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 특검안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넘어간 가운데, 한덕수 권한대행은 거부권 시한인 내년 1월1일까지 신중하게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조선일보 주필은 “지금까지 윤 대통령이 계엄처럼 이성을 잃을 정도로 분노하고 막으려 한 것은 김 여사 문제뿐이었다”며 “탄핵 소추가 기각돼 직무에 복귀하더라도 특검이란 시련을 거쳐 그가 부인 문제에서 해방됐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12일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국회 본회의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12·3 비상계엄 특검법을 통과시켰다. 한 권한대행은 거부권 시한 전까지 신중하게 검토한다고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0일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한 권한대행은 민의에 따라 신속하게 특검법을 공포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양상훈 조선일보 주필은 19일 「문제의 근원 ‘김건희 특검’ 피할 수 있겠나」 칼럼에서 “무엇이 윤석열 대통령을 압박해 이런 일까지 벌이게 만들었느냐는 의문이 계속 맴돈다. 이 의문을 푸는 열쇠는 계엄군의 체포 명단에 들어있다”며 “명단에 여권 인사로는 유일하게 한동훈 전 대표가 들어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양상훈 주필은 “계엄 다음 날부터 윤 대통령의 ‘김건희 수호 계엄’이라는 말이 나왔다. 과정 전체를 보면 이 말에 수긍할 수밖에 없다”며 “지난 총선을 앞두고 한동훈 대표가 김 여사 문제를 ‘국민 눈높이에서 봐야 한다’고 언급하자 윤 대통령은 한 대표 사퇴를 요구했다. 한 대표는 수류탄 정도를 던졌는데 윤 대통령은 원자폭탄으로 대응했다. 총선 직전이어서 윤 대통령의 원폭은 국민의힘 선거를 망칠 수 있었는데도 아랑곳하지 않았다. 김 여사를 지키는 것 이상으로 윤 대통령에게 중요한 문제는 아무것도 없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의 위기감이 최고조로 달한 사건은 지난 10월4일 김건희 특검법 국회 재의결이라고 봤다. 양상훈 주필은 “이 표결에서 국민의힘 이탈표가 4표 나왔다. 그토록 표 단속을 했지만 ‘철통 단결’은 허상임이 드러났다. 다음 표결에서 4표만 더 이탈하면 특검법은 통과될 수 있었다. 윤 대통령의 자신감은 크게 흔들렸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양 주필은 “그 즈음부터 윤 대통령 지지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해 바닥 수준까지 떨어지고 있었다. 김 여사 문제가 가장 큰 악재였다. 대구에서도 김 여사 비판론이 비등했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이 분위기를 피부로 느끼고 있었다. 이탈표 추가 가능성은 점점 높아졌다. 위기를 느낀 윤 대통령은 비서실장을 여의도로 보내 국민의힘 의원들과 단합 오찬까지 하게 했다. 매우 이례적인 일로 사실상 표 단속이었다”고 했다.
지난달 8일 양 주필은 「김 여사의 다음 호칭」 칼럼에서 “대구에 사는 지인이 친분이 있는 국민의힘 대구 당원들 얘기를 전했다. 그에 따르면 당원들은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부인을 ‘김건희 여사’ ‘여사님’ ‘여사’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것이 어느 순간 ‘김건희’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다시 시간이 흐르자 ‘가(걔·그 아이)’라는 경상도 호칭으로 변했다. 그러더니 이제는 당원 상당수가 그냥 욕설로 부른다고 한다”라고 쓴 바 있다.
그는 “윤 대통령 주변에서 ‘특검법을 수용하면 정국 주도권을 되찾아 올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오기 시작했다. 윤 대통령 부부를 모르는 ‘순진한’ 충언”이라며 “이와 동시에 국민의힘 ‘당원 게시판’ 논란이 격화됐다. 한 전 대표를 겨냥한 친윤 측 공격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므로 체포 명단에서 한동훈이 빠질 수 없었다고 했다. 그는 “친한계가 국회의 12월10일 표결에서 김건희 특검법에 찬성할 수 있다는 얘기가 11월 하순부터 여권에서 돌기 시작했다. 11월27일 친한계 의원이 라디오에서 특검 찬성 가능성을 언급했고, 11월28일엔 한 신문이 ‘한 대표, 김건희 특검 고려’라고 보도했다”며 “계엄이라는 수소폭탄을 던졌다. 체포 명단에 ‘한동훈’은 빠질 수 없었다”고 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계엄처럼 이성을 잃을 정도로 분노하고 막으려 한 것은 김 여사 문제뿐”이라며 “하지만 김 여사 특검은 더 이상 막기 어렵다. 윤 대통령은 특검에서 부수적으로 김 여사 국정 개입 실상이 드러나는 것을 가장 우려할 것이다. 하지만 다음에 어떤 정권이 오더라도 김 여사 문제는 수사를 피할 수 없다. 수사 이전에 무차별 폭로부터 나올 것이다. 어차피 맞아야 할 매라는 뜻이다. 윤 대통령 탄핵 소추가 기각돼 직무에 복귀하더라도 특검이란 시련을 거쳐 그가 부인 문제에서 해방됐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중앙일보 논설위원 “尹 국무위원들 공통점 ‘아부’, 계엄 제대로 대응했겠나”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까지 가게 된 데에는 주변에 아부하는 아첨꾼들만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안혜리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19일 「윤석열 리더십에 갇힌 대한민국」 칼럼에서 “법적 요건이라곤 11명의 정족수뿐이었던 계엄 당일 국무회의 참석자는 물론, 운 좋게 그 자리를 피한 다른 대부분의 국무위원 역시 공통점이 하나 있었다. 바로 아부다”라며 “내 능력을 인정하고 발탁한 대통령에 대한 충성심이나 인간적 호감 표시를 나무라는 게 아니다. 사적인 자리에서도 민망한 아부성 발언이 윤석열 정부 국무위원 사이에선 유독 흔했다. 게다가 당정협의회나 국회, 언론 인터뷰 같은 공적 자리를 대놓고 아부 통로로 삼아 거북했다”고 했다.
이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과거 발언을 비판했다. 안혜리 논설위원은 “계엄 두 달 전, 그러니까 적잖은 국민은 국정 안정보다 자기 아내를 우선시하고 타협 없는 오기로 마치 국민과 싸우는듯한 대통령을 보며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그런데 무조건 ‘몰랐다’만 외치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 대행은 당시 언론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을 ‘대인, 제일 개혁적인 대통령’이라고 추켜세웠다. ‘지성이 지배하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며 에둘러 국민은 반지성적이라고 깎아내렸다”고 지적했다.
안 논설위원은 “윤 대통령의 발 빠른 면직 재가로 국회에서 당할 봉변을 부하 장성에게 떠넘긴 대통령 고교 동창 그룹 ‘충암파’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말할 것도 없다”며 “계엄 실패 후조차 국민이나 군에 대한 사과 대신 ‘대통령님은 속썩이는 자식이 없어서인지 온종일 머릿속에 나라와 국민 생각만 하는 참 미련하신 분’이라고 했다. 무리한 ‘입틀막’ 경호 탓에 사방에서 ‘경질하라’는 요구가 빗발치는 와중에 장관으로 영전한 데는 이런 심기 경호도 한몫했을 거”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윤 대통령 PT 발표와 리셉션 참석 덕분에 국면 전환의 분수령을 마련했다. 윤 대통령 PT 발표와 리셉션 참석 덕분에 국면 전환의 분수령을 마련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 “대통령은 입시 수사를 여러 번 해서 (전문가인) 내가 많이 배우는 상황.” (이주호 교육부총리) “모든 분야 지식에 통달한 전문가. 국무위원 가운데 AI에 대한 이해, 또 얼마나 중요한지 제대로 인식한 분은 대통령이 단연 발군”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등의 발언을 언급했다.
안 논설위원은 “입으로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는다’던 대통령이 중용한 인물의 면면을 보면 인사의 진짜 기준이 무엇이었는지 짐작하기 어렵지 않고, 그래서 더 실망스럽다. 이런 국무위원들이 계엄이란 위기 앞에서 어떻게 국무위원 노릇을 제대로 했겠나. 비단 윤 정부뿐 아니라 우리 사회 곳곳에 박힌 이런 리더십이 계엄만큼 공포스럽다”고 지적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