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 3월 법인 설립…“의료정책 정부에 공식 제안”한국미래의료혁신연구회(이하 한미연)가 오는 3월 정식 법인을 설립한다고 13일 밝혔다. 한미연은 지난해 3월 의료 현장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출범한 단체다. 강대희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와 임종윤 코리그룹 회장(한미사이언스 전 사내이사)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한미 한국미래의료혁신연구회(이하 한미연)가 오는 3월 정식 법인을 설립한다고 13일 밝혔다. 한미연은 지난해 3월 의료 현장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출범한 단체다. 강대희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와 임종윤 코리그룹 회장(한미사이언스 전 사내이사)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한미
비즈니스 상담만 1779건...CES 서울통합관 '최고·최대' 괄목 성과[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 기업 1031개가 'CES 2025'에 참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가운데 서울경제진흥원(SBA)이 지원한 스타트업 104곳 또한 1800건 가까운 비즈니스 상담 등 다양한 성과를 거둔 걸로 조사됐다. SBA는 또 한국, 네덜란드, 일본 등 5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 IR 대회를 개최했다. CES에 참가한 각국 기관들이 공동으로 이 같은 행사를 연 것은 처음이다. 국내 스타트업들이 최초·최대라는 CE...
JP모건 헬스케어 “비만치료제 열풍 지속, 신흥 시장과 디지털 기술 융합으로 확장”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2025에서 '비만치료제 성장'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지난해에는 비만치료제 '기술'에 집중했다면 올해는 비만치료제의 혁신적 발전과 함께 성장 가능성이 강조됐다. 올해 JP모건 헬스케어에서 다뤄진 주요 주제 중 하나는 비만치료제 시장 급성장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2025에서 '비만치료제 성장'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지난해에는 비만치료제 '기술'에 집중했다면 올해는 비만치료제의 혁신적 발전과 함께 성장 가능성이 강조됐다. 올해 JP모건 헬스케어에서 다뤄진 주요 주제 중 하나는 비만치료제 시장 급성장
카카오헬스, 매출 120억·15만 다운로드 돌파…日 진출로 '퀀텀 점프'카카오헬스케어가 지난해 매출 120억원을 거두며 전년 대비 3배 가까이 성장했다. 주력 서비스 '파스타'가 15만건 이상의 다운로드 수를 기록하는 등 시장에 안착한 덕분이다. 올해는 공격적인 마케팅과 함께 일본 시장에 진출, 퀀텀 점프를 기대한다. 13일 관련업계에 따 카카오헬스케어가 지난해 매출 120억원을 거두며 전년 대비 3배 가까이 성장했다. 주력 서비스 '파스타'가 15만건 이상의 다운로드 수를 기록하는 등 시장에 안착한 덕분이다. 올해는 공격적인 마케팅과 함께 일본 시장에 진출, 퀀텀 점프를 기대한다. 13일 관련업계에 따
제품개발 지원효과‘톡톡’... 첨단의료제품 상용화 앞당겨[잡포스트] 구웅 기자=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가 지원한 기업에서 제품출시, 식약처 허가 등 제품 상용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8일 밝혔다.최근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의 기술지원을 받은 기업 3곳이 연이어 제품 상용화에 성공했다. 각 기업은 ▲㈜지오에스(대표 김창걸), ▲주식회사 비엔티코리아(대표 곽동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대표 박철구)로 모두 지난해 11월부터 제품을 출시하고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디지털시스템팀은 제품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개발해 기업에 이전함은
루닛·당근 발굴한 카카오벤처스가 점찍은 차세대 유망산업은?[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루닛, 두나무, 당근 등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한 카카오벤처스가 주목하는 차세대 유망 산업은 어디일까? 19일 카카오벤처스는 '혁신 너머의 미래'를 주제로 카카오벤처스 투자심사역과 각 분야 전문가가 산업을 공유하는 온라인 세션 'KV 인사이트풀데이'를 열었다. 올해 처음 열리는 인사이트풀데이는 스타트업, 벤처캐피탈(VC), 엔터테인먼트, 의료, 학계 등 다양한 업계 관계자 150여명이 참여했다. 이번 인사이...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위, '디지털·바이오헬스 혁신위'로 확대되나정부, 기존 국무총리 주재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위·추진단 활용 방안 검토 중정부가 국무총리 주재의 글로벌백신허브화위원회와 그 전담 조직인 보건복지부 산하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을 각각 '디지털·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와 '디지털헬스케어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