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고령층의 자연사가 아닌 ‘외인사’(자살·사고 등으로 인한 사망)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교통사고와 집안 내 낙상으로 인한 고령 외인사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 통계개발원(KOSTAT)은 26일 발간한 ‘KOSTAT 통계플러스-2024년 겨울호’를 통해 이런 내용을 담은 ‘고령화 사회 속 숨겨진 위기, 고령자 안전사고’(정지범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란 제목의 통계 분석 이슈를 발표했다.
우리나라 고령층(55~74세)의 외인사 사망률은 OECD 주요국 중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지만, 2020년 현재에도 다른 나라에 비해 여전히 높다.
이런 결과는 주로 교통사고나 낙상사고에서 비롯된다. 2021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의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5.1명이었다. 이는 OECD 평균(6.8명)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으로, 우리나라가 콜롬비아에 이어 2위였다.
주로 보행자 사망이 많았다. 2023년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의 ‘보행자 사망’(44.4%)이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륜차(15.6%)·승용차(13.9%)가 이었다.
보고서는 “고령층 보행자들에 대한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며 “우리나라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에는 노인교통사고 사망자 감축을 위해 노인보호구역 확대, 노인 대상 안전교육 강화 등이 담겨 적절한 방안을 내세우고 있지만, 아직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낙상 역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사망에 쉽게 이르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따르면 60~70대의 낙상 사망률은 꾸준히 감소하나, 80대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사고는 주로 가정에서 발생하고 있다. 천장재·바닥재 사고가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바닥재 사고 중에서도 석재 또는 타일 바닥재 사고가 잦았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관련 국가 정책은 낙상 예방을 위한 홍보와 캠페인 위주로 진행돼, 적절한 계획이나 예산이 마련돼 있지 않다”며 “낙상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은 일상생활에서 낙상 사고 방지를 위한 보행보조 장치, 미끄럼 방지 시설 설치, 바닥 및 조명 정비 등 각종 시설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또 다른 외인사 사유 중 하나로 꼽히는 자살의 경우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뚜렷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0만명당 사망자 수는 ▲10대 7.9명 ▲20대 22.2명 ▲30대 26.4명 ▲40대 31.6명 ▲50대 32.5명 ▲60대 30.7명 ▲70대 39명 ▲80대 59.4명이었다. 다만 고령층의 자살률은 2010년 이후 꾸준히 낮아지는 추세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