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씨셀, 유씨아이테라퓨틱스와 CAR-NK 치료제 위탁개발생산 계약 체결지씨셀은 유씨아이테라퓨틱스(UCI Therapeutic)와 키메라 항원 수용체-자연살해(CAR-NK)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CAR-NK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CAR와 NK세포를 결합한 차세대 면역 항암 세포치료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지씨셀은 유씨아이테라퓨틱스 파이프라인 의약품의 안정성 시험 18개월을 포함해 향후 4년간 제조 및 보관, 품질 시험을 담당하게 된다. 일부 공정에 대한 개발 업무를 위한 장기적 파트너십도 체결했다. 정수영 유씨아이테라퓨틱스 대표는 “면역세포
중기부, AI 초격차 스타트업 '글로벌 유니콘'으로 만든다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10일 오전, 서울 조선팰리스 강남에서 생성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협회, AI 초격차 스타트업 및 관련 대기업 임직원, 전문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AI 스타트업 링크업(Linkup) 협의회’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의회는 3월 ‘온디바이스(On-Device) AI 챌린지’ 출범식에서 AI 스타트업이 대기업과 협업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할 수 있는 소통 채널을 만들자는 오영주 장관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기부는 이 자리에서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중공업, 말레이시아 MISC '7000억원' 규모 LNG선 2척 수주 임박[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말레이시아 선사로부터 7000억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을 수주할 전망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최근 말레이시아 해운회사 MISC와 17만4000㎥급 LNG 운반선 2척의 신조 건조를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선가는 척당 3595억 수준으로, 2척의 수주가는 약 7100억원으로 추정된다. 삼성중공업은 최근 중동 지역 선주와 LNG 운반선 4척을 1조4381억원에 계약했다. 신조선은 멤브레인(MarkⅢ Flex PLUS) 타입 화물창에 재액화 장치가 장착돼 가스 증발률이 낮고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BWTS) 적용으로 친환경 규제에 적합하게 건조된다. 삼성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스마트십 솔루션 에스베슬(SVESSEL)도 탑재돼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최적 운항(항로) 계획도 자동으로 수립하는 등 선박의 경제적이고 안전한 운항이 가능하다. MISC는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Petronas)를 위해 신조 주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MISC는 페트로나스의 해운 자회사이다. 페트로나스의 LNG 개발사업 투입을 위해 발주한 것으로 전해진다. MISC의 선대 갱신을 위한 발주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MISC는 중장기 운영 경쟁력을 강화하고 선대 갱신을 계획하며 노후선을 매각하고 있다. MISC는 올해 초 튀르키예 카르파워십(Karpowership)에 6만5000㎥급 포르토베네레(PORTOVENE, 1997년 건조), 레리치(Lerici, 1998년 건조)를 각각 900만 달러(약 125억원)에 판매했다. MISC와 삼성중공업의 인연은 꽤 깊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019년 MISC로부터 수주한 물량 17만4000㎥급 LNG운반선 2척을 2023년에 인도했다. 세리 다마이(Seri Damai), 세아 다야(Seri Daya)호는 미국 에너지 대기업 엑손모빌이 전액 출자한 해운 자회사 씨리버 마리타임(SeaRiver Maritime)에 15년 정기 용선된다. <본보 2023년 2월 5일 참고 삼성중공업, LNG선 2척 MISC에 인도…엑손모빌 용선> 지난 2020년에는 MISC에 9만8000㎥급 초대형 에탄 운반선(VLEC) 1척을 인도했다. MISC는 중국의 석유화학회사 STL(浙江衛星石化)이 용선할 목적으로 삼성중공업과 HD현대중공업에 VLEC 6척을 발주했다. 삼성중공업은 MISC와 부유식 이산화탄소 저장설비(FCSU) 개발도 협력한다. FCSU는 육상 터미널에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고갈된 해저 유·가스정에 저장하는 신개념 해양 설비다. 삼성중공업은 이산화탄소 포집·운송·저장에 이르는 CCS 밸류체인에 필요한 해양 솔루션 공급자(Provider)로서 MISC와 함께 FCSU 및 상부에 주입 설비가 탑재된 FCSU-I를 개발하고, 액화설비가 탑재되는 FCSU-L은 개발 전략을 수립해 CCS 시장에 본격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대한항공, 하와이 노선에서 '하늘의 여왕' 보잉 747기 뺀다[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하와이 노선에서 '하늘의 여왕' 보잉 747기를 철수한다. 9월 한 달간 호눌룰루 대신 싱가포르행에 B747을 띄워 차별화된 스케줄 제공으로 만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다음달 30일까지만 하와이 호눌룰루에 B747-8기를 띄운다. 당초 대한항공은 오는 10월4일까지 유일한 점보 기종인 B747-8로 호놀룰루 노선을 운항할 예정이었다. 대한항공은 스케줄 조정에 따라 해당 기종을 8월30일까지만 운항하고, 8월31일부터 10월4일까지 싱가포르 노선에 투입한다. 대한항공은 지난 10년간 B747-400 기종에 이어 B747-8 기종까지 모두 호놀룰루에 배치했다. 3월부터 8월까지가 여행객들이 하와이를 가장 많이 방문하는 시기라 점보기를 운항했다. 하와이 노선 외 다른 미국행 노선 운항 일정도 조정된다. 대한항공은 런던 히드로행 B747도 10월26일까지만 운항하고, 이어 10월27일부터는 히드로 대신 로스앤젤레스(LA) 노선에 매일 투입한다. '인천-파리' 노선은 8월 14일에만 B747이 운항한다. '인천-애틀란타' 노선은 매일 운항하고, '인천-뉴욕'은 B747이 7월까지 주 10회, 8~ 9월 매일 1회, 10월(10월 6일~26일) 매일 2회(10월 6일~26일 2회) 운항한다. 대한항공은 올해 B747-8i기를 △하와이 호놀룰루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HNL) △ 미국 하츠필드-잭슨 애틀란타 국제공항(ATL) △파리 샤를드골 공항(CDG) △시드니 킹스포드 스미스 공항(SYD) 등의 노선에서 운항해왔다. <본보 2024년 1월 30일 참고 대한항공, 올해도 '하늘의 여왕' B747 하와이·파리 등 운항> 대한항공은 점보기 답게 넓은 좌석과 프리미엄 인테리어로 고객 편의를 증대하며 B747-8i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퍼스트클래스에 '코스모 스위트 2.0' 좌석과 프레스티지 클래스에 적용되는 '프레스티지 스위트' 좌석은 편의성을 극대화했고,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도 멀티테스킹이 가능하는 등 대폭 개선했다. 대한항공은 B747-8i 8대를 운용 중이며, 올해 말까지 7개 노선에서 운항할 예정이다.
칠리즈, 전반기 K리그 득점공 32개 경매 성황…기성용 득점공 340만 원 ‘최고가’올시즌 K리그 전반기 11개 경기, 32개 득점공 경매 성공 10R FC서울 기성용 선수 득점공, 약 340만 원으로 최고가 친필 사인부터 블록체인 통해 득점 정보, 영상, 진품 확인 글로벌 스포츠ㆍ엔터테인먼트 블록체인 기업 칠리즈(CHILIZ)가 K리그와 함께 진행 중인 ‘경기 득점공’ 이벤트의 주요 성과를 10일 공개했다. ‘경기 득점공’ 이벤트는 K리그1 주요 경기 38개에서 나온 실제 득점공을 경매에 붙이는 이벤트다. 칠리즈는 8라운드부터 현재까지 총 14개 라운드 중 무득점 경기를 제외한 총 11개 경기에서 터진 32개
에스오에스랩, 차세대 자율주행 라이다 ‘ML-A’ 개발 순항…“연내 상용화 테스트 진행”에스오에스랩이 글로벌 자동차 부품 기업과 함께 개발 중인 차세대 자율주행 차량용 3D 고정형 라이다 ‘ML-A’의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이르면 하반기 상용화를 위한 초도 샘플을 제작해 연내 차량 탑재 및 성능 테스트를 진행할 전망이다. ‘ML-A’는 차량 탑재에 최적화된 고사양 고정형 3D 라이다다. 인식 가능한 수평각은 60도로 좌우 한쌍 기준 총 120도의 화각을 커버할 수 있다. 최대 탐지거리는 300m로 실내에서 쓰이는 라이다의 경우 탐지거리가 5~30m 수준에 불과하다. 해상도도 0.1도로 탐지
英 케임브리지 MBA 학생들, SKT 방문…"AI 사업 배우러"9일,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MBA 학생 및 교수진 40여 명 SKT 본사 방문 SKT 임원들이 자사의 AI 경쟁력과 글로벌 AI 사업 전략 등에 대해 직접 발표 영국 케임브리지(Cambridge) 대학교 MBA 학생들이 9일 SK텔레콤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MBA 측의 요청으로 성사됐으며, 글로벌 AI 열풍 속에서 SKT가 지속적으로 글로벌 빅테크들과 AI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점과 차별화된 AI 기술 및 서비스 경쟁력에 주목해 탐방하게 됐다고 케임브리지 측은 설명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MBA는
제약바이오협회, 내년 창립 80주년 계기로 ‘제약바이오산업 비전 2030’ 수립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내년 창립 80주년을 계기로 산업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제약바이오산업 비전 2030’을 수립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9일 서울 강남구 안다즈호텔에서 협회 창립80주년기념사업 추진 미래비전위원회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1945년 10월 설립된 협회가 2025년을 ‘창립 100년을 향한 대도약의 발판’으로 삼기로 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각종 사업 추진을 본격화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협회는 그간의 창립기념사업 사상 처음으로 통상적인 기념사업추진위와 별도로 미래비전위원회를 구성, 한국
NHN클라우드, 일본 GTMF 2년 연속 참여…“어뷰징, NHN앱가드로 해결”엔에이치엔 클라우드는 GTMF 2024(Game Tools & Middleware Forum 2024)에 2년 연속 참여해 일본 시장에 NHN앱가드로 앱 어뷰징과 치팅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노하우를 소개했다고 10일 밝혔따. GTMF는 각종 게임 개발 지원 툴 및 미들웨어를 발표 세션과 전시 부스로 만나볼 수 있는 일본의 게임 비즈니스 콘퍼런스로 지난달 28일 오사카 Congrés Convention Center(콩그레 컨벤션 센터), 이달 9일 도쿄 아키하바라 UDX GALLERY NEXT THEATER(유디엑스 갤러리 넥스트
사이버엠디케어, 美 원격 응급의료센터와 원격 응급진료 서비스토마토시스템 종속회사 사이버엠디케어(CyberMDCare)와 미국 원격 응급의료센터인 SUCC(Smart Urgent Care Center)는 센터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고 10일 밝혔다. 응급의료센터는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환자, 노인, 빈곤층 등 사회적 약자와 기침, 감기, 독감, 결막염, 통풍, 알레르기, 후두염, 설사 등 ‘준(準)응급질환 환자’에게 사이버엠디케어의 화상진료와 원격진료(RPM)로 365일 24시간 연중무휴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SUCC는 메디케어 보험 가입자뿐만 아니라 보험 가입이
스피드메이트·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 수입차 통합 플랫폼 협업SK네트웍스의 자동차 종합 관리 브랜드 스피드메이트는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과 ‘수입차 통합 플랫폼 업무 제휴’ 협약을 맺었다고 10일 밝혔다. 수입차 통합 플랫폼은 사고 수리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유통 대리점, 수리 공임을 산정하는 정비업체, 적정 보험금을 책정하고 지급하는 보험사까지 연계하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복잡한 부품·공임 청구 절차를 간소화하고 정비 시장의 투명성을 개선해 고객 편의를 높였다. 이 플랫폼을 통해 스피드메이트가 유통하는 일반 수입차 부품과 함께 에코(ECO) 부품도 주문할 수 있다. 에코 부품
중진공, 2024년 챌린지진단 참여기업 모집… 중기 활력 높인다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중소벤처기업의 활력 제고 및 경기불황 극복을 위해 ‘2024년 제2차 챌린지진단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 챌린지진단은 분야별 전문가가 중소기업의 문제점 도출, 원인 분석 및 기업의 특성에 맞춘 솔루션을 제공하는 문제 해결형 진단 프로그램이다. 지원대상은 매출액 50억 원 규모 이상의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으로, 신청기업 중 심의위원회를 통해 최종 선정된다. 중진공은 지난 4월 1차 모집을 통해 총 52개사를 선발해 지원 중이며, 이번 2차 모집에서는 약 50개사를 선정할 계
신동국·임종윤 "한미약품 경영권 분쟁 끝났다"신동국 한양정밀 회장과 임종윤 한미약품 사내이사가 한미약품 그룹 가족 간 경영권 분쟁의 종식을 선언했다. 임종윤 이사 측은 10일 "창업주 임성기 전 회장은 물론 배우자 및 자녀 일가로부터 두루 신뢰받는 신 회장을 중심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됐던 가족 간 분쟁이 종식됐다"라고 밝혔다. 최근 신 회장은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과 임종윤 이사를 포함한 가족들을 수차례 만나 갈등 중재에 나섰다. 신 회장과 임종윤 이사는 각계 전문경영인을 경험한 최고의 인력풀을 놓고 모든 주주가 바라는 밸류업과 신속한 성과까지 이어지게 하는 데 필요한 인
JW중외제약, 제핏과 ‘제브라피쉬’ 활용 대사질환 신약 개발JW중외제약은 열대어 ‘제브라피쉬(zebrafish)’ 모델 전문 비임상시험기관인 제핏과 대사질환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JW중외제약은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 신약후보물질 연구에 제핏의 제브라피쉬 모델을 활용한다. 제핏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적용한 대사성질환 맞춤형 제브라피쉬 모델과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을 지원한다. 양사는 올해 말까지 새로운 기전의 혁신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연구개발(R&D) 플랫폼 ‘주얼리’
“알뜰소비 겨냥” CU, 멤버십 사후 적립 통했다편의점 CU의 멤버십 사후 적립 서비스가 인기다. CU는 지난달 토스와 손잡고 시작한 ‘CU멤버십 사후 적립 서비스’가 누적 가입자 수 110만 명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CU멤버십 사후 적립 서비스는 토스 앱에서 CU멤버십을 연동하면 결제 이후에도 별도로 포인트 적립이 가능한 서비스다. 국내 최초로 멤버십 연동 사후 적립 시스템을 선보이게 됐다. 이용 방법은 토스 앱의 사후 적립 서비스 메뉴에서 CU멤버십을 연동한 뒤, 익일부터 사후 적립을 신청할 수 있다. 직전 14일 동안 CU에서 사용한 카드 내역이 자동 분석, 적립
케이조선, '5400억 규모' 중동 GEM·베트남ASP 석유화학제품운반선 6척 수주[더구루=길소연 기자] 케이조선이 수주한 석유화학제품선 6척의 발주처가 아랍에미리트(UAE) 선사 걸프에너지마리타임(Gulf Energy Maritime·GEM)과 베트남 선주·선박관리회사인 아시아태평양해운(Asia Pacific Shipping, ASP)으로 확인됐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조선은 GEM으로부터 7만5000DWT급 LR1 탱커 4척을, ASP로부터 5만DWT급 석유화학제품선(PC선) 2척을 수주했다. 6척의 수주가는 5400억원 규모이다. 신조선은 이중연료(DF) 추진선으로 전통연료를 사용한다. 미래 친환경 조건을 만족해 향후 LNG, 메탄올, 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 추진선으로 쉽게 전환될 수 있다. 또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 기준을 적용해 에너지효율지수(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EEDI) 3단계 지수를 만족한다. 이번에 수주한 선박의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에는 KDB산업은행과 시중은행이 참여할 예정이다. 발주처는 선수금을 떼일 경우에 대비해 조선사에 RG를 받아올 것을 요구한다. 선박을 수주한 조선소는 국책은행 등에 수수료를 내고 RG 발급을 받아야 하는데, 금융사는 조선사별로 RG 발급 한도를 정해놓아서 RG를 발급받지 못하면 수주가 취소된다. 통상 RG 발급 시한은 수주 후 3개월이다. 케이조선은 이번 계약에 선가와 고객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기존 계약 대비 매우 높은 선가로 계약을 맺었다는 점과 기존 고객층을 벗어나 새로운 고객군을 확보해서다. GEM은 그동안 HD현대미포에 PC선을 주문해오다 이번에 처음으로 케이조선에 발주했다. ASP 역시 첫 주문이다. ASP는 최근 중국 광저우 조선소 인터내셔널(Guangzhou Shipyard International, GSI)에도 메탄올 이중 연료 MR 유조선 2척을 발주했다. GEM은 지난 2004년 UAE 국영석유회사 ENOC와 UAE 국부펀드인 국제석유투자(IPIC), 오만 국영투자회사 OOC, 프랑스 탈레스(Thales)간의 합작투자로 설립됐다. 석유 제품, 화학 물질 및 기타 탄화수소를 운반하도록 설계된 최신식 이중 선체 탱커를 관리하고 있다. 현재 LR1 제품 탱커 1척과 화학·제품 유조선 6척 등 총 7척의 무역선을 보유하고 있다. 오는 2025년에 4척, 2026년에 2척 등 6척의 신조 PC선과 LR1 4척을 추가 인수한다. 신조선 모두 HD현대미포에서 건조한다. ASP는 20척의 선대를 보유하고 있다. 선종은 벌크선, 가스선, 일반 화물선, 유조선으로 구성됐다. 한편, 케이조선은 6척의 신조 수주로 올해 수주 실적이 총 11척, 8600억원으로 늘어났다. 올해 수주 목표액 59%를 달성했다.
테슬라, 2분기 美 전기차 점유율 50% 이하 '뚝'…절반 이하 최초[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안방인 미국에서 처음으로 분기 점유율 50%를 밑돌았다. 현지 전기차 시장 규모가 두 자릿수 확대됐으나 불구하고 홀로 판매량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기존 라인업을 고수하는 가운데 경쟁 완성차 업체들이 앞다퉈 최신형 전기차 모델을 선보이고 있는데다 중국산 배터리 탑재로 세액공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입지가 위축되고 있다. 10일 자동차 시장 조사업체 콕스오토모티브에 따르면 테슬라의 2분기(4~6월)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49.7%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년(59.3%)과 비교해 9.6%포인트 하락한 수치이다. 분기 점유율이 5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최초다. 2분기 판매량은 전년 대비 6.3% 감소한 17만5000대로 추정된다. 이는 테슬라 글로벌 판매량을 기준으로 추산한 수치이다. 앞서 테슬라는 2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대비 4.8% 축소된 44만4000대를 판매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같은 기간 미국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11.3% 두 자릿수 확대됐다는 점에서 테슬라 시장 장악력이 급속도로 위축되고 있다는 평가이다. 해당 분기 미국 전기차 시장 규모는 33만 대로 집계됐다. 업계는 미국 전기차 시장 내 경쟁이 심화된 데 따른 결과로 보고 있다. 테슬라를 제외한 거의 모든 자동차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그룹인 자동차 혁신 연합(Alliance for Automotive Innovation)이 9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미국 시장에서는 100개 이상 전기차가 판매되고 있다. 모델의 공급과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이 하락해 구매 진입장벽이 낮아졌다. 콕스오토모티브는 "몇 년 전만 해도 테슬라에는 경쟁자가 그리 많지 않았다"며 "그러나 최근 들어 완성차 업체들이 300마일 이상을 주행할 수 있는 전기차를 잇따라 출시하고 있으며 이들 모델은 테슬라 전기차의 성능과 동일하거나 초과한다"고 설명했다. 기존 완성차 업체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적은 서비스 네트워크 역시 테슬라 판매량 하락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대규모 서비스 네트워크를 토대로 유지보수와 수리를 즉각 제공할 수 있는 기존 완성차 업체들이 판매하는 전기차를 선택하는 고객들이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판매 라인업 노후화도 문제로 지적된다. 최신형 전기차 모델들의 등장으로 지난 2020년 판매를 시작한 브랜드 베스트셀링카인 모델Y는 업계 표준 구식 전기차 모델로 분류된 상태이다. 현지 세액공제 정책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 보급형 세단 모델3는 지난 1월 중국산 배터리 부품을 활용했다는 이유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공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에 따라 테슬라는 지난 5월 모델3 항속형 모델의 배터리 원산지를 교체했지만, 다른 완성차 업체들의 판매 장려금은 여전히 테슬라보다 9배가량 월등히 높은 상태이다.
맥도날드 반복되는 '감튀 실종' 원인 봤더니…지난달 20일 감자튀김 판매를 일시 중단했던 한국맥도날드가 21일 만에 정상 판매를 재개했다. 2021년과 2022년에 이어 3번째 판매 중단 사태다. 업계에선 맥도날드의 냉동감자 수급 불안정의 요인 중 하나로 한정적인 공급처를 지목한다. 2021년과 2022년 한국맥도날드를 비롯해 버거킹, 롯데리아 등 국내 주요 패스트푸드점이 감자 수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기후변화로 인한 감자 생산량 감소와 팬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기간 벌어졌던 세계적인 물류대란이 이유였다. 과거와 달리 이번 "감튀 실종"은 한국맥도날드만 겪었다. 한국맥도날드 관계자는 "일부 냉동감자가 기준 미달이 우려돼 선제적으로 제품 제공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국내 주요 패스트푸드점은 대부분 수입산 냉동감자를 사용한다. 미국의 러셋 버뱅크종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국내산 수미 감자는 수분이 많아 품종 특성상 감자튀김 제조에 적합하지 않아 수입 냉동감자를 사용한다. 한국맥도날드는 미국의 감자 전문 ..
에어프레미아, “늘어나는 ‘1인 승객’…뉴욕 노선에 가장 많아”전체 탑승객 10명 중 4명이 1인 여행 고객 1인 여행 가장 많은 노선은 미국 뉴욕 노선 에어프레미아가 자사 탑승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인 승객’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프레미아는 올해 상반기 자사 탑승객을 분석한 결과 전체 탑승객의 39.7%가 혼자 해외로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동기간의 38.5%보다 1.2%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이 결과는 1인 단독으로 항공권을 예약하고 발권했을 때 '1인 여행객'으로 분류했으며, 동반자와 별도 예약을 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지난 6월 문화체육
현대로템, 폴란드 PGZ와 신규 컨소시엄 합의서 체결현대로템이 폴란드형 K2 전차(K2PL) 본 계약을 위한 신규 합의서를 체결했다. 현대로템은 9일(현지시간) 폴란드에서 현지 국영방산그룹 PGZ와 K2PL 생산ㆍ납품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신규 컨소시엄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파베우 베이다 폴란드 국방차관과 크리스토프 트로피니악 PGZ 회장, 임훈민 주폴란드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이사 사장 등 양국 정부 및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신규 합의서 체결은 기존 컨소시엄 계약 시한이 지난달 만료됨에 따라 컨소시엄 협력 연장을 위한 후속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