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8/image-d2c854b0-5f71-4ca8-8c94-106049673a98.jpeg)
1선발 후보 김광현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8/image-c6827b74-639f-4467-8969-c98f71a2a083.jpeg)
김광현은 랜더스의 실질적인 에이스다. 그는 2007년 SK 와이번스에서 데뷔해 5개의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를 획득한 선수이다. 특히 2008시즌에는 MVP와 골든 글러브를 동시에 수상했다.
그는 188cm의 큰 신장에서 내리꽂는 평균 147km/h, 최고 156km/h의 직구와 평균 136km/h, 최고 147km/h의 각이 큰 고속 슬라이더를 주로 던지는 강속구 투수다. 특히 직구와 고속 슬라이더 외에도 최저 120km/h 대 중반대에도 형성되는 느린 슬라이더, 매년 9~10% 정도의 비장타 허용이 잦아 피장타율은 높은 편이다. 성적을 내야 랜더스는 비상할 수 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8/image-c1bf873c-c9d5-4dc6-b160-5eba87e2e5cf.jpeg)
로에니스 엘리아스는 지난해 에니 로메로가 부상으로 퇴출당하면서 대체 외인 투수로 입단했다. 그는 지난해 선발 등판한 경기에서 8승과 함께 방어율 3.70에 기록을 남겼다. 그는 지난해 성적보다 더 좋은 기량을 보여줘야 한다.
그는 평균 94마일(151km/h)의 싱커성 패스트볼과 87마일(140km/h)의 체인지업, 77마일(124km/h)의 커브볼, 80마일(129km/h)의 슬라이더 등 다채로운 구종을 구사한다.
안정된 투구 메카닉에서 나오는 패스트볼의 각이 우수하고, 직구와 같은 릴리스 포인트에서 던지는 체인지업 및 커브의 움직임이 예리하여 다양한 레퍼토리의 투구가 가능한 투수다. 하지만 장타 허용이 잦아 피장타율은 높은 편이다. 이점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올 시즌 성적이 좌우될 것이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8/image-5febae35-a603-47f2-888e-b6ec27c24170.jpeg)
로버트 더거는 랜더스 새로운 외국인 투수다. 그는 최고 151km 직구를 구사하며 체인지업, 커브 등 다양한 변화구를 완성도 있게 구사할 수 있다. 또 플라이볼 유형의 투수이다.
그는 기술적인 측면 외에도 튼튼한 내구성, 마이너 리그에서의 풍부한 선발 경험과 안정적인 경기 운영 능력을 갖춘 밸런스가 뛰어난 선발 투수이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8/image-3dee7ce1-309c-48e2-894a-0ab312cc81b5.jpeg)
오원석은 부드러운 투구자세가 강점인 좌완 투수이다. 그의 최고 구속은 149km/h이며 평균 구속은 140km/h대 초반 정도이다. 그의 약점은 제구력이 좋지 않기 때문에 피출루율, WHIP이 높다. 이에 따라 카운트 싸움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억지로 카운트를 잡으러 들어가다 보니 피안타율과 피장타율도 높다는 점이다.
그는 투구수 관리가 잘 되지 못해서 긴 이닝을 소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모습도 종종 보여준다. 이러한 약점들이 극복한다면 랜더스의 순위에 올라가 있을 것이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8/image-f794c01c-bf35-4e22-86a4-7d4180950866.jpeg)
송영진은 뛰어난 땅볼 유도 능력을 통해 타자를 맞춰 잡는 피네스 피처 투수다.
그는 탈삼진 능력이 크게 뛰어나진 않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닝 소화 능력이 좋고 볼 끝이 지저분해서 안타를 잘 허용하지 않는다. 특히 땅볼 유도 능력이 뛰어나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3/CP-2022-0028/image-08e7d2db-0183-43d3-9501-580cbdc7d658.jpeg)
박종훈은 정통 언더핸드 투수로서 릴리스 포인트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5cm 남짓이라 할 정도로 릴리스 포인트가 낮다. 이 때문에 땅바닥에서부터 올라오는 공의 움직임이 굉장히 변화무쌍하다.
그는 특히 특유의 투구자세 덕분에 위로 떠오르는 무브먼트를 보여주는 커브는 터무니없는 코스에도 타자들의 배트가 나오고 긁히는 날에는 심판까지 스트라이크나 볼을 외칠 때 잠시 고민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움직임이 좋다. 하지만 균형이 자주 흔들리며 좋을 때와 나쁠 때의 간극이 큰 편이다. 이점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송영진에게 5선발 자리를 뺏길 수밖에 없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