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멀리 돌아왔네요.”
안양 KGC는 지난 7일 안양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서울 SK와의 2022-23 SKT 에이닷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7차전에서 연장 접전 끝 100-97로 승리, 창단 후 2번째 통합우승을 차지했다.
KGC의 우승을 알리는 종료 부저와 함께 선수들은 하나가 되어 기쁨을 누렸다. 그리고 김상식 KGC 감독과 최승태, 조성민 코치 역시 얼싸안으며 뜨겁게 울었다.

사연 없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그러나 한국농구의 슈터 계보를 이은 주인공 ‘조선의 슈터’ 조 코치에게 있어 이번 우승은 더욱 뜻깊게 다가왔다. 현역 선수 시절 단 1번도 정상에 서지 못했던 그는 지도자가 된 첫 시즌에 그토록 원했던 우승을 해냈다.
8일 연락이 닿은 조 코치는 “참 멀리 돌아왔다”며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목에 걸었을 때도 울지 않았다. 그런데 어제는 눈물이 나오더라”라고 이야기했다.
이어 “농구를 시작하면서 통합우승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오랜 시간 달려왔다. 선수는 아니지만 코치로서 우승을 할 수 있어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축하 메시지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조 코치는 “많은 분이 연락을 주셨다. 가장 기억에 남는 건 KGC 팬분들이다. 정말 뜨거운 응원을 받았다. 너무 감사하다”며 “(양)동근이 형과도 전화했다. 너무 잘 됐다며 축하한다고 해주더라. 이렇게 좋은 걸 그렇게나 많이 했냐고 답했다(웃음)”고 말했다.
2006 KBL 신인 드래프트 전체 8순위로 KTF에 지명된 조 코치. 그는 신인 시절 챔피언결정전을 경험한 후 2020-21시즌 이후 은퇴할 때까지 최고의 무대에 다시 서지 못했다. 매 시즌 KBL 최고의 선수로 평가받았지만 kt, LG에선 4강 이상 오르지 못했다.
지도자로서의 첫걸음은 매우 성공적이다. 그동안 마음고생이 적지 않다고 고백한 조 코치였지만 와이어 투 와이어 1위, 통합우승, EASL 챔피언스 위크 우승 등 탄탄대로를 걸었다는 것 역시 부정하기 힘들었다.

조 코치는 “(김상식)감독님과 그동안 해왔던 모든 일들, 마음고생 등 모든 게 떠오르면서 울컥했다. 주마등처럼 지나가더라. 우승이란 게 이런 기분이라는 걸 처음 느꼈다. 농구를 시작한 이래 제일 감격스러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감독님은 선수들에게 항상 자부심을 가지라고 해주신다. 나는 (양)희종이가 워낙 자신의 역할을 잘하다 보니 코치이기 전 선배의 시선에서 많이 바라봤다. (최)승태 형과 함께 선수들이 흥분하지 않도록 도와주려고 노력했다. 사실 잘 안 되기는 했다(웃음)”며 “워낙 좋은 기량을 가진 선수들이다. 그걸 100%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게 나의 역할이었다. 질책보다는 칭찬으로 가는 방향을 잡았다. 좋은 결과로 이어져 기분 좋다”고 전했다.
성공의 길만 걸었던 KGC다. 하지만 알 게 모르게 벤치가 가진 부담과 걱정도 컸다. 조 코치는 “승태 형은 최연소 수석코치, 나는 코치가 처음이었다. 감독님 역시 오랜 시간 대행 역할을 해오셨기 때문에 서로 힘들어하는 부분이 적지 않았다. 그래서 더 고민하고 대화했다. 승리하는 건 항상 좋지만 지켜내는 게 정말 힘들다. 겉에서 보기에는 안 힘들어 보여도 정말 힘들었다”고 고백했다.
김 감독에 대한 존경과 존중 역시 드러낸 조 코치다. 그는 “기쁠 때나 힘들 때가 모두 있는 한 시즌이었지만 선수들을 혼내는 게 전부가 아니라는 걸 가르쳐준 분이 바로 감독님이다. 선수로서 은퇴한 후 농구는 물론 운동은 절대 하고 싶지 않았는데 감독님을 보면서 ‘나도 뛰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지금의 시스템, 이런 농구를 하면 ‘전보다 더 잘할 것 같은데?’라고 생각하기도 했다”며 웃음 지었다.
정규리그부터 EASL 챔피언스 위크, 그리고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까지. 너무도 길었던 한 시즌을 끝낸 조 코치. 그는 일단 푹 쉬며 다음을 준비할 계획이다.
조 코치는 “일단 선수단은 해산한 상황이다. 조만간 일정을 조정, 남은 업무를 마무리해야 한다”며 인터뷰를 마쳤다.
민준구 MK스포츠(kingmjg@maekyung.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