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 직전 퇴직급여 신청한 김용현 전 장관: 퇴직 사유는 보고도 믿기지 않을 정도다내란을 주도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사유는 '일반 퇴직'이었다.국회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무원연금 공단에서 제출받아 12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공단은 지난달 10일 김 전 장관으로부터 퇴직급여 청구서를 우편으로 접수했다. 이날은 김 전 장관이 구속된 날이었다.공무원은 퇴직 5년 이내에, 공무원연금공단에 퇴직급여를 청구할 수 있다. 대통령 경호처장(2년 3개월) 및 국방부 장관(3개월) 등으로 근무한 것에 대한 퇴직급여를 청구한 것으로, 퇴직 사유는 파면이나 해임 등이 아
김용현 전 장관이 '尹 내란죄 수사'를 단 네 글자로 압축했고, 이런 말은 세상 처음 들어본다'내란의 주체'를 아직도 파악하지 못한 것 같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변호인단은 10일 "내란죄 수사가 윤석열 대통령을 정치적으로 제거하려는 정치세력이 주도한 실질적 내란"이라며 "검찰의 공소장은 내란의 주체를 윤 대통령이라고 잘못 기재한 오답 노트일 뿐"이라고 밝혔다.김 전 장관의 변호인 유승수, 이하상 변호사는 이날 서초구의 한 모임 공간에서 일부 언론을 대상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전체 83페이지 공소장 내용 중 단 1페이지만 직권남용 관련 공소사실이 검찰에 수사 권한이 있는 부분"이라면서 "억지로 직권남용 공소사실을 끼워
비상계엄 당일 오찬서 “탱크로 확 밀어버려” 발언했다는 군 고위직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발언 및 의혹을 제기하며 조사 촉구.
“험난한 정의의 길” 직접 사의 표명한 김용현, 또 모순된 태도로 논란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비상계엄 선포를 건의한 후 사의를 표명하며 모순된 발언으로 논란에 휘말렸다.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히면서도 계엄을 정의로운 선택으로 해석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오늘(10일) 호주로 떠난다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호주 대사로 임명되면서 도피성 인사로 지적되고 있으며, 채 상병 사망 사건과 수사 외압 의혹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