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펜싱 남자 사브르 대표팀이 올림픽 3연패를 달성하며 ‘뉴 어펜져스’ 시대를 활짝 열었다.
오상욱(27·대전광역시청)·구본길(35·국민체육진흥공단)·박상원(23·대전광역시청)·도경동(24·국군체육부대)이 나선 대표팀은 은 1일(한국시간)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단체전에서 정상에 오르며 2012 런던 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2021년 개최)에 이어 올림픽 3연패의 금자탑을 쌓았다.
남자 사브르 대표팀은 한국 펜싱의 간판으로 자리매김했다. 앞서 두 차례 올림픽과 지난해 항저우 아시아게임에서 금메달을 합작하며 ‘어펜져스(어벤져스+펜싱)’로 불렸다. 그러나 파리 올림픽을 앞두고 기존 멤버 중 베테랑 김정환과 김준호가 국가대표에서 은퇴하며 격변의 시기를 맞았다. 노련했던 두 선수를 대신해 신예 박상원과 도경동이 합류하며 팀 워크와 전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컸다. 이날 금메달은 그동안의 우려가 기우였음을 입증하는 무대가 됐다. 동시에 ‘뉴 어펜져스’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선포하는 자리였다.
지난달 28일 압도적 경기력으로 세계 강호들을 제압하고 개인전 금메달을 목에 건 오상욱은 ‘뉴 어펜져스’의 확실한 구심점이 됐다. 동료들이 믿고 의지하는 ‘가장 날카로운 칼’로서 득점이 필요할 때면 어김없이 제 몫을 했다.
오상욱은 “어펜저스는 워낙 농익은 사람들이 많았다. 내가 막내였다”며 “뉴 어펜저스는 조금 더 힘차고, 패기가 넘친다. 쓰나미 같은 그런 힘이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개인전 때와 비슷하게 ‘넌 최고야’라는 말이 (단체전에서도) 내게 가장 꽂혔다. 그게 내게 가장 힘을 많이 줬다”고 덧분였다.
올림픽 3연패 기록에 모두 동참한 ‘맏형’ 구본길은 팀원들을 ‘원팀’으로 모으는 리더십을 발휘했다. 막내로 참가했던 2012 런던 올림픽의 경험을 바탕으로 20대 초반인 박상원과 도경동이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다독이고 격려하는 역할을 했다. 특히 난적으로 꼽힌 개최국 프랑스와 준결승전에서는 미묘한 신경전으로 상대의 평정심을 무너뜨리는 노련함을 보여줬다.
‘올림픽 라스트 댄스’를 금빛 찌르기로 마친 구본길은 “다음 목표는 2026년 나고야 아시안게임”이라며 “내가 선수 생활을 하면서 정말 (나고야에) 갈 수 있으면 좋겠다. 도전해보고 싶다”고 의지를 보였다.
박상원은 첫 올림픽에서 자신의 기량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특유의 저돌적인 공격과 민첩함으로 대표팀의 ‘에너지’를 끌어올렸다. 박상원은 “정말 힘들게 올림픽을 준비했다. 냉정하고 침착하라고 계속 주문하는 선배님들 덕분에 경기를 잘 치를 수 있었다”고 말했다.
2012 런던 올림픽을 보며 펜싱의 꿈을 키운 ‘런던 키즈’ 도경동은 결승전에서 신스틸러로 맹활약했다. 한국이 30-29로 위태로운 리드를 하던 7라운드에 구본길 대신 투입돼 올림픽 데뷔전을 치렀다. 상대를 몰아치며 단 2분 30초 만에 5득점을 올렸고 한국은 순식간에 35-29로 앞섰다. 훈련 때부터 모든 멤버를 대체할 기량을 자랑했던 그다. 도경동은 경기 후 “선수로서 최종 목표가 금메달이었다. 그걸 바라보고 운동해왔는데 목표를 이룰 수 있어 꿈만 같다”며 “개인적인 기쁨보다 우리 펜싱의 새 역사, (단체전) 3연패를 할 수 있어 너무 좋다”고 기뻐했다.
‘뉴 어펜져스’의 뒤에는 원우영 대표팀 코치가 있다. 원 코치는 새롭게 결성된 팀의 경기력을 끌어올리는 과제를 해결했다. ‘펜싱은 기세 싸움’이라는 지론으로 자신감을 불어넣으며 상대와 기 싸움에서 눌리지 않도록 선수들을 이끌었다. 원 코치는 2012 런던 올림픽 때 김정환, 오은석, 구본길과 함께 남자 사브르 단체전 금메달을 합작해 한국 펜싱에 사상 첫 단체전 우승을 안겼던 주인공이다. 앞서 2010년에는 이번 대회 장소인 그랑팔레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 때 한국 사브르 선수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지도자로 처음 경험한 올림픽의 여정을 금메달로 장식했다.
|
|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