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인도 신형 SUV ‘클라비스→시로스’ 상표 변경[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연말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형 SUV 모델 현지 출시를 앞두고 모델명을 변경했다. 특히 판매 가격은 1000만원 안팎으로 향후 기아 인도 주력 모델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12일 인도 특허당국 등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 3월 21일 인도 특허청에 새로운 상표 '시로스'(Syros)를 등록했다. 상표 번호는 6359219이며, 현재 등록 승인이 완료된 상태이다. 이는 기아가 연말 현지 출시를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소형 SUV 모델이다. 당초 모델명은 클라비스, 코드명 AY였다. 시로스는 전장 3800mm로 기아 인도 SUV 라인업 중 가장 작은 모델이 될 전망이다. 외관 디자인은 브랜드 소형 SUV 쏘울에서 영감을 받아 박스형 디자인으로 꾸며지고 있다. 기존 현지 인기 SUV 모델인 쏘넷과 셀토스 디자인과 차별화를 이루는 독특한 디자인을 선보이기 위해서다. 특히 쏘넷 운전자들의 피드백을 토대로 뒷좌석 공간을 최대로 확보하고 있다. 쏘넷의 경우 더 넓은 트렁크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뒷좌석 공간을 줄인 바 있다. 시로스는 내연기관과 전기차 두 가지 버전으로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파워트레인은 1.0리터 터보 가솔린 모터와 6단 iMT 또는 7단 DCT 변속기 결합이 유력하다. 해당 파워트레인의 경우 최고 출력 120PS, 최대 토크 172Nm 성능을 나타낼 전망이다. 전기차 버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확인된 바 없다. 다만 일반적인 산업 표준을 고려할 때 1회 충전 주행 거리는 최대 400km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 모델로는 현대차 엑스터를 비롯해 타타 펀치 마루티 프롱스 등이 꼽힌다. 이들 모델은 인도 시장에서 월평균 합산 판매량 2만3000대 수준을 기록하는 등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소형 SUV 차량이다. 특히 엑스터는 시로스와 동일한 플랫폼을 탑재하고 있는 모델로 현지 소형 SUV 시장에서 점유율 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현지 판매 가격은 가솔린 모델이 1000만원 안팎이며, 전기차의 경우 약 1500만~2128만원으로 예상된다. 콤팩트한 크기와 높은 현지화 수준을 감안할 때 가격은 쏘넷보다 소폭 프리미엄이 붙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해당 부문 내에서는 여전히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는 평가이다. 기아는 연말 출시에 이어 내년 공식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시로스 출시 이후 기아 현지 시장 입지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기아 SUV 현지 판매량은 연간 약 24만대(점유율 12%)"이라며 "시로스 출시 이후 기아 현지 시장 점유율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 무료 대여 서비스 日 상륙[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일본 여행사와 손잡고 갤럭시 S24 시리즈 무료 대여 서비스를 실시한다. 한국을 시작으로 대여 서비스를 확장해 갤럭시 S24 시리즈 알리기에 나선다. 1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일본법인은 지난 7일부터 갤럭시 S24 시리즈를 무료 대여 서비스를 신청받고 있다. 도쿄 하네다 공항을 출발해 한국(서울)·대만(타이베이)·홍콩으로 떠나는 14세 이상 여행객이 대상이다. 갤럭시 S24 시리즈를 무료로 대여하기 위해서는 일본 대형 여행사 'JTB'의 해외 여행 투어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한다. 3~4일 일정의 여행 기간 동안 대여할 수 있다. 와이파이(Wi-Fi) 라우터 1대도 함께 제공된다. 여행 국가별 서비스 기간은 상이하다. 한국은 5월 17일부터 8월 26일까지, 대만과 홍콩은 6월 28일부터 8월 26일까지 진행한다. 최소 여행 출발 5일 전까지 신청해야 렌탈 제품을 받아볼 수 있다. 삼성전자는 국내에서도 갤럭시 S24 시리즈 무료 대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모두투어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신청 후 선착순으로 운영된다. 대여 제품은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3층 픽업 데스크와 제2여객터미널 3층 갤럭시 스튜디오에서 수령할 수 있다. 갤럭시 S24 시리즈는 삼성전자가 올 1월 출시한 플래그십 스마트폰이다. 기기 자체에서 인공지능(AI)를 구동하는 첫 AI폰이다. 13개 언어로 △실시간 통화 통역 △메시지 번역 등을 제공한다.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 온디바이스 AI를 기반으로 기능을 제공해 보안도 걱정 없다. 이밖에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 △생성형 편집 등도 호평을 받고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 칠레 新 배기가스 배출 기준 엄격 적용[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칠레에서 판매되는 중장비에 칠레 환경부가 공표한 새로운 배기가스 배출 기준을 적용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 칠레법인(HD Hyundai Infracore Chile S.A)은 칠레 환경부의 최고 법령 39호를 준수한다. 새로운 배기가스 배출 기준은 중장비 유통업체에 엄격한 조치를 요구한다. 이 법령은 칠레는 국내의 산업 발전과 더불어 기후변화로 인해 심각한 환경 오염을 직면해오자 대기오염 환경정책의 일환으로 2021년에 공표됐다. 작년 10월 21일부터 발효 중이다. 칠레 환경부가 설정한 법령 39호는 19~560kW 출력을 가진 모든 수입 기계는 기준 발표 후 24개월이 경과한 후 스테이지(Stage) 4단계 또는 5단계 규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단, 트랙터는 예외로 30개월이 기간이 주어진다. 법령 시행 후 칠레의 제조업체 또는 법정 대리인, 이동식 기계의 유통업체, 수입업체 등은 칠레 환경 감독관에게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HD현대인프라코어도 법령 39호 시행에 따라 최근 신기술 적용을 위해 광범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예비 부품의 가용성, 인력의 기술적 준비, 고객사의 정비사와 운전자를 위한 교육 과정 구성 등 종합적인 상업 계획을 수립했다. 세자르 부게뇨(César Bugueño) HD현대인프라코어 라틴아메리카 지역 서비스 매니저는 "회사는 단순한 규정 준수를 넘어 지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엔진 작동이 디젤에만 의존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유황 함유량이 적고 저장성이 좋은 더 나은 품질의 연료가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HD현대인프라코어 칠레 전문가의 추천을 받아 안전과 환경, 운영과 유지보수 분야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고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초저유황 디젤 사용과 적절한 보관, 모든 규정을 충족하는 정품 데벨론 CJ4 엔진오일 사용, 애드블루와 같은 디젤 배기 시스템용 유액 사용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면서 "고객은 회사의 조언과 가용 리소스를 통해 장비의 성능과 생산성을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의 사항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안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HD현대인프라코어 칠레법인은 현지에서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근접성과 서비스로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고 있다. 여기에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고객에게 더욱 다재다능한 장비를 제공해 새로운 작업을 수행하고 수익을 극대화한다. <본보 2023년 11월 9일 참고 HD현대인프라코어, 디벨론 맞춤형 솔루션으로 남미 서비스 강화>
삼성전자, 중남미 대표 택배 플랫폼 ‘페디도스야' 전략적 제휴[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중남미 최대 배달 플랫폼 '페디도스야(Pedidos Ya)'와 손을 잡았다. 현지 배송 서비스 역량을 강화,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고 판매량 확대를 꾀한다. 1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파나마법인은 최근 '페디도스야'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페디도스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삼성전자 가전제품을 구매 가능하며, 고객은 별도 배송비 없이 최대 72시간 내(파나마시티 기준) 배송받을 수 있다. 페디도스야 앱을 통해 구매 가능한 제품은 진공청소기 등 소형 가전부터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등 대형 가전까지 다양하다. 소비자들은 삼성전자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할 필요 없이 페디도스야 앱에서 간편하고 쉽게 삼성전자 가전제품을 확인하고 구입하면 된다. 특히 대형 가전을 구입해도 운송 걱정을 덜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삼성전자는 현지 온라인 판매 채널을 다변화하기 위해 페디도스야와 협력을 결정했다. 오프라인에서 점차 온라인 중심으로 판매망이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에 발 맞추기 위한 전략인 셈이다. 페디도스야는 2009년 설립돼 우루과이에 본사를 둔 회사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독일 딜리버리히어로가 지분 70%를 보유하고 있다. 음식 배달 전문 플랫폼으로 시작했으나 현재 픽업·택배까지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음식 배달 플랫폼 중에서는 우버이츠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대표 기업이다. 파나마를 비롯해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도미니카공화국, 볼리비아 등 중남미 전역 15개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베로니카 코르도바 삼성전자 파나마법인 가전 담당은 "고객 경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것이 우리의 약속"이라며 "페디도스야와의 이번 파트너십은 우리의 범위를 확장하고 소비자에게 가전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방법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파나마법인은 삼성전자가 창립 이래 처음으로 해외에 설립한 지점이다. 1977년 컬러TV도 파나마에 최초로 수출했다.
기아 EV9 GT라인 말레이시아 출격…벤츠 EQS '타깃'[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플래그십 전용 전기차 모델 'EV9'이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 중 하나인 말레이시아 시장에 출격했다. 현지 시장에 맞춘 트림과 가격을 토대로 수요 확보에 나선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 6일 말레이시아 시장에 EV9 GT라인을 공식 출시했다. 6인승과 7인승 2가지 버전으로 선보였으며 현지 판매 가격은 각각 37만4668링깃(한화 약 1억800만 원)과 36만9668링깃(약 1억660만 원)으로 책정했다. 현지 전기차 시장 규모를 고려해 태국보다 저렴하게 정했다는 설명이다. 해당 가격에는 5년/15만km 차량 보증과 8년/16만km 배터리 보증이 포함됐다. EV9 GT라인의 현지 경쟁 모델로는 메르세데스-벤츠 EQS가 꼽힌다. 7개 좌석을 갖춘 유일한 대형 전기 SUV 모델이라는 이유에서다. EQS 현지 판매 가격은 69만9888링깃(2억180만 원)으로 EV9 GT라인과 비교해 1억 원가량 더 비싸다. 현지 업계 관계자는 "벤츠 EQS는 프리미엄 브랜드 전기차 모델이라는 점에서 EV9 GT라인과 비교하기 어렵다"며 "하지만 EV9 GT라인이 플래그십 대형 전기차 모델인데다 고성능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현지 소비자들에게는 1억 원의 가격 차이가 상당한 매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EV9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에 기반한 플래그십 전용 전기차 모델이다. 웅장함이 돋보이는 외관과 새로운 차량 경험을 제공하는 실내 공간을 갖췄다. 99.8k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고 3D 언더커버, 공력 휠, 프론트 범퍼 에어커튼을 적용해 기아 전기차 라인업 중 가장 긴 501km의 1회 충전 주행거리(19인치 휠 2WD 모델 산업부 인증 기준)를 달성했다. 말레이시아 시장에 출시된 GT라인의 경우 최고출력 283kW(384마력), 최대토크 700Nm를 기반으로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5.3초만에 도달할 수 있다.
포스코 인니 합작사, 현지 산업 인력 양성 '잰걸음'[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 인도네시아 합작사인 크라카타우 포스코(KRAS)가 현지 인력 확보에 나섰다. 인니 교육기관과 협력해 시너지를 높이고 산업 인력을 양성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KRAS은 8일(현지시간) 술탄 아젱 티르타야사 대학교(Sultan Ageng Tirtayasa University, Untirta)와 독립형 캠퍼스 학습 구현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MOU 서명식에는 디키 마르디아나(Dicky Mardiana) KRAS HRGA 이사 등 회사 관계자와 파타 술라이만(Fatah Sulaiman) 운타르타 대학교 총장, 대학교 임직원이 참석했다. MOU는 지식 공유 활동, 공개 강의, 워크숍 또는 교육 실행, 인턴십 프로그램 실행, 캠퍼스 채용 및 취업 박람회를 통한 채용 프로그램, 과학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된다. 이번 협력은 대학과 산업계 간 협력을 강화해 개선이 필요한 우수인재를 양성하고, 이를 통해 지역 아이들이 높은 경쟁력을 갖고 미래 국가 철강산업의 리더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키 마르디아나 KRAS HR·GA 이사는 "현재 크라카타우포스코에서 성공적으로 리더 자리를 맡아 첫 발을 내딛으며 최고의 역량을 발휘한 운티르타 동문이 62명 정도"라며 "KRAS와의 좋은 협력은인적 자원의 질과 대학의 미래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파타 술라이만 총장은 인재양성의 기회를 준 것에 감사를 표하며 "특별한 기회를 준 크라카타우 포스코에 감사드린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향후 협력 이행 활동을 발전시키고, 독립학습캠퍼스(MBKM)의 커리큘럼과 실행 측면에서 더 나은 발전은 물론 지속 가능한 협력을 구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양측은 지난 2018년 운티르타 토목공학과 함께 콘크리트 원료를 사용해 실험실에서 포장 블록에 대한 압력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협력했다. 이어 2021년에는 슬래그의 친환경적 활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등 연구-조사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술탄 아젱 티르타야사 대학교는 인도네시아 반텐(Banten) 지방의 유일한 주립 대학이다. 메인 캠퍼스는 세랑(Serang)에 있다. 법률, 교사 훈련 및 교육, 공학, 농업, 경제, 사회 및 정치 과학, 의학 등 7개의 학부가 있다. 크라카타우포스코는 포스코와 인도네시아 국영철강회사인 크라카타우스틸(KRAS)이 합작해 설립한 일관제철소다. 2013년 12월부터 생산능력 300만t(톤) 규모의 고로 1기와 후판 공장을 가동 중이다. 향후 5년간 공동으로 35억 달러(약 4조6400억원)를 투자해 제2고로와 냉연공장을 신설하고 연간 조강생산량을 600만t 이상으로 확대하는 한편 자동차 강판 생산 설비도 구축할 계획이다.
신세계백화점 스위트파크 ‘로컬 팝업’ MZ에 통했다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 문 연 디저트 전문관 ‘스위트파크’가 비수도권 지역 디저트나 베이커리만 소개하는 ‘로컬 팝업’으로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강남점 스위트파크의 로컬 팝업 매출에서 2030 고객이 차지하는 비중이 50%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12일 밝혔다. 디저트 전체 매출의 2030 비중이 약 30%인것과 비교하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2월 오픈한 스위트파크는 로컬 팝업의 화제성과 정식 매장의 꾸준한 인기에 힘입어 석 달간 누적 방문객 350만 명을 넘어섰다. 이 기간 강남점 디저트 카테고리는 전년 같
롯데하이마트, 가전양판점 특화 이커머스 사업 본격화롯데하이마트가 가전양판점 특화 이커머스 사업에 본격 뛰어든다. 롯데하이마트는 온라인쇼핑몰 모바일앱에서 ‘전시상품 특별관’을 새롭게 선보인다고 12일 밝혔다. 전시상품은 매장에서 상품 설명을 위해 진열해 놓은 상품이다. 성능에는 이상이 없지만 전시 기간과 내·외부 상태 등을 고려해 특별 할인가에 판매하고 있어 가격 메리트가 큰 상품이다. 온라인에서 마음에 드는 전시상품을 검색한 뒤 인근 하이마트 매장에서 직접 상품의 실물과 상태를 확인 후 구매해 더욱 간편하고 합리적인 쇼핑이 가능하다. 새롭게 선보이는 ‘전시상품 특별관’에서는 전국
고려아연, 인천 송도에 R&D센터 설립 추진고려아연이 미래 먹거리로 공을 들이고 있는 ‘트로이카 드라이브’ 사업을 견인한다. 고려아연은 기존 제련업을 경쟁력 있는 친환경 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인천 송도에 연구ㆍ개발(R&D) 센터 설립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송도 R&D센터는 고려아연의 신성장동력 트로이카 드라이브의 핵심 사업인 신재생에너지 및 수소, 이차전지 소재, 자원순환 사업 외 기존 제련사업을 기반으로 한 신기술 개선과 원가절감을 지원할 수 있도록 건립한다. 올해 설계 투자승인부터 설계를 완료해 2025년 연말 공사를 시작해 2027년 4월 준공 예정이
삼표시멘트, 검사장 출신 사외이사 강화 이유는삼표시멘트가 검사장 출신의 사외이사를 추가로 선임한다. 그룹 차원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 재판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사법 리스크 대응력을 강화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11일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삼표시멘트는 24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조종태 전 광주고검장을 사외이사이자 감사위원으로 신규 선임하는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조 전 검사장은 1996년부터 30년 가까이 기업범죄·특별수사 전문 검사로 활약했다. 법무부 정책기획단장, 수원지검 성남지청장, 광주고검 차장검사, 춘천지검 검사장, 대검찰청 기획조정부장 등을 역임했다. 202
루나-테라 폭락 사태 2년…국내 코인 시장 얼마나 달라졌나루나-테라 폭락 당시 거래소별 다른 대응 투자자 혼란 야기 거래소 간 공동 대응 위해 공동협의체 닥사 출범 공동대응 잘 이뤄졌으나 자율규제 기관 한계에 개별 행동 발생 금감원ㆍ닥사, 거래지원 가이드라인 마련 막바지 단계 루나(LUNA)-테라USD(UST) 폭락 사태가 발생한 지 2년이 지났다. 루나ㆍ테라와 관련된 주요 인물들의 처벌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지만, 2년 전과 비교했을 때 국내 코인 시장은 많이 달라진 모양새다. 루나와 테라는 2022년 5월 8일 테라 생태계 스테이블코인인 UST의 디페깅 현상이 발생하면서 폭락했다. U
'물 들어올 때 노 젓자' 말련, 반도체 전략 빛 본다[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의 반도체 투자 유치 청사진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중 무역 분쟁에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반도체 업체들의 투자가 몰리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어서다.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고급 인력을 양성해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유치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11일 더스타 등 말레이시아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투자 컨설팅 기업 '인베스트페낭(InvestPenang)'의 루 리 리안(Datuk Loo Lee Lian) 대표는 지난 1일(현지시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최전선에 위치하기 위한 포괄적인 계획 수립은 시의적절하다"고 전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국가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한 '신산업 마스터 플랜(NIMP 2030)'을 세워 반도체 산업을 키우고 있다. 반도체 제조를 장려하고자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리안 대표는 이러한 현지 정부의 행보를 긍정적으로 봤다. 지정학적 이점이 있는 말레이시아에서 정부까지 지원에 적극적이라면 글로벌 기업들이 투자를 마다할 이유가 없어서다. 리안 대표는 "말레이시아는 미·중 무역 전쟁의 중립적입 입장을 보이고 있다"며 "양국은 물론 다른 국가의 반도체 기업을 유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반도체 허브로 성장성이 가장 큰 지역을 페낭으로 꼽았다. 실제 페낭에는 미국 인텔의 후공정 공장, 미국 AMD와 중국 통푸와의 패키징 합작사, 일본 르네사스의 사업장이 있다. 페낭 소재 중국 기업은 미국의 제재 이전 16개에서 현재 55개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리안 대표는 반도체 산업의 성공을 좌우할 요인으로 고급 인력의 가용성을 제시했다. 'NIMP 2030'에 따른 인재 확보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세부적으로는 △기술 불일치 해소 △인재 유출 방지 △기술 향상 또는 재교육 프로그램 마련 △해외 거주자의 채용 프로세스 개선 등을 들었다. 웡 시에우 하이(Datuk Seri Wong Siew Hai) 말레이시아 반도체산업협회(MSIA) 회장도 인력의 기술 향상을 지원해 반도체 산업의 수요를 충족해야 한다고 봤다. 현지 기업 육성과 웹 인프라 개선도 과제로 제시했다.
기아 EV6 GT라인, 콜롬비아 출격…경쟁 모델은 현대차 아이오닉5·BYD 씰[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브랜드 전용 고성능 전기차 모델 EV6 GT-라인이 콜롬비아 전기차 시장에 출격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 6일 콜롬비아 전기차 시장에 EV6를 공식 출시했다. 지난 2022년 4월 현지 전기차 수요 설문조사를 진행한 지 약 2년 만이다. 현지 판매 가격은 2억4999만 콜롬비아 페소(한화 약 9466만 원)부터다. 해당 판매 가격에는 8년/16만km 보증이 포함된다. 현지 경쟁 모델로는 현대차 아이오닉5와 BYD 씰이 꼽힌다. EV6는 현대차그룹의 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를 기반으로 한다. 77.4kWh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한 EV6 롱레인지 후륜구동 모델(Wind RWD 및 GT-Line RWD)은 최고출력 325마력, 최대토크 61.7kg.m의 성능을 발휘하며, EV6 GT-라인은 시속 0-60마일(96km)까지 4.6초 만에 가속한다. 1회 충전 주행거리는 미국 환경보호청(EPA) 기준 310마일(약 499km)이다. 800V 초급속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면 18분 만에 배터리를 10%에서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기아는 EV6 GT-라인을 앞세워 현지 전기차 시장 발전을 선도하고 더 나아가 브랜드 비전을 전역에 전파하겠다는 각오다. 무엇보다 공식 출시 이전부터 현지 운전자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던 모델인 만큼 흥행 기대감이 높은 상태이다. 콜롬비아 전역 브랜드 쇼룸 리뉴얼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새로운 로고 'KИ'와 신규 슬로건 '무브먼트 댓 인스파이어스'(Movement that inspires)를 전면에 내세워 현지 브랜드 이미지 변신을 꾀하고 있다.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리뉴얼을 위해 투자한 금액만 5000만 달러(한화 약 663억 원)에 달한다. 리뉴얼 작업은 콜롬비아 전역에 위치한 51개 판매 대리점과 49개 쇼룸, 45개 서비스 센터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한편 기아는 지난달 콜롬비아 시장에서 총 1748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40% 두 자릿수 성장한 수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11.2%로 2개월 연속 11%대를 나타냈으며,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3위로 전년 대비 두 계단 상승했다. 앞서 기아는 지난해 콜롬비아 시장에서 점유율 8.5%로 브랜드별 판매 순위 5위를 기록한 바 있다.
포스코인터 폴란드 구동모터코아 신공장 6월 착공 준비 '착착'[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폴란드 브제크시에서 구동모터코아 신공장 착공을 약 한 달 앞두고 건설 준비에 분주하다. 현지 시장과 만나 착공 준비와 채용 계획을 논의했다. 11일 브제크시에 따르면 예지 브렉비악(Jerzy Wrębiak) 시장은 최근 나정수 폴란드모터코아 법인장을 비롯해 포스코인터내셔널 실무진을 만났다. 공사 준비와 향후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장기적인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억8300만 즈워티(약 630억원)를 투자해 6월 예정대로 공사를 시작하고 2025년 5월 완공한다는 목표다. 생산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내년까지 60명을 고용할 계획이다. 2030년 생산량이 연간 120만 대에 달하면서 직원 수도 180명으로 늘린다. 브레비악 시장은 전체 투자 단계에서 협력하겠다고 재차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2월 말 이사회에서 폴란드 신공장 설립을 승인했다. 이어 3월 브레제크시와 토지 소유권 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10만㎡ 규모 부지를 확보했다. 부지 정비도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신공장을 통해 유럽 고객사들의 수요에 대응한다.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의 하이브리드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28% 증가한 339만 대를 기록했다. 전기차 판매량도 유사한 성장률을 보이며 친환경차 핵심 부품인 구동모터코아 수요도 높다. 유럽연합(EU)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승용·승합차 신차 판매를 금지하기로 했다. 코트라는 각국 탄소 중립 정책이 지켜진다면 유럽 전기차 판매량이 2025년 540만 대, 2030년 1060만 대로 증가한다고 예측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올해 초 현대차·기아로부터 유럽 전기차에 탑재할 구동모터코어 103만 대를 수주했다. 향후 유럽 시장이 커지면서 주요 완성차 업체로부터 수주 기회가 늘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궁극적으로 2030년 연 700만 대 이상 생산체제를 마련해 글로벌 시장점유율 10%를 차지한다는 목표다. 한국(천안·포항)을 비롯해 멕시코, 중국, 인도 등에 생산 거점을 확보한다.
[시승기] '전기차에 진심' 아우디, 'Q4 40 e-트론' 완판된 이유[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 축소 추세에 따라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하이브리드에 눈을 돌리는 상황에서도 기존 전동화 전략을 고수하며 전기차에 진심을 나타내는 브랜드들이 있다. 독일 브랜드 중에서는 아우디가 대표적이다. 지난 2018년 e-트론을 시작으로 전기차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아우디는 내년을 마지막으로 내연기관과 작별하고 내후년부터 순수 전기차 모델만 판매하기로 했다. 궁극적으로 2050년까지 완벽한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전기차에 대한 아우디의 이 같은 진정성은 브랜드 신뢰도 제고 효과로 이어지며 국내 전기차 구매 수요를 확보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브랜드 주력 판매 모델인 Q4 40 e-트론의 경우 지난해 9월 출시 이후 2개월 만에 완판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끌며 프리미엄 전기차 대중화를 선도하는 대표 모델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아우디 전기차의 매력을 알아보기 위해 브랜드 기술력의 정수를 담은 Q4 40 e-트론을 최근 시승했다. 시승 구간은 서울 종로 아우디코리아 본사에서 평택의 폭스바겐그룹코리아 PDI센터를 왕복하는 169km 코스였다. 도심과 고속도로를 넘나들며 주행감과 차량에 적용된 각종 편의 장치를 살펴봤다. 상행길에선 직접 운전대를 잡고 하행길에서는 보조석에 탑승해 오너드리븐과 쇼퍼드리븐을 두루 경험하며 브랜드 방향성과 이미지를 느끼는 데 온 신경을 집중했다. 운전석에 앉아 엑셀러레이터를 밟는 첫 순간부터 스포티한 성능감이 발끝을 타고 차량 전체를 감쌌다. 지면반발력을 최대로 사용해 튀어나가는 듯한 느낌은 '아우디 스키점프대 영상' 만큼이나 인상적이었다. 합산 최고 출력 203.9마력과 최대 토크 31. 6kg.m의 성능은 도심에서의 일상적인 주행과 장거리 주행 등 다양한 주행 상황에서 적합했다. 특히 ‘아우디 드라이브 셀렉트’를 통해 운전자 취향에 맞춰 5가지 주행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높았다.성능에 이은 Q4 40 e-트론의 또 다른 강점은 안전성이었다. 사각지대에서 차량이 접근해 오는 경우 사이드 미러에 경고등을 점멸하는 ‘사이드 어시스트’ 등 최첨단 편의 사양은 운전자가 놓치기 쉬운 도로 정보를 면밀하게 포착했다. 무엇보다 이번 시승에서는 ‘버추얼 콕핏 플러스’와 ‘증강 현실(AR)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가장 도움이 됐다. 더욱 안전하고 진일보한 주행 경험을 제공했다. 도로 정체가 심해 저속으로 달리는 시간이 길었지만 코스를 왕복하는 동안 충전 걱정은 하지 않았다. Q4 40 e-트론의 1회 충전 주행 거리(복합 기준 411km) 대비 코스가 워낙 짧기도 했거니와 아우디 전기차 특유의 강력한 회생 제동력이 든든한 뒷배가 됐다. 만약 전기차 충전 시기가 도래했더라도 걱정은 없었을 것이다. ‘마이아우디월드(myAudiworld)’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쉽게 충전할 수 있어서다. e-트론 전용 메뉴를 통해 충전소 찾기 및 예약, 충전 완료 여부 확인, e-트론 충전 크레딧 카드에 신용카드 연동 및 잔여 금액 확인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공식 아우디 전시장과 서비스센터에 아우디 전용 150kW 급속 충전기가 총44개나 설치돼 있는 것은 이번에 알게됐다. 평일 오전 10시부터 4시까지는 충전 대행 서비스인 ‘차징 온 디맨드(Charging on demand)’ 서비스도 이용 할 수 있다. Q4 40 e-트론 가격은 6170만 원이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전기차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국고 보조금은 196만원이다.
현대차, 코나EV 유럽 전기차 고속질주…노르웨이 '7위'·프랑스 '톱10'[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의 유럽 전기차(EV) 시장 입지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국내외 완성차 업계가 EV 시장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을 겪고 있는 가운데,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을 내세운 니로EV를 통해 정체 탈출을 꾀한다는 각오다. 11일 미국 전기차 전문 매체 클린테크니카(CleanTechnica)에 따르면 현대차 코나EV는 노르웨이에서 2월~4월 석 달간 783대를 판매하며 노르웨이 순수전기차(BEV) 중 판매량 7위를 기록했다. 프랑스에서는 4월 한 달간 695대를 판매, 판매량 10위에 올랐다. 노르웨이에서 니로EV의 월별 판매량은 △2월 216대(5위) △3월 257대 (3위) △4월 310대(9위)를 기록하며 점진적으로 점유율을 확대했다. 반면 노르웨이 완성차 시장에서 전체 EV의 점유율은 △2월 92.1% △3월 91.5% △4월 91%로 낮아졌다. 전체적인 EV 시장의 볼륨이 줄었음을 감안했을 때 괄목할 만한 성과다. 2월~4월 노르웨이 BEV 1위는 4434대를 판매한 테슬라의 모델Y였다. 그 뒤로는 △볼보 EX30 1652대 △토요타 BZ4X 1626대 △폭스바겐 ID.버즈(ID.BUZZ) 1296대 △폭스바겐 ID.4 1050대 △MG모터 MG4 790대가 이어졌다. 현대차의 아이오닉5는 436대로 아쉬운 14위를 기록했다. 프랑스에서는 톱 10에 랭크되며 눈길을 끌었다. 4월 한 달간 현대차 코나EV는 695대를 팔며 10위를 기록했다. 지난 2월 358대(18위), 3월 635대(15위)를 판매했다. 2월대비 194% 증가한 판매량을 기록했다. 1위, 2위는 푸조 E-208과 E-2008였다. 4월 한 달간 프랑스에서 각각 3185대, 2164대를 판매하며 1, 2위를 차지했다. 3, 4위는 르노의 트윙고(Twingo)와 메가네(Megane)가 각각 1842대와 1630대 판매하며 5위 안에 들었다. 그 밖에 테슬라 모델 Y가 1405대를 판매하며 6위, 모델 3가 652대를 판매하며 11위에 안착했다. 전 세계 전기차(EV) 시장은 현재 '캐즘'을 겪고 있다. 국내외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전체 자동차 시장 규모 축소를 유발했다. 실제로 지난 3월 노르웨이 전체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50% 감소한 9750대를 기록했다. 이는 15년 만에 가장 낮은 3월 판매량이다. 프랑스도 전반적인 경제적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일부 유럽 국가보다는 나은 상황이다. 현대차·기아는 니로EV를 앞세워 지속해서 현지 수요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세련된 디자인은 물론 가성비를 내세운 SUV 모델을 토대로 현지 수요를 빠르게 확보한다. 현대차는 지난 1월 프랑스에서 전기차 구독 서비스 '모션(MOCEAN)'을 통해 현대차의 전기차 경험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 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보 2024 1월 27일 참고 현대차, 佛 전기차 리스 프로그램 가동…'모션' 출범> 한편 2세대 코나EV는 운전자들의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무엇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경험을 보장하는 첨단 기술과 편의 기능도 대거 갖췄다. 특히 이전 모델보다 넉넉한 공간을 자랑한다. 모터 최고 출력은 150kw, 최대 토크는 255.0Nm를 발휘한다. 전륜구동(FF) 방식으로 설계되었으며 고강도 재질로 제작된 경량 바디 구조를 갖추고 있다.
기아, 인도 현지 내비게이션 도입…'맵마이인디아' 협력[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아가 인도 최대 지도 제작회사 '맵마이인디아(MapmyIndia)'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현지 내비게이션 서비스 강화에 나섰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인도법인은 최근 맵마이인디아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기아차 내비게이션을 활용해 위치 서비스는 물론 광범위한 장소 검색 기능이 제공된다. 장소 검색 기능에는 대리점, 서비스센터, 주유소, 병원 등 450여 종의 관심 지점(POI)가 설정돼 있어 이용자가 쉽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내비게이션 솔루션에는 음성 안내가 지원돼 실시간 교통상황, 도로 공사 등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기아차는 속도 제한 경고, 위험 경고 등도 제공한다. 기아차 인도법인 관계자는 "맵마이인디아와의 협업을 통해 고객에게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 선도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맵마이인디아는 지난 1월 현대차그룹 ICT계열사 현대오토에버와 대규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4월 LNG선 주문량 '월간 최고치' 달성[더구루=길소연 기자] 4월 전 세계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주문량이 월간 최고치를 경신했다. 11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4월 LNG 운반선에 대한 신규 선박 주문량이 596만4000㎥으로, 총 26척이 거래됐다. 지금까지 전 세계 누적 LNG 운반선 수주 잔량은 352척, 재화중량톤수는 3444만 9000DWT, 총 탱크 용량은 6322만 2000㎥이다. 발주처를 살펴보면 카타르, 그리스, 한국, 일본 등 유럽과 아시아 선주들이 주로 LNG 운반선을 발주했다. 발주량 상위 10개 선주사를 살펴보면 카타르 선사 나킬라트가 36척으로 1위에 올랐다. 이어 일본 미쓰이 OSK 라인(MOL)이 18척, 노르웨이 크누센이 16척을 주문했다. 중국 초상국그룹 자회사 차이나머천트에너지쉬핑(CMES)는 12척, 영국 오세오닉스 서비스는 14척, 그리스 캐피탈 마리타임이 13척, 한국 H-라인, 팬오션, SK해운이 13척을 발주했다. 덴마크 선사 셀시우스 쉬핑과 그리스 선사 안젤리쿠시스그룹, 일본 니폰 유센이 각각 12척을 주문했다. 4월 LNG운반선 포함한 전 세계 선박 수주량은 471만CGT(121척)이다. 수주 잔량 상위 5개 조선소는 한화오션 77척, 삼성중공업 73척, HD현대중공업 67척, 후동중화 58척, HD현대미포 37척 순이다. 국가별로 한국 조선업계가 67만CGT(13척, 14%)을 수주해 월간 수주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중국이 358만CGT(91척, 76%)를 수주해 1위를 차지했다.
HD현대건설기계·두산밥캣 굴착기, 이집트 점유율 '뚝' 떨어진 이유는[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와 두산밥캣 중장비들이 이집트에서 선호도가 높지만 고가에 판매돼 시장 점유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이집트 중장비 수입 바이어는 선호하는 굴착기 수입 브랜드로 HD현대건설기계와 두산밥캣 등 한국산 중장비를 꼽았다. HD현대건설기계와 두산밥캣은 이집트에서 혁신적인 상품 개발 덕분에 높은 신뢰도를 얻고 있다. HD현대건설기계는 획기적인 기술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와 협력을 이어갈 뿐만 아니라 자율 굴착기, 무인 지게차, 친환경 기계 등 스마트한 제품을 개발 중이다. 또 HD현대건설기계와 두산밥캣은 새로운 스타일, 자동 제어 시스템, 운전자 편의성 등 굴착기와 휠로더의 디자인을 개선해 제품 업그레이드하는 점도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 일례로 HD현대건설기계는 최근 공정주기를 단축 및 효율적 데이터 관리가 가능한 데이터 관리(PDM) 시스템 도입했다. 다만 한국산 중장비는 제품별 가격 경쟁력이 낮아 이집트 시장 점유율은 떨어진다. 독일은 내구성이 높아 점유율이 가장 높았고, 중국과 일본산 브랜드는 가격 우위가 높아 한국보다 점유율이 높았다. 현재 HD현대건설기계의 굴착기는 이집트에서 대당 4만4500 달러(약 6076만원)부터 판매된다. 고가에 판매되다 보니 수입 브랜드 중 가장 낮은 10% 점유율을 차지한다. 이어 독일의 립헬(Liebherr)이 4만775 달러(약 5568만원)부터 제품을 판매해 1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한다. 독일산 장비는 한국산 다음으로 가장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중국의 사니(SANY, 三一重机)의 점유율은 13%로 3만4865 달러(약 4760만원) 내외로 판매하고 있다. 일본 히타치(Hitachi)는 약 2만 달러(약 2730만원)로 가장 낮은 가격을 형성하며 점유율 12%를 기록한다. 나머지 50%의 시장 점유율은 미국 볼보(Volvo), 미국 캐터필라(Caterpillar), 스웨덴 볼보(Volvo), 영국 JCB, 한국 디벨론, 프랑스 마니투(Manitou), 일본 타케우치(Takeuchi) 등이 차지한다. 코트라 관계자는 "이집트의 굴착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세부 분야별 각기 다른 특성의 제품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어 분야별 굴착기의 수요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해 세부 시장에 맞는 굴착기 수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필터 청소는 하고 에어컨 켜는 거예요?”…전문가의 관리법 [에어컨 꿀팁]최근 한낮 기온이 초여름 수준으로 크게 오르며 일찌감치 에어컨을 가동을 시작한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본격적인 에어컨 사용에 앞서 필터의 위생이나 환기 점검 등 주의할 점들을 알아봤다. 11일 관련 업계 전문가들은 에어컨 이용자들은 가동 전 자가 점검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조사에서 사전 점검을 직접 나가보면 실제 수리가 필요한 경우는 절반 미만이고 직접 케어가 가능한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우선 에어컨 전원 선을 연결하는 콘센트를 확인해야 한다. 에어컨은 소비전력이 높기 때문에 멀티탭을 사용하기보다는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