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컵이 화제인 가운데 그로 인한 문제도 생겨나고 있다.
6일 중앙일보는 축구 응원 때문에 소음에 시달리는 현장을 보도했다.
한국 축구대표팀이 2023 카타르 아시안컵에서 승승장구하고 있지만, 또 다른 한편에선 소음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2-0028/image-3491a7cd-5bc1-49f5-bb76-41cd694eae1a.jpeg)
경기가 주로 늦은 밤이나 새벽에 열린데다 유독 극적인 골이 자주 나온 탓에 축구 응원으로 인한 층간소음, 고성 때문에 갈등이 생겨나는 것이다.
또한 월드컵과 달리 거리 응원이 거의 없는 것도 주택 간 소음의 원인이다.
공동주택 층간소음규칙에 따르면 밤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38㏈(데시벨) 이상의 소리를 낸다면, 층간소음으로 간주한다.
인천 미추홀구의 한 다세대주택에 거주하는 고 모(27) 씨는 중앙일보에 “골을 넣을 때 잠깐의 환호 소리는 이해하지만, 정규시간뿐만 아니라 추가시간까지 소리를 질러 응원하는 것은 이해하지 못하겠다”며 “옆집에 찾아가 항의했지만, 잠깐 조용해질 뿐 다시 시끄러워졌다”고 말했다.
서울 대림동 주민 김 모(29) 씨는 “사우디아라비아와의 16강전은 수요일 새벽에 열렸는데, 옆집과 아랫집의 응원 소리에 잠을 설쳤다”며 “회사에 출근해서 조는 등 근무에 지장이 생겼다”고 일선 호소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2-0028/image-4fb49f87-7dbb-4e61-af77-4574027bb928.jpeg)
실제로 경기가 열리는 날엔 지구대와 파출소에 소음 신고가 끊이지 않았다.
한 경찰관은 “스포츠 경기를 응원하면서 술을 마시다 보니 주취 사건이 많았지만, 최근엔 줄어든 것 같다”며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집에서 응원하는 사람이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신 응원에 대한 층간소음 신고가 늘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오는 7일 자정엔 요르단과의 아시안컵 준결승전이 열린다.
경찰 측은 “층간소음으로 출동하더라도 폭력 등이 없다면, 세대 간 갈등을 중재할 강제적인 방법은 없다”며 “집에선 조용히 응원하는 매너를 가졌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2/CP-2022-0028/image-3cfec191-5f1b-4590-88dd-69f359014004.jpeg)
반대로 아시안컵 덕분에 웃음 짓는 사람들도 있다.
6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호주와의 8강전을 앞두고 있던 지난 2일 GS25·CU·세븐일레븐·이마트24 등 편의점 4사의 맥주 매출이 전주 같은 요일에 비해 30∼40% 증가했다.
하이볼·위스키도 20∼30%대의 높은 매출 증가율을 보였고 스낵, 마른안주, 냉장안주도 매출이 20%대로 늘었다.
댓글2
소원
이번경기는 졌지만 끝까지 노력하는 선수들이 멌지다
소원
이번경기는 졌지만 끝까지 노력하는 선수들이 멌지다 그리고 조현우 골키퍼넘 잘했다 ㅠㅠ 얼굴 막다니 ㄷㄷ 우리선수들 너무 수고했고 다친데 없기 아 ㄱㄷ리고 복많이 행복많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