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블록체인 Archives - Page 2 of 10 - 뉴스벨

#블록체인 (186 Posts)

  • 오브스, KBW2024 패널참여·사이드 이벤트 마무리 이스라엘 레이어3(Layer3) 블록체인 프로젝트 오브스(ORBS)가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4(KBW2024) 기간 동안 메인 이벤트 ‘임팩트(KBW2024: IMPACT)’ 패널 참여와 스폰서 활동, 사이드 이벤트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오 이스라엘 레이어3(Layer3) 블록체인 프로젝트 오브스(ORBS)가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4(KBW2024) 기간 동안 메인 이벤트 ‘임팩트(KBW2024: IMPACT)’ 패널 참여와 스폰서 활동, 사이드 이벤트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오
  • 구글·네이버 독점 '이걸'로 깨진다…세계 최고 투자자가 점친 미래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온라인 서비스는 구글·메타·네이버·카카오와 같은 곳들이 모든 권력을 갖고 있다. 이런 시스템에 돈이 흘러 들어가고 결국 시스템 운영자에게 돈이 몰리게 된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이런 문지기를 없앨 수 있다."미국 실리콘밸리 VC(벤처캐피탈)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의 크리스 딕슨 제너럴 파트너는 30일 서울 디캠프 선릉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블록체인 기술은 디...
  • 시행령 시행에…가상자산사업자에 부여되는 엄격한 法 의무[권단 변호사의 알기 쉬운 ‘코인 法’]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규제 강화로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절차와 요건이 강화되었습니다. 또한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발급이 어려워지며, 중소형 사업자에게는 높은 진입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쟁이 감소하고 독과점 구조가 형성될 우려도 있습니다.
  • 넥슨 비트스탬프, 마운트곡스 상환 앞서 테스트 거래 진행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 지주사 NXC 산하 가상자산거래소 비트스탬프가 2014년 파산한 마운트곡스 상환 프로세스에 앞서 테스트에 나섰다. 마운트곡스의 10년만의 상환에 비트코인 시세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마운트곡스 트러스티(Mt. Gox Trustee)는 비트스탬프 내 4개 월렛에 1달러씩 입금했다. 이 사실을 처음 전한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는 "이번 거래는 테스트 거래일 가능성이 높다"며 "비트스탬프는 마운트곡스 상환에 협력하는 5개 수탁 기관 중 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마운트곡스 트러스티는 테스트 이후 5000 비트코인을 비트스탬프로 이전했다. 마운트곡스는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한 때 글로벌 비트코인 거래의 75%를 담당했던 곳이다. 하지만 2014년 2월 고객들이 맡겨둔 비트코인 75만개, 마운트곡스가 보유하고 있던 비트코인 10만 개 등 최대 95만개 비트코인이 해킹으로 도난당하며 파산 신청을 했다. 이로인해 마운트곡스에는 14만 여개의 비트코인이 묶여, 고객들에게 돌아가지 못하고 있었다. 이번에 마운트곡스 트러스티가 상환하려고 하는 비트코인은 10년 전 고객들에게 돌려주지 못한 비트코인 14만 개로 현재 약 94억 달러(약 13조원) 가치로 평가받고 있다. 당시 비트코인을 돌려받지 못한 채권자는 약 12만7000명에 달한다. 비트스탬프와 마운트곡스 트러스티는 이번 테스트를 통해 상환 프로세스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잠자고 있던 마운트곡스의 비트코인이 대량으로 풀리면서 비트코인 시세가 조정받고 있다. 1분기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되며 강세를 보이던 암호화폐 시장을 최근까지 조정을 받았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며 다시 상승세를 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마운트곡스에서 대량의 비트코인이 상환되고 그 즉시 수익 실현을 위한 물량으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다시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마운트곡스 상환 작업으로 인해 수 주간 비트코인이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김병환 "비트코인 ETF·가상자산시장 기관참여, 신중해야" 김병환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비트코인 ETF 도입과 법인·기관의 가상자산 시장 참여에 신중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금융시장 안정과 투자자 보호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 시행 이후 영세 규모 거래소들의 폐업에 대해서도 조치
  • [크립토리뷰] 서비스 2주년 슈퍼워크, 누적 거래액 300억 돌파…운동 거리 지구 600바퀴(7월3주차) ◇슈퍼워크 프로그라운드가 리워드형 웹3.0 헬스케어 플랫폼 '슈퍼워크' 서비스 2주년을 맞아 주요 성과를 공개하고 신규 콘텐츠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기반 M2E(Move To Earn, 돈 버는 운동)서비스인 슈퍼워크는 지난 2년간 국내를 포함한 일본, 베트남, 미국 등 20개국에서 누적 35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했다. 대체불가토큰(NFT) 신발이 필요한 프로 모드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도 올해 6월 기준 전년 대비 약 2.5배 가량 증가했다. 현재 슈퍼워크는 월간 재사용률 90%에 달하는 NFT 이용자들을 주축으로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다. 지금까지 NFT 신발의 누적 거래액은 300억원을 돌파했으며 총 발행량은 약 27만개에 달한다. 최근 1년 내 가장 비싸게 판매된 NFT 신발은 약 5000만원대에 육박한다. 슈퍼워크 이용자들이 그동안 운동한 거리를 합산하면 총 2389만km로 이는 지구 둘레(4만75km)의 596바퀴, 지구에서 달까지 31번 왕복한 거리와 같다. 총 운동 시간 역시 2억8064분으로 햇수로 환산하면 533년에 달하는 수치다. 2022년 정식 출시된 슈퍼워크는 앱에서 걷기, 조깅, 달리기 등 원하는 운동 형태에 맞는 NFT 신발을 구매 후 운동을 수행하면 보상으로 환금 가능한 가상화폐를 지급해주는 것이 특징으로 현재 국내에서 2년 넘게 안정적으로 지속 중인 웹3.0 M2E 프로젝트다. 특히 슈퍼워크는 이용자들의 운동 동기 강화와 신규 유입을 이끄는 서비스 운영에 집중, 함께 운동하며 친목을 다질 수 있는 '팀 경쟁', 가상화폐 입문자를 위해 NFT 신발 없이도 걸음 수에 따라 포인트를 제공하는 '베이직 모드' 등을 선보여 왔다. 슈퍼워크는 서비스 2주년을 맞아 오는 24일부터 신규 콘텐츠인 '장비 아이템'을 앱 내 공개한다. 보유 중인 NFT 신발에 장비 아이템을 추가로 장착하고 운동을 하면 고유 능력에 따라 △포인트 획득량 증가 △아이템 획득률 증가 △에너지 소모량 감소 △신발 내구도 소모량 감소 등 이용자들에게 운동에 따른 보상을 강화시켜준다. 프로그라운드 김태완 대표는 "지난 2년간 이용자들이 보내준 성원 덕분에 슈퍼워크가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며 "이용자들의 일상 속 운동 습관 형성과 안정적인 토크노믹스 유지를 위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선보여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 발전을 선도하는 프로젝트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잇그린 다회용기 서비스 잇그린이 '블록체인을 활용한 다회용기 서비스 유통 이력 관리 및 친환경 사업에 관한 상호 협력'을 위해 블록오디세이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본 협약식에는 잇그린 김선 대표와 블록오디세이 황학선 대표가 참석했으며 양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다회용기 서비스 유통 이력 관리 △블록체인 개발 및 R&D를 위한 교류 △인적, 물적 인프라 공유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업을 통해 양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다회용기 유통 이력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다회용기 서비스 회수 및 반납 이력과 연계해 용기 제작-공급-사용-회수-세척-재공급하는 순환 서비스 특징을 살린 혁신적인 기술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양사의 협력은 다회용기 물류 인벤토리 데이터 관리 강화를 포함해 다양한 친환경 사업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잇그린은 자원의 사용 감량(Reduce),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 등 3R 달성을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 다회용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배달 앱, 야구장, B2B 점심정기배송 등 다회용기 서비스를 공급하여 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서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를 달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지난 1월 '자원 순환성 향상', '지역 환경오염 감소' 부문에 인증 받아 다회용기 서비스 분야 최초로 환경표지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블록오디세이는 금융기관 및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형 블록체인 월렛, 멀티에셋 STO 플랫폼, 알고리즘 기반 기관용 트레이딩 플랫폼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는 블록체인 신금융 인프라 기업이다. K국민은행, NH농협은행 등 대형 금융기관의 블록체인 기술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 잇그린 김선 대표는 "블록오디세이와의 협력을 통해 다회용기 서비스의 유통 이력 관리와 다회용기 사용 정보를 더욱 정확하고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블록체인 기술의 강점을 활용해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다회용기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바이셀스탠다드 토큰증권(STO)기반 디지털자산 운용 플랫폼 '피스(PICE)'를 운영하는 바이셀스탠다드가 동남아시아 지역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바이셀스탠다드는 KB금융그룹이 운영하는 'KB스타터스 싱가포르'에 최종 선정돼 KB로부터 현지 사무공간을 비롯한 사업 스케일업 지원을 받을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이를 계기로 바이셀스탠다드는 싱가포르 거래소 STO 상장 및 현지 자산운용사와의 협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IX Swap, AGST 등 복수 현지 STO 플랫폼 및 자산운용사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이셀스탠다드는 싱가포르에 럭셔리 하이엔드 현물을 기초자산으로 한 STO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이미 상장을 위해 현지 기업들과 구체적 협의를 마쳤으며, 이번 거점 마련을 시작으로 현지 기업과 조인트 벤처(JV) 설립 등 협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또 △베트남 태양광 △인도네시아 탄소배출권 △태국 K-asset 등 동남아시아 전역에 각 시장에 맞는 다양한 기초자산을 선보이며 사업 확장에 나선다는 목표다. 신범준 바이셀스탠다드 대표는 "KB는 싱가포르에서 빠르게 규모를 키우며 현지 및 글로벌 기업들과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했다"며 "KB의 도움을 받아 우량한 국내 기초자산과 상품을 선보이고 해외 STO 영토를 넓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업루트컴퍼니 디지털 자산 적립식 투자 솔루션 '비트세이빙'을 운영하는 업루트컴퍼니가 베트남 호치민에서 열리는 '그로쓰 버스 서밋 2024(Growth Verse Summit 2024)' 컨퍼런스에서 '온체인 데이터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디지털 자산 투자'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그로쓰 버스 서밋은 베트남의 대표적인 마케팅 에이전시인 나비(NAVEE)에서 주관하는 행사로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등 새로운 기술이 산업의 변화를 주도하는 시대에 기업이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그로쓰 버스 서밋은 2023년에 처음 개최돼 대성공을 거뒀고 오는 25일 2회 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해당 행사에는 모비폰, 알리바바, 아마존, 줌 등 베트남뿐 아니라 각국을 대표하는 디지털 기업들의 리더들과 전문가 5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한국에서는 업루트컴퍼니 강승구 부대표가 '온체인 데이터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디지털 자산 투자'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업루트컴퍼니 강승구 부대표는 "그로쓰 버스 서밋 2024의 스피커로 참석하게 돼 영광이며 오는 9월 비트세이빙 베트남을 론칭할 예정으로 베트남 고객들이 디지털 자산 투자 시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들을 비트세이빙을 통해 반드시 해결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위메이드 위믹스 재단이 새로운 서비스 '위믹스 페이(WEMIX Pay)'를 공개했다. 위믹스 페이는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WEMIX PLAY)'에서 제공 중인 콘텐츠를 가상 화폐 위믹스(WEMIX)로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다. 올 하반기 론칭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위믹스 페이는 게임의 성장이 위믹스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위믹스 페이가 많이 사용될수록 이용자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커지고 위믹스의 쓰임새와 수요, 가치도 함께 늘어난다. 프라임 포인트(Prime Points)와 플레이 토큰(PLAY Token)이 위믹스 페이의 핵심 혜택이다. 프라임 포인트는 개인이 위믹스 플레이에서 지출할 때 마다 쌓인다. 누적된 포인트는 VIP 패스, 대체불가토큰(NFT), 신작 게임을 미리 경험해볼 수 있는 얼리 액세스(Early Access) 기회 등 다양한 혜택으로 교환할 수 있다. 플레이 토큰은 미르4(MIR4), 나이트 크로우(NIGHT CROWS) 등 실제 게임에서 위믹스 페이를 통해 발생한 매출과 연동해 발행된다. 발행된 플레이 토큰은 위믹스 플레이에서 제공 중인 여러 게임 토큰을 합성해 만든 유틸리티 토큰 리플렉트(REFLECT)와 교환하거나 하반기 출시할 위믹스 플레이 속 새로운 게임 커뮤니티 참여로 얻을 수 있다. 게임 별 특별한 혜택이나 독점 콘텐츠를 이용할 때 필요하다. 위믹스 재단은 블록체인 게임과 위믹스 페이의 성장이 위믹스 가치 상승과 생태계 확장으로 다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위믹스 페이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등 수익 중 최소 4~5%는 위믹스를 사들이는 데 사용한다. 위믹스 플레이는 보다 혁신적이고 매력적인 블록체인 게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채로운 신작을 계속해서 선보일 예정이다. 자체 개발 게임 레전드 오브 이미르(Legend of YMIR)와 가치 프로젝트 M(Project M), 메타 토이 드래곤즈 사가(Meta Toy DragonZ SAGA), 크리스탈즈 오브 나라문즈(Crystals of Naramunz) 등이 순차적으로 온보딩된다. 위믹스 플레이는 게이머와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커뮤니티 중심 플랫폼으로 재탄생한다. 올 하반기 중 베타 서비스를 통해 공개된다.
  • 빗썸, 계좌 파트너 농협銀서 국민은행으로 교체 다시 추진 빗썸이 NH농협은행과의 계약 만료를 앞두고 KB국민은행과 실명 계좌 발급 계약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업비트와의 점유율 격차를 줄이고 이미지 변화와 고객층 확대를 꾀하며 IPO를 추진하고 있는 빗썸의 몸집 불리기가 필요하다. 가능성 있는 계약 성사로
  • [크립토리뷰] 업루트컴퍼니, 해피블록과 디지털 자산·블록체인 공동연구 MOU 체결(7월2주차) ◇업루트컴퍼니 디지털 자산 적립식 투자 솔루션 '비트세이빙'을 운영하는 업루트컴퍼니와 디지털 자산 중개 플랫폼 '바우맨(BOWMAN)'을 제공하는 해피블록이 디지털 자산 및 블록체인 비즈니스에 대한 공동연구개발 및 상호협력 파트너십 체결했다.업루트컴퍼니의 비트세이빙은 블록체인 온체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장의 과열, 기회 구간을 분석해내고 적립식 투자 금액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스마트 저금통'을 서비스하고 있다. 해피블록의 바우맨은 국내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을 획득했으며 국내외 10여 개 거래소의 거래 및 자산관리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콜드월렛 및 MPC(multi-party computation, 다자간 계산)를 기반으로 15개 이상의 블록체인을 지원 중에 있다.업루트컴퍼니는 파트너십에 따라 해피블록의 바우만에 '스마트 저금통' 등 라이브 운영하며 검증한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를 공급할 예정이다.업루트컴퍼니 이장우 대표는 "디지털 자산 중개, 보관 분야를 리드하는 해피블록과 MOU를 맺게 돼 기쁘다"며 "상호 협력을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고객들이 원하는 더 큰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더샌드박스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더 샌드박스(The Sandbox)'가 웹3 소셜 프로토콜을 빌딩하는 '아더월드'와 함께 '나 혼자만 레벨업' 아바타 컬렉션을 출시했다. 이번 아바타 컬렉션은 글로벌 143억 뷰를 기록한 인기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의 주인공 성진우의 다양한 모습을 담은 총 1560개의 유니크한 아바타로 구성됐다. 해당 아바타는 9일부터 더 샌드박스 내 나 혼자만 레벨업 아바타 컬렉션 페이지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구매한 아바타를 착용하고 더 샌드박스 메타버스 내 유저들이 만든 다양한 경험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이번 아바타 컬렉션 구매 혜택으로 성진우 캐릭터 아바타를 착용하고 추후 공개되는 나 혼자만 레벨업 세계관으로 구성된 경험 속에서 주인공 성진우가 돼 플레이하면 추가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아더월드에서 올해 3분기 정식 오픈 예정인 '나 혼자만 레벨업: 언리미티드'에서 사용 가능한 아이템도 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아바타 구매자 대상 이벤트를 진행해 나 혼자만 레벨업 만화책 전집, 나 혼자만 레벨업 웹툰을 볼 수 있는 카카오페이지 캐시 충전권 등을 추첨을 통해 지급한다. 더 샌드박스 코리아 이승희 대표는 "많은 분들이 좋아하는 나 혼자만 레벨업을 더 샌드박스의 복셀 스타일로 즐길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아바타 구매자를 위한 더 샌드박스 혜택은 물론 파트너와 함께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아더월드 서비스와 연계한 보상도 준비하고 있다. 앞으로도 더 샌드박스는 파트너들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다양한 협업을 적극적으로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갈라게임즈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갈라게임즈가 새롭게 선보인 텔레그램 클리커 게임 '트레저 탭퍼'가 출시 일주일 만에 이용자 수가 50만 명을 돌파했다. 트레저 탭퍼는 간단한 플레이 방법으로 보상을 획득할 수 있는 클리커 게임이다. 화면을 탭하면 '$TREZ' 토큰을 수집할 수 있고 탭 횟수에 비례해 더 많은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게임 내에서 주어지는 퀘스트를 완료하면 탭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일정량의 토큰을 획득할 수 있으며 퀘스트 수행 레벨이 높아지면 토큰 획득량도 높아진다. 또한 갈라게임즈는 트레저 탭퍼에 일일 출석 보상을 추가해 매일 접속만으로 토큰을 획득할 수 있도록 했다. 매일 일일 접속 확인을 하면 토큰을 받게 되는데 마지막 10일 차에는 500만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한 토큰은 추후 'TON 블록체인'과 '갈라체인'에서 실제로 민팅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더불어 미션 기능이 추가되면 획득한 토큰으로 주요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업그레이드를 마치면 보상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된다. 갈라게임즈는 트레저 탭퍼 사용자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원활한 환경 기반을 위해 기능 업데이트 및 개선을 진행할 예정이다. 게임 플레이는 텔레그램을 통해 가능하다. 갈라게임즈 관계자는 "트레저 탭퍼가 유저들의 뜨거운 관심으로 출시 일주일 만에 50만 유저를 돌파했다"며 "갈라체인 생태계에 새로운 사용자를 유치하고 웹3 대중화와 갈라체인 유틸리티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암호화폐 투자자를 부자로 만들 수 있는 3가지 코인 [더구루=정등용 기자] 암호화폐 전문매체 와처구루(Watcher.Guru)가 암호화폐 투자자를 부자로 만들 수 있는 3가지 코인을 선정·공개했다. 13일 와처구루에 따르면 도지코인과 페페, 플로키 이누가 이번 3가지 코인에 이름을 올렸다. 도지코인은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암호화폐 중 하나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승인했으며, 커뮤니티 애호가들이 열광할 만한 팬층을 자랑한다. 코인코덱스에 따르면 도지코인은 가격 상승 속도를 회복하기 전에 추가 하락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와처구루는 도지코인 가격이 1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와처구루는 “도지코인 가격은 내달 7일까지 13.82% 하락해 0.085723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도지코인 예측 알고리즘에 따르면 오는 2028년 10월에 도지코인이 1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페페는 최근 암호화폐 시장을 휩쓸고 있는 또 다른 주요 밈 코인이다. 이 토큰은 인터넷에서 유명한 청개구리 밈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현재 시장 모멘텀을 활용해 새로운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토큰은 앞서 GME(게임스탑) 주식 시장 상승을 활용해 높은 수익을 제공한 바 있다. 코인코덱스에 따르면 페페는 조만간 가격 인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와처구루는 페페가 227% 급등할 수 있으며, 이는 페페의 가격이 0.00002721달러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와처구루는 페페 가격이 오는 8월7일까지 227.64%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플로키 이누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또 다른 대표적인 밈 코인이다. 이 토큰은 철저한 마케팅 전략과 개발을 통해 새로운 투자자를 유치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플로키 이누는 앞서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거래를 간소화하기 위해 텔레그램 봇을 출시하기도 했다. 또한 플로키 이누는 대중을 돕기 위한 다양한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다. 와처구루는 가격 예측 데이터를 활용해 플로키 이누 가격이 오는 8월7일까지 227.23% 상승, 0.00044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 한달새 20% 빠진 비트코인…"마운트곡스 리스크, 과대 평가" 비트코인 가격 급락의 주요 이유로 마운트곡스 상환과 관련된 우려가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는 단기 충격에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와 대통령 선거 등의 이슈들이 하반기에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을 이끌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크립토리뷰] 코인원, PO 네트워킹 행사 '포케 나이트' 개최(7월1주차) ◇코인원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이 지난 4일 여러 산업군의 PO(프로덕트 오너, Product Owner)를 초청해 '포케 나이트([PO]KE NIGHT)'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했다. 코인원 포케 나이트에는 IT, 금융, 통신, 이커머스,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재직 중인 PO 30여 명이 초청됐으며 코인원 임직원들의 주제 발표와 참석자 네트워킹 등 2부에 걸쳐 2시간 반가량 진행됐다. 먼저 코인원 차명훈 대표가 기업과 서비스를 소개하며 1부의 문을 열었다. 블록체인 1세대 기업으로 설립 10주년을 맞은 소회를 비롯, 최근 서비스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소개했다. 다음으로 장준호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블록체인 생태계 및 비전'에 대해 발표하고 질의 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코인원 현직 PO와 데이터 분석가가 연사로 나서 각각 '코인원 PO가 제품 만드는 방법', '데이터로 일 잘하는 방법'을 주제로 발표했다. 2부는 참석자 간 네트워킹 시간으로 마련됐다. 행사 운영진 포함 모든 참석자가 어우러져 소통하며 각자의 경험과 지식, 인사이트를 교류했다. 1부 발표 내용을 비롯해 각자 PO로서 가지고 있는 고충, 일 잘하는 PO가 되는 법, 좋은 프로덕트란 무엇인지 등 다양한 주제로 열띤 대화를 나눴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과 산업, 코인원 서비스에 대한 질문이 많았다. 행사를 찾은 참석자들은 "생소했던 블록체인 산업과 코인원에 대해 알 수 있어 좋았다", "PO의 역할과 방향성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눈 유익한 시간이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코인원 이용규 최고제품책임자(CPO)는 "PO는 '미니 CEO'로 불릴 정도로 서비스 기획부터 출시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는 포지션"이라며 "다양한 산업군 PO들을 만나 그동안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자 행사를 기획했다. 하반기 코인원 제품과 서비스 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디랩스 게임즈 네시삼십삼분 자회사 디랩스 게임즈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개발사 슈퍼워크(SuperWalk)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슈퍼워크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인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개발사다. 슈퍼워크는 이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수익을 얻는 무브투언(Move to earn)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슈퍼워크를 통해 30만명 이상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디랩스 게임즈는 슈퍼워크와의 협업을 통해 동아시아 웹3 게임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이다. 디랩스 게임즈는 하반기 선보일 웹3 게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디랩스가 준비 중인 스페이스 프론티어는 우주를 배경으로 이용자는 자신만의 행성을 개발하고 침입자와 전투를 벌이며 생존해야하는 '우주 난민 서바이벌 게임'이다. 메타볼츠는 유명 역할수행게임(RPG)인 '킹스레이드' 제작진이 개발하는 수집형 RPG다. 독특하고 개성 넘치는 캐릭터를 구현하고 일본 유명 성우를 섭외해 캐릭터 몰입감을 높였다. ◇위믹스 위믹스 재단이 오는 16일 위믹스 데이(WEMIX DAY) 행사를 개최한다. 위믹스 데이에서는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WEMIX PLAY)' 리뉴얼 계획이 발표된다. 위믹스 재단은 위믹스 플레이에 추가될 새로운 블록체인 서비스와 토크노믹스를 공개할 예정이다. 위믹스 재단은 이번 리뉴얼을 통해 위믹스 플레이를 블록체인 게임 이용자, 커뮤니티 등 생태계 전반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커뮤니티 중심 플랫폼으로 키워간다는 계획이다. 위믹스 데이는 위메이드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방송된다. ◇하이퍼리즘 하이퍼리즘이 싱가포르의 옴니체인 유동성 인프라 서비스 스타트업 '솔브 프로토콜'에 투자했다. 솔브 프로토콜은 하이퍼리즘이 투자한 이번 라운드를 통해서 약 400만 달러(약 55억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펀딩은 블록체인캐피탈(Blockchain Capital)이 주도했으며 하이퍼리즘을 포함해 스페르미온(Sfermion), 디파이 얼라이언스(DeFi Alliance), CMT 디지털(CMT Digital), 더라오(The LAO), CMS 홀딩스(CMS Holdings), 아폴로 캐피탈(Apolo Capital)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 솔브 프로토콜은 탈중앙화금융서비스(DeFi, 이하 디파이) 업계에서 고수익률을 제공하는 전략들을 토큰화하고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웹3 유동성 인프라 플랫폼을 개발했다. 솔브 프로토콜의 주력 상품인 솔브BTC($SolvBTC)는 4월에 출시된 이후 비트코인 생태계에서 가장 큰 수익을 제공하는 상품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솔브BTC는 비트코인(BTC)의 디파이 내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옴니체인 기술이 적용돼 이더리움 또는 기타 블록체인 생태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원준 하이퍼리즘 대표는 "솔브 프로토콜에 투자한 투자자로서 비트코인 연계상품의 새로운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며 "솔브 프로토콜의 강력한 보안 기능과 탄탄한 파트너십은 디파이 업계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 튀르키예, 암호화폐 규제 법안 마련 [더구루=정등용 기자] 튀르키예가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규제 법안을 마련했다. 엄격한 법 적용을 통해 안정적인 시장 관리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튀르키예 의회는 지난달 26일 열린 본회의에서 암호화폐 규정을 포함한 '자본시장법 개정안(Bill on Amendments to the Capital Markets Law)'을 통과 시켰다. 이번 법안에 따르면 가상자산사업자(VASP·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들은 자본시장위원회(SPK·Capital Markets Board)의 허가를 받아야만 암호화폐 사업체 설립 및 운영을 할 수 있다. 당국의 허가 없이 암호화폐 서비스를 제공한 개인 및 법인은 3~5년의 징역형을 받게 된다. 또한 기존 가상자산사업자들은 1개월 이내에 자본시장위원회(SPK)에 자격 신청을 해야 하며, 미신청 시 3개월 이내에 사업을 중단하고 청산해야 한다. 튀르키예는 자본시장위원회와 과학기술연구위원회(TÜBITAK)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을 관리하고 있다. 자본시장위원회는 암호화폐 시장에 관한 설립 및 운영 관련 규제 권한을 갖고 있다. 정보 시스템 및 기술 인프라에 관한 사항은 과학기술연구위원회가 결정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이번 법안 통과에 따라 가상자산사업자들에 대한 재무 감사 및 정보 시스템 감사는 자본시장위원회가 지정한 기업이 수행하게 될 예정이다.
  • RWA·CBDC…전통 금융사, 블록체인을 품다[블록체인 NOW]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의 결합으로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실물연계자산과 중앙은행디지털화폐는 기존 금융 시스템을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전통 금융사와 블록체인 기업의 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 세
  • [크립토리뷰] 업루트컴퍼니, 베트남 최대 스타트업경진대회 톱50 선정(6월3주차) ◇업루트컴퍼니 디지털 자산 적립식 투자 솔루션 '비트세이빙'을 운영하는 업루트컴퍼니가 베트남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경진대회 '스타트업 휠(Startup Wheel) 2024'에서 본선 톱 50에 선정됐다고 밝혔다.스타트업 휠 2024는 전세계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털(VC), 투자자, 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스타트업 행사로 상금을 포함, 해외 스타트업을 위한 입주 공간, 베트남 시장 진출을 위한 전 방위적인 홍보마케팅 등의 지원이 제공된다.업루트컴퍼니는 2023년 9월 페루의 디지털자산 전문 기업 '크립토 아호로(CRYPTO AHORRO)'에 자사 특허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자산 적립식 투자 소프트웨어(SW)를 기술 수출했으며 올해 3월에는 비트세이빙 페루 베타 버전을 론칭하며 글로벌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업루트컴퍼니는 올 3분기 비트세이빙 베트남을 런칭할 예정으로 현지 진출을 위한 법률 검토와 파트너 세팅까지 완료했다.업루트컴퍼니 이장우 대표는 "베트남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경진대회 스타트업 휠(Startup Wheel) 2024의 본선 톱 50에 선정돼 기쁘다"며 "한국을 대표하는 디지털 자산 분야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랩스 디랩스는 자사의 주요 파트너사와 함께 진행하는 '럼블 레이싱 스타' 경품 지급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럼블 레이싱 스타(Rumble Racing Star)를 즐기는 글로벌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디랩스 게임즈의 어드벤처패스 NFT(대체불가능토큰)·메타볼츠 NFT·$자이($XAI)·잠보 테크놀로지에서 제공하는 잠보 전화기 등 경품이 내달 12일까지 매일 지급된다. 이번 이벤트를 함께하는 잠보 테크놀로지(JAMBO TECHNOLOGY)는 아프리카를 기반으로 한 웹3 기업으로 탈중앙화 금융, 웹3 게임, 교육 콘텐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난해 국내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를 비롯한 여러 투자자로부터 3000만 달러(한화 약 4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잠보의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웹3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폰인 잠보폰과 잠보앱이 있다. 자이(Xai)는 아비트럼(ARB) 기반 레이어3 게임 솔루션으로 암호화폐 지갑 없이도 좋아하는 게임 아이템을 소유하거나 거래할 수 있다. 누구나 노드를 운영하고 거버넌스에 참여해 네트워크 기여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또 픽셀버스는 사이버펑크 테마의 엔터테인먼트 스튜디오이자 웹3 게임 회사로 최근 550만달러(한화 74억)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한편 럼블 레이싱 스타는 잔디 깎는 기계인 론모어(Lawnmower)를 이용해 전 세계 플레이어들과 경쟁하는 멀티플레이어 레이싱 게임으로 모바일 버전의 경우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이용자 인터페이스(UI)와 다이나믹한 트랙 및 카트 등 럼블 레이싱 스타의 독특한 재미를 경험할 수 있다. ◇갈라뮤직 블록체인 뮤직 플랫폼 '갈라뮤직'이 듀오 그룹 '노워리스(NxWorries)'와 협력해 미스터리 박스를 출시했다. 미스터리 박스에는 한정 리믹스 트랙 '스톤즈 스로우 레코즈(Stones Throw Records)' 이벤트 티켓 등이 포함돼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노워리스는 브루노 마스(Bruno Mars)와 R&B 그룹 '실크 소닉(Silk Sonic)'을 결성한 바 있는 그래미 수상자 앤더슨 팩(Anderson Paak)과 프로듀서 놀리지(Knxwledge)로 구성된 듀오 그룹이다. 갈라뮤직은 신규 앨범 'Why Lawd?'의 8번 트랙인 '데이드리밍(Daydreaming)'의 특별 리믹스 버전을 8주 동안 독점 제공한다. 특별 리믹스 트랙은 미스터리 박스에서 얻을 수 있는 NFT 에디션으로 만나볼 수 있다. 미스터리 박스는 개당 4.99달러로 데이드리밍 리믹스 NFT(대체불가토큰) 트랙, 노워리스의 SNS(소셜네트워크) 팔로우 기회, ‘Why Lawd?’ 사인 앨범 당첨 기회, 노워리스 라이브 경험 VIP 티켓, 갈라뮤직 주크박스 노드, 노워리스 한정 굿즈 등 다양한 실물 및 디지털 아이템으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갈라뮤직은 노워리스와 레이블 스톤즈 스로우 레코즈와 협업해 하이랜드 파크에 위치한 스톤즈 스로우 레코즈 본사에서 음반 사인회를 후원했다. 갈라뮤직은 '엑스 레코즈(X Records)'라는 이름으로 팝업 이벤트를 진행하며 한정 굿즈와 컬렉터블을 판매하고 특별 게스트를 초청했다. 앤더슨 팩도 이벤트에 참석해 팬들과 만나는 시간을 가졌다. 갈라뮤직 관계자는 "이번에 노워리스와 협업해 미스터리 박스를 출시하며 갈라뮤직이 웹3 기술을 활용해 팬 참여 모델을 혁신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라며 "향후에도 세계적인 거장들, 신인과 협업해 갈라뮤직에서 팬과 아티스트의 관계에 더 큰 힘을 실어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봉크 솔라나 생태계의 최대 커뮤니티 토큰 봉크(BONK)가 한국 시장에서의 확장을 가속하기 위해 봉크 코리아를 설립했다. 봉크 코리아는 앞으로 한국 커뮤니티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다양한 마케팅 활동 및 이벤트를 통해 봉크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봉크는 커뮤니티 중심의 토큰으로 10여 개의 체인과 300개 이상의 탈중앙화 앱(Dapp)들과 통합해 웹3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봉크는 현재까지 약 20조원에 달하는 거래량과 약 2500억원에 달하는 일일 거래량을 자랑하고 있으며 시가총액(FDV)은 23억9000만 달러에 달한다. 봉크 관계자는 "봉크 코리아의 설립을 통해 한국 크립토 이용자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기회를 만들게 돼 기쁘다"라며 "봉크를 더 쉽게 거래하고, 나아가 단순히 투자하는 커뮤니티를 넘어 오랜 기간 함께 만들어 나갈 수 있는 한국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도록 봉크 파운데이션에서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6월 1일 봉크는 서울 용산구에서 두 번째 오프라인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도 했다. 이번 이벤트에는 4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참석했으며 국내 유명 웹3 아티스트들과 함께하는 전시와 솔라나 기술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솔라나 생태계에 대한 다양한 발표를 듣고 솔라나 지갑 액티베이션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유익한 시간을 보냈다. 봉크 코리아는 앞으로도 다양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이벤트를 통해 한국 커뮤니티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봉크의 혁신적인 프로젝트와 솔루션을 한국 시장에 소개할 계획이다.
  • MZ 홀린 신개념 '기부 플랫폼'…'기부 선진국' 북도 반했다 [스타트UP스토리]이수정 체리 대표[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영국 자선원조재단(CAF·Charities Aid Foundation)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세계기부지수 1위는 인도네시아다. 한국의 세계기부지수 순위는 전체 조사 대상 142개국 중 79위에 그쳤다. 기부 선진국인 미국(5위), 캐나다(8위) 등 북미 국가와 비교해 크게 뒤쳐지는 것으로 조사됐다.△모르는 사람 돕기 △기부 경험 △자원 봉사 등으로 구성된 세계기부지수 중 한국...
  • [크립토리뷰] 하이퍼리즘, 온체인 대출 서비스 '제스트 프로토콜'에 투자(6월2주차) ◇하이퍼리즘 하이퍼리즘(Hyperithm)이 네이티브 비트코인을 위한 최초의 온체인 대출 서비스인 '제스트 프로토콜(Zest Protocol)'에 투자했다. 제스트 프로토콜은 하이퍼리즘이 투자에 참여한 이번 라운드를 통해 총 350만 달러(약 48억 원)의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펀딩은 드레이퍼어소시에이즈가 주도했으며 바이낸스 랩스, 플로우 트레이더스, 트러스트 머신, 어시메트릭, 비트코인 프론티어 펀드, 그래비티 펀드, 프라이멀 캐피탈 등 15곳이 참여했다. 제스트 프로토콜은 영국 런던에 소재한 스타트업이다. 제스트 프로토콜은 비트코인(BTC) 기반의 레이어2 블록체인인 스택스(Stacks)에서 출시될 비트코인과 1:1 매칭 자산 sBTC를 활용해 안전하고 투명한 온체인 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원준 하이퍼리즘 대표는 해당 투자에 대해 "제스트 프로토콜에 투자하기로 결정한 것은 1조 달러 규모의 디지털 자산 시장의 막대한 잠재력을 인식하고 비트코인 대출을 혁신하는 제스트 프로토콜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높게 평가했기 때문"이라며 "제스트 프로토콜은 네이티브 비트코인에 특화된 탈중앙화 대출 플랫폼을 제공해 거래소와 같은 중앙화된 중개자가 필요하지 않다. 하이퍼리즘은 투명성 개선과 탈중앙화 금융의 발전을 위해 제스트 프로토콜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위메이드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기반 소셜 플랫폼 '위퍼블릭(Wepublic)'이 위믹스(WEMIX) 후원 기능을 업데이트했다. 위믹스 후원 기능은 14일 시작된 '스타즈 인 아시아(Stars in Asia)' 프로젝트부터 도입됐다. 스타즈 인 아시아는 지난 2월 곤지암뮤직페스티벌에서 진행된 베를린필하모닉 '카라얀 아카데미' 목관 악기부 오디션 본선 진출자 3인을 후원하는 프로젝트다. 위퍼블릭은 후원 프로젝트를 자유롭게 만들고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즉각적인 모금 현황 조회가 가능하고, 사용 내역은 증빙과 함께 후원자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 위퍼블릭은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새로운 후원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위믹스 생태계 확장에 기여하고자 암호화폐 모금을 도입했다. 이용자는 프로젝트 개설 시, 위퍼블릭 캐시(현금) 또는 위믹스 모금 중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용자 간 위믹스 전송도 가능하다. 위메이드는 위믹스 후원 기능 도입을 시작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위퍼블릭의 사용성 강화를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갈라스왑 탈중앙화 거래 플랫폼 '갈라스왑(GalaSwap)'이 커뮤니티 신규 기능인 '프로젝트 토큰 생성 툴(Project Token Creation Tool)'을 추가했다. 프로젝트 토큰 생성 툴은 유저가 갈라 토큰(GALA)을 소각해 커스텀 토큰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툴이다. 신규 토큰을 생성하려는 유저는 툴을 사용해 신규 토큰의 세부 정보를 제출하고 갈라토큰으로 100달러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지불하면 된다. 이후 파운더스 노드 운영자가 신규 토큰을 검토한 뒤 투표를 진행해 승인이 완료되면 토큰이 생성되는 방식이다. 파운더스 노드 운영자는 신규 토큰이 생성되면 해당 토큰의 신규 생성분 중 2.5%를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새로 생성된 토큰은 갈라스왑에서 사용 가능하다. 갈라스왑은 파운더스 노드 운영자 승인 절차에 대해 생성될 신규 토큰이 커뮤니티 표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고 스팸성 혹은 악의적인 토큰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갈라 생태계의 무결성에 일조한 파운더스 노드 운영자가 신규 토큰 생성분의 2.5%를 보상으로 받게 된다는 것이다. 갈라스왑 관계자는 "새로 추가된 토큰 생성 툴은 갈라 생태계 이용자들이 기발한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갈라 생태계가 더 다채로워지고 단단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코인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이 자사 입사 축하금 제도를 상시·전직군 대상으로 확대 운영한다. 채용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우수 인재 확보를 가속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코인원은 특정 채용이벤트와 일부 직군에 한해 운영하던 입사 축하금 제도를 모든 직군에 확대 적용하는 것으로 개편했다. 집중 채용 기간인 7월 31일까지 코인원 채용 페이지를 통해 지원한 신규 입사자에게 200만 원의 입사 축하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해당 기간 이후 입사자에게는 100만 원이 지급된다. 이번 입사 축하금 제도는 별도 종료 공지 시까지 상시 운영된다. 신규 입사자가 3개월의 수습기간을 통과하면 수습 종료시점 급여일에 입사 축하금이 지급된다. 단 채용 페이지 직접 지원 외 서치펌, 채용 플랫폼, 사내추천 등을 통해 지원자의 서류를 회사가 이미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코인원은 현재 △프로덕트 오너(PO) △프로덕트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 △프로덕트 데이터 애널리스트 △UX 리서처 △웹프론트엔드 개발자 △iOS 개발자 △Android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DevOps 엔지니어 △서비스엔진 개발자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엔지니어 △자금세탁방지 시스템 개발자 △AML 팀장 △AML 기획 담당자 △STR 모니터링 담당자 △거래지원 담당자 △시장감시 담당자 △서비스 보안 엔지니어 등 20개 포지션에서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코인원 채용 담당자는 "개발 직군을 비롯해 제품, 규제 대응, 보안 등 전 분야에 걸쳐 채용이 진행 중이며 특히 최근 신설된 프로덕트 조직을 중심으로 프로덕트 오너(PO) 포지션 인재를 적극적으로 모집하고 있다"며 "코인원과 함께 가상자산 업계를 선도해 나갈 인재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기다린다"고 말했다.
  • [크립토리뷰] 네오위즈 '인텔라 X', 카브에 전략적 투자…노드 운영 참여(6월1주차) ◇인텔라X 네오위즈의 웹3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인텔라 X(Intella X)'가 '카브(CARV)'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 카브의 노드 운영자로 합류했다. 카브는 웹2·웹3 시장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게임 및 AI 개발에 활용하는 모듈화 데이터 레이어다. 약 100만 명 이상이 카브 ID를 발행했으며 750개 이상의 게임 및 AI 관련 파트너사를 보유하고 있다. 업계 최대 규모의 웹3 게임 퍼블리싱 및 소셜 플랫폼 '카브 플레이(CARV play)'와 '카브 인피니트 플레이(CARV infinite play)' 등을 운영 중이다. 인텔라 X는 전략적 투자를 통해 카브의 노드 운영자로 합류한다. 카브 노드는 탈중앙화 구조를 확립해 이용자의 데이터 소유권을 보장하고, 온체인에서 '신뢰할 수 있는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 증명을 검증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양사는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웹3 생태계 확장을 위한 협업도 논의한다. 카브 플레이에 인텔라 X 온보딩 게임을 연결하고 '인텔라 X 월렛'과 '카브 ID'를 연동해 이용자가 손쉽게 온보딩 게임을 즐기며 웹3 자산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카브 인피니트 플레이에서 인텔라X 온보딩 게임들을 즐기고 미션을 수행하면 스테이킹 할 수 있는 토큰을 지급한다. 이는 추후 카브 토큰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전망이다. 고성진 인텔라 X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노드 투자를 통해 카브가 지향하는 탈중앙화와 이용자의 데이터 주권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며 "앞으로 온보딩 게임을 포함한 인텔라 X 생태계 확장을 위한 다양한 협업도 적극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카브 공동 창업자 빅터 유(Victor Yu)는 "이번 투자를 통해 카브 생태계의 일원이 된 인텔라 X를 환영한다"며 "기여와 보상을 핵심가치로 내세운 인텔라 X의 참여로 양사의 생태계 확장은 물론, 웹3 이용자가 데이터 및 자산을 소유하고 수익화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갈라게임즈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갈라게임즈'가 '이머지 그룹(EMERGE Group)'과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맺었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갈라체인 생태계에 통합될 수 있는 게임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갈라게임즈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돕는다. 추가로 마케팅 및 사용자 확보, 시장 진입 전략 등 여러 방면을 지원하며 성공적으로 프로젝트가 진입할 수 있도록 협력할 예정이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이머지 그룹은 마케팅, 콘텐츠 상업화, 지적 재산권 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갈라게임즈의 공식 게임 퍼블리싱 파트너 역할을 맡게 된다. 갈라게임즈는 자사 생태계의 게임 풀을 다양화하고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웹3 게임 환경에 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로이 켁(Roy Kek) 이머지 그룹 최고경영자(CEO)은 "갈라게임즈와 MOU를 체결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갈라게임즈의 웹3 게임 산업 장악력과 이머지 그룹의 퍼블리싱 파트너 노하우를 활용해 갈라게임즈의 위상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전했다. 갈라게임즈 관계자는 "이번 파트너십으로 갈라게임즈와 이머지 그룹은 유저들에게 힘을 돌려주는 분산형 게임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복잡한 블록체인 기술을 단순화해 전 세계 게임 개발자와 유저들이 모두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웹3 세계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쟁글 웹3 솔루션 업체 쟁글이 아시아 최대 B2B 웹3 콘퍼런스 '어돕션(Adoption)' 주요 참가사와 연사, 발표주제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이번 어돕션에서는 △커뮤니티 △지식재산(IP) △스테이블코인 △실물연계자산(RWA) △규제환경 변화 등을 주제로 웹3 기술이 금융, 게임, 엔터, 유통, 제조,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산업에 어떻게 접목돼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웹3 업계에서는 주요 글로벌 메인넷 아발란체(Avalanche), 앱토스 랩스(Aptos Labs) 및 체인링크(Chainlink)가 일찌감치 참석 의사를 밝혔다. 디파이(DeFi·탈중앙화 금융) 애그리게이터 플랫폼 1인치(1inch), 포괄적 디지털 자산 기술 플랫폼 기업 파이어블록스(Fireblocks) 핵심 사업 담당자도 어돕션 연사로 선다. 특히 금융 분야에서 대형 금융 그룹 씨티(Citi)가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글로벌 실물연계 자산에 대한 경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 USDC 발행사 서클(Circle) 또한 웹2 기업의 스테이블 코인 활용 방안을 공유한다. 국내외 대기업 또한 생생한 사례 발표를 통해 다양한 산업군의 구체적인 경험과 인사이트를 나눌 예정이다. 지난 2월 자체 블록체인 지갑 내에 '업튼 커뮤니티 서비스'를 오픈하고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는 SK플래닛은 웹3 멤버십과 커뮤니티 빌딩 경험과 성과를 나눈다. 국내 자동차 업계 최초로 웹3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는 도이치오토모빌그룹 또한 웹3 기술을 활용해 중고차 이력을 관리하며 발견한 중고차 산업에서의 기회를 전한다. 글로벌 럭셔리 그룹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는 실제 비즈니스에 웹3를 도입하며 얻은 성과와 향후 전략 및 경험을 공유하기로 했으며 그 외 하이브 자회사 하이브 바이너리도 참가사로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번 어돕션에는 일본에 이어 한국도 올해 가상자산 제도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웹3 도입에 적극적인 한일 양국 기업과 규제 전문가의 참여가 두드러질 전망이다. 일본 식음료업계 대표주자 산토리와 일본 최대 통신회사 NTT 자회사 NTT 디지털, 폰타(Ponta) 포인트 운영사 로열티 마케팅(Royalty Marketing)이 어돕션에 참석한다. 삼정KPMG, 법무법인 세움 또한 올 7월부터 한국에서 시행 예정인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장과 기업에 미칠 영향을 구체적으로 짚어보는 세션을 각각 준비중이다. 김준우 쟁글 공동대표는 "어돕션을 준비하며 매해 업계의 논의와 시도의 차원이 달라지는 것을 실감한다"며 "그 어느때보다 웹3 산업의 미래 방향성이 중요한 만큼, 쟁글 어돕션이 업계의 첨단을 달리는 의사결정자 사이에서 오고 간 논의들이 빠르게 비즈니스적 파급을 가져오는 촉매제가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KDAC 가상자산 수탁사인 한국디지털자산수탁(이하 KDAC)과 카르도가 합병을 추진한다. 양사의 합병은 1:1의 가치로 이루어지며 존속법인은 KDAC이다. 카르도의 기존 주주들은 존속법인인 KDAC의 신주를 교부받게 된다. 합병의 세부절차는 올해 7월에 완료될 예정이며 합병 후 대표이사는 김민수 대표와 이청우 대표의 공동대표체계로 운영된다. 이번에 합병을 진행하는 KDAC은 신한은행, 코빗, 페어스퀘어랩 등이 주주로 참여하고 2021년에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 수리를 마친 가상자산 수탁사이다. 2024년 국제 내부통제 인증인 SOC-1 을 취득했으며, 현재 약 40개의 대형 그룹사 및 상장사를 포함한 법인고객 60여개를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다. 카르도는 NH농협은행, 헥슬란트 등을 주주로 하는 가상자산 수탁사로서 2022년에 사업자 신고 수리를 마쳤다. 20여개의 대기업 및 가상자산 재단을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23년에는 토큰증권 솔루션을 개발하여 다수의 고객에게 공급한 바 있다. 현재 국내에 은행이 투자하고 2022년까지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를 마친 보관관리 사업자는 3개사로서 이번 합병은 이 3개의 선발 사업자 중 2개사의 합병이다. 합병된 KDAC은 법인고객을 80개 이상 보유한 국내 최대의 가상자산 수탁사로 발돋움한다. KDAC 김민수 대표는 "법인향 가상자산 시장의 개척자인 케이닥과 카르도가 한 팀으로 운영되게 됐다"며 "금번 합병을 계기로 케이닥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기술과 내부통제를 바탕으로 법인고객에게 보다 신뢰받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커피 마시고 코인받자…빗썸-투썸플레이스, '썸머 더블 리워드' 이벤트 빗썸 거래소와 투썸플레이스가 '썸머 더블 리워드'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에는 빗썸 포인트와 제품 교환권 제공, 모바일 교환권 추첨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벤트는 2주 동안 진행되며 전국 매장에서 가능하다.
  • 네이버, 앱 내 모바일 신분증 발급…편의·보안성 확보 네이버가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에 선정됐다. 이에 따라 네이버 이용자는 네이버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고 활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는 실물 신분증 대비 높은 편의성과 보안성을 확보했다. 공공, 금융, 병원, 편의점 등 네이버가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에 선정됐다. 이에 따라 네이버 이용자는 네이버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고 활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는 실물 신분증 대비 높은 편의성과 보안성을 확보했다. 공공, 금융, 병원, 편의점 등
  • 신범준 토큰증권협의회장 "STO, 산업 성장에 신속한 법제화 필요" [더구루=홍성일 기자] 신범준 핀테크산업협회 토큰증권협의회장(바이셀스탠다드 대표)가 토큰증권(STO) 산업의 성장을 위한 규제 프레임 전환과 신속한 법제화를 촉구했다. 신범준 대표는 4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KBIZ홀에서 열린 '토크노미 코리아 2024' 강연자로 참가해 이 같이 밝혔다. 신 대표는 이날 행사에서 '한국형 STO를 위한 시장의 제언'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STO는 다른 금융산업의 수단, 혹은 하위 영역이 아닌 독립된 산업"이라며 "STO 사업을 하며 가장 힘든 부분은 역설적으로 규제가 미비하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토큰증권(이하 STO) 위에서 펼쳐지는 새로운 금융의 시대에는 그에 걸맞은 규제프레임이 필요하다. 기존 규제의 틀에 STO 산업을 억지로 끼워 맞추려 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STO 관련 제도는 금융당국의 토큰증권 가이드라인이라는 임시방편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 7월 STO 관련법인 전자등록법 개정안과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21대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신 대표는 또 "관련 입법이 명확해야 기업도 해당 규정에 따라 예측 가능한 준법 운영을 할 수 있다"며 "현행 가이드라인 아래서는 기초자산의 종류나 발행방식, 보충성의 원칙과 같은 다양한 제약이 존재해 특정 현물자산을 제외하면 STO 발행이 사실상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에 신범준 대표는 신속한 STO 관련법 통과를 촉구하고 △기초자산 요건 개선 △절차 간소화 △동산 신탁제도 마련 △유통체계 개선 등 법안 논의 과정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을 제언했다. 아울러 STO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서도 예견했다. 신 대표는 "과거 소형 현물자산 위주로 운영된 조각투자 산업이 STO를 만나 향후 거대 자산을 대상으로 투자 영역을 넓힐 것"이라며 "이를 통해 STO는 PF나 자산운용사들만 취급했던 우량상품에 누구나 쉽게 투자할 수 있는 연결고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은 다음 세대의 증권과 시장은 '자산의 토큰화'가 이끌어갈 것이라며 STO를 미래 금융 서비스의 핵심으로 꼽았다"라며 "급변하는 디지털 금융 시대를 맞아 국내 토큰증권 산업이 글로벌 트렌드를 이끌 수 있는 토대와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한편 올해로 2회째를 맞는 토크노미 코리아는 △프랭클린 템플턴 △오사카 디지털거래소 △핀테크산업협회 토큰증권협의회 등이 참여해 가상자산과 STO의 미래를 진단했다.
1 2 3 4 5 6 7 10

당신을 위한 인기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 “전기 밴은 나야 둘이 될 수 없어” 폭스바겐에 도전장 내민 기아 PV5, 승자는?
  • “일본산 지바겐 나온다!”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에 하이브리드 연비까지 갖춘 렉서스 GX
  • “가정 교육을 어떻게 받은 거니” 17세 소년, 흡연하다 무면허 적발

추천 뉴스

  • 1
    '세계적인 암 권위자' 김의신 박사가 매일 아침 반드시 챙겨먹는 음식 7가지

    여행맛집 

  • 2
    박지현 'OCEAN' VS 정서주 '기다리는 건 아무것도 아니에요', 치열해지는 음반대상 상위권 경쟁

    연예 

  • 3
    청문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대리전 양상으로…'체포 명단 메모' 등 공방

    뉴스 

  • 4
    제니부터 알레산드로 미켈레까지, 여기는 오트 쿠튀르 컬렉션입니다

    연예 

  • 5
    옛날이었으면 “상상도 못했다”…옆집 엄마 회춘 비결, 전 세계서 ‘인기 폭발’ 하더니

    경제 

지금 뜨는 뉴스

  • 1
    58세 김성령 "동안 비결=피부과, 돈 어마어마하게 써" 솔직 (전현무계획2)[MD리뷰]

    연예 

  • 2
    ‘앞치마에 셰프 모자’ 그리고 ‘장난감’→유로파 리그 감독의 기괴한 동기부여 전략 ‘충격’…‘효과 만점’→3연패 마감→강등권 탈출 ‘겹경사’

    스포츠 

  • 3
    이강덕 시장, 안전 최우선으로 동빈대교 조속한 공사 추진 당부

    뉴스 

  • 4
    글로벌 마이스 도시를 향한 신호탄…(재)포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 총회 개최

    뉴스 

  • 5
    신진서, 농심 신라면배 5연패 이끌며 18연승 기록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