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국민 52.6% “국힘 집권여당 인정 못해”…59.4%”민주 與대체 가능”

싱글리스트 조회수  

국민 절반 이상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인한 직무정지 기간 동안 “국민의힘을 집권 여당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9일 나왔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여론조사 전문업체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8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5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국민의힘에 대해 ‘직무 정지 기간 동안 집권 여당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응답률이 52.6%로 집계됐다. ‘헌법재판소 판결 전까지는 여당이 맞다’는 응답률은 41.6%에 그쳤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전라에선 불인정 67.4%, 인정 23.8%로 집권 여당이 아니란 의견이 70%에 근접했다. 수도권인 인천·경기(60.9%, 35.1%)와 서울(54.8%, 38.1%)에서도 집권 여당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여론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부산·울산·경남(불인정 38.1%, 인정 53.1%)과 대구·경북(46.0%, 54.0%)에선 여전히 집권 여당이란 의견이 우세했다.

연령별로는 40대(불인정 68.2%, 인정 28.6%)와 50대(63.5%, 33.8%)에서 여당이 아니란 의견이, 70세 이상(39.0%, 49.4%)에선 여당이 맞다는 의견이 많아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나머지 연령대에선 오차범위 내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다.

이념별로는 진보층 응답자는 불인정 78.6%, 인정 17.6%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보수층에선 불인정 26.4%, 인정 67.5%로 국민의힘이 집권 여당이라는 의견이 더 많았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또한 ‘더불어민주당이 집권 여당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고 보는지’에 대해선 응답자 59.4%가 ‘대체할 수 있다’고, 39.1%가 ‘대체할 수 없다’고 답했다. 부·울·경 지역(대체 가능 41.4%, 대체 불가능 53.1%)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민주당이 여당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단 의견이 많았다.

광주·전라 지역은 대체 가능이 73.2%, 대체 불가능이 25.2%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어 대전·충청·세종(67.8%, 30.0%), 인천·경기(65.6%, 33.5%), 서울(58.8%, 41.2%), 대구·경북(57.1%, 42.9%) 순으로 높았다.

연령별로는 모든 연령대 내에서 과반 응답자가 민주당이 여당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고 답했다. 40대에선 76.2%로 특히 높게 나타났다. 이념별로 보면 대체 가능 의견은 진보층(가능 88.1%, 불가능 11.0%) 내에선 80%를 넘었고, 중도층(55.8%, 41.9%) 내에서도 과반을 넘겼다. 보수층(32.0%, 68.0%) 내에선 대체할 수 없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민주당이 집권 여당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이유로는 ‘국민의힘 지도부 사퇴 등 정상 임무 수행이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40.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원내 제1당이기 때문’(29.9%) ‘민주당의 집권 경험’(28.3%)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무선(97%)·유선(3%)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5.7%,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서 ±4.4%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싱글리스트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소득대체율 43% 소수점까지 접근…이달 회기 내 극적 합의 가능성도
  • "상속세 끝장토론하자"…엎치락뒤치락 지지율에 '중도 쟁탈전'
  • 조기대선 예열…휴가 준비하는 도지사
  • 독일마저 정부 돈 푸나…기재부 '재정 확대' 딜레마
  • "한강 피바다" 극단적 선동까지…경찰, 갑호비상 발령 검토
  • 췌장암 수술, 부울경 '1위'…"2차 병원, 2류 아냐"

[뉴스] 공감 뉴스

  • [청론직설] “신냉전 넘어 복합 합종연횡 시대…글로벌 협력 외연 확대해야”
  • ‘제3회 합천난연합회 전시회’ 성료
  • 김용찬 총장 이임식… “미래를 여는 공립대학으로 성장”
  • [천안시 소식]민생 회복 위해 3041억 원 신속집행 등
  • 웅진그룹, 프리드라이프 인수... 확장인가, 도박일까
  • ‘틀’밖의 소식을 찾아 나서는 김근중 작가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스타쉽 신인 키키, 오늘(24일) 프리 데뷔곡 'I DO ME' 음원 공개

    연예 

  • 2
    “기다리고 있었다” .. 기아, 단종됐던 스포츠 세단 부활 소식에 ‘환호’

    차·테크 

  • 3
    '당구여제' 김가영 2승 맹활약…‘벼랑 끝 기사회생’ 하나카드, PBA 팀리그 P.O 2연패 뒤 ‘귀중한 1승'

    스포츠 

  • 4
    “사상 첫 1만 명 돌파”… 의대 쏠림 현상에도 지원자 늘었다

    경제 

  • 5
    "나에게 특별한 곳" 'KBO 역수출 신화' 여전히 韓 잊지 못한다, MLB.com도 집중 조명

    스포츠 

[뉴스] 인기 뉴스

  • 소득대체율 43% 소수점까지 접근…이달 회기 내 극적 합의 가능성도
  • "상속세 끝장토론하자"…엎치락뒤치락 지지율에 '중도 쟁탈전'
  • 조기대선 예열…휴가 준비하는 도지사
  • 독일마저 정부 돈 푸나…기재부 '재정 확대' 딜레마
  • "한강 피바다" 극단적 선동까지…경찰, 갑호비상 발령 검토
  • 췌장암 수술, 부울경 '1위'…"2차 병원, 2류 아냐"

지금 뜨는 뉴스

  • 1
    “KS 냄새가 중요한 건 아니야…(강)민호 형 우승반지 끼면 인정” 강민호·손아섭 유쾌한 우정은 계속된다[MD타이난]

    스포츠 

  • 2
    용산구, 제106주년 3.1절 기념 태극기 거리 조성

    여행맛집 

  • 3
    용산구, 신학기 어린이 통학안전 총력 대응

    여행맛집 

  • 4
    별들에게 물어봐 최종회, 국내 최초 스페이스 오피스물 우주여행 종료

    연예 

  • 5
    보물섬 허준호, 첫 등장부터 압도적 연기로 독보적인 존재감 뽐내

    연예 

[뉴스] 추천 뉴스

  • [청론직설] “신냉전 넘어 복합 합종연횡 시대…글로벌 협력 외연 확대해야”
  • ‘제3회 합천난연합회 전시회’ 성료
  • 김용찬 총장 이임식… “미래를 여는 공립대학으로 성장”
  • [천안시 소식]민생 회복 위해 3041억 원 신속집행 등
  • 웅진그룹, 프리드라이프 인수... 확장인가, 도박일까
  • ‘틀’밖의 소식을 찾아 나서는 김근중 작가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월 50만원에 5시리즈 오너된다!” 국산차만큼 저렴해진 수입차 근황
  • “코란도가 이렇게 나와야지” 아빠들 지갑 싹 털릴 터프한 SUV 공개

추천 뉴스

  • 1
    스타쉽 신인 키키, 오늘(24일) 프리 데뷔곡 'I DO ME' 음원 공개

    연예 

  • 2
    “기다리고 있었다” .. 기아, 단종됐던 스포츠 세단 부활 소식에 ‘환호’

    차·테크 

  • 3
    '당구여제' 김가영 2승 맹활약…‘벼랑 끝 기사회생’ 하나카드, PBA 팀리그 P.O 2연패 뒤 ‘귀중한 1승'

    스포츠 

  • 4
    “사상 첫 1만 명 돌파”… 의대 쏠림 현상에도 지원자 늘었다

    경제 

  • 5
    "나에게 특별한 곳" 'KBO 역수출 신화' 여전히 韓 잊지 못한다, MLB.com도 집중 조명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KS 냄새가 중요한 건 아니야…(강)민호 형 우승반지 끼면 인정” 강민호·손아섭 유쾌한 우정은 계속된다[MD타이난]

    스포츠 

  • 2
    용산구, 제106주년 3.1절 기념 태극기 거리 조성

    여행맛집 

  • 3
    용산구, 신학기 어린이 통학안전 총력 대응

    여행맛집 

  • 4
    별들에게 물어봐 최종회, 국내 최초 스페이스 오피스물 우주여행 종료

    연예 

  • 5
    보물섬 허준호, 첫 등장부터 압도적 연기로 독보적인 존재감 뽐내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