가 이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1.16(2015년 수준 100)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런게 현실 드림카” 포르쉐 가격, 벤츠 AMG CLE 53 카브리올레 출시
  • “가격 2배? 타스만 사겠네” 7천짜리 포드 브롱코 잘 팔릴까 한숨 푹
  • “렉스턴 픽업 계약 취소!” 3천짜리 기아 타스만 역대급 스펙
  • “옵션 비싸겠네” 현대차 신차에 들어갈 역대급 기능 공개
  • “25년만의 후륜 구동 볼보” 아이오닉부터 테슬라까지 잡으러 온다!
  • “도대체 언제 나와?” 예비 오너들 목 빠지게 하는 EV5 알아보기
  • “겨울에도 끄떡없는 BYD 전기차?” 믿기 어려운 저온 주행거리에 갑론을박
  • “부모님 얼굴 좀 보자” 횡단보도 시민까지 위협한 무개념 10대 폭주족들

추천 뉴스

  • 1
    화장실 변기보다 20배 더럽다는 '이것'…침대에서 당장 치워야 합니다

    여행맛집 

  • 2
    [월요기획-개헌론 키워드 '지방분권'] 개헌은 이구동성, 방향은 동상이몽

    뉴스 

  • 3
    캠핑…좋아하세요?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국제아웃도어캠핑&레포츠페스티벌'

    뉴스 

  • 4
    [르포] 뜸한 발걸음·사업자 철수 의사…썰렁한 '상상플랫폼'

    뉴스 

  • 5
    '베복' 이희진, 대인 기피→체중 30kg였는데…'시상식서 되찾은 미소' [MD★스타]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이승환 "CIA 입국 거부? 그런 거 없다" 당당…美서 조카 결혼식 참석

    연예 

  • 2
    “디트로이트, 김하성 안 잡은 것 후회할 것…3루수로 쓰면 좋을 텐데” 419억원 유격수가 그리워? 실망 이르다

    스포츠 

  • 3
    돈이면 다일 줄 … 배인순, 재벌 결혼의 ‘실체’

    연예 

  • 4
    이재명 35조 추경 저격…안철수 “포퓰리즘”, 오세훈 “국민기만경제”

    뉴스 

  • 5
    적자에도 30년간 R&D…세계 첫 '전기차용 리튬전지' 개발

    차·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