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퍼블릭=김미희 기자]비상계엄 사태 후 현재의 탄핵 정국에 이르기까지 국내 증시를 비롯한 경제, 산업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금융위원회를 비롯한 국내 경제부처에서 선제적 대응을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8일 아시아경제 보도에 따르면 현재 금융위 고위공직자들은 외환위기 사태(1997년), 카드 대란(2003~2005년), 글로벌 경제위기(2008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2016년), 코로나19(2020년),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및 탄핵 정국(2024년)까지 한국 경제의 비상 상황을 모두 경험했다고 전했다.
국내 경제의 위기 한 순간 마다 역사의 현장에 자리했던 것이다.
이 매체 보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몇 시간이 지난 4일 새벽 0시께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로 들어갔다. 당시 문을 열어달라고 요청한 사람들은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국장, 과장, 사무관들이다. 곧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청사로 서둘러 들어갔다.
이들은 4일 새벽 4시까지 외환시장, 유동성 상황, 증시 개장, 증시안정펀드 및 채권시장안정펀드 준비 등을 검토하고 시장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이후 금융위는 기획재정부, 금융감독원 등과 함께 이날 오전 7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 오전 9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시작으로 약 2주 동안 대응 방안을 내놓았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 대통령 탄핵까지 중장기 외국인 자금의 움직임은 크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비상계엄 후인 4일에는 휴장 가능성이 크기도 했는데, 비상계엄이 해제된 후 장이 열렸다.
이 매체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외국계 투자은행(IB) 관계자들은 김 위원장에게 비상계엄 사태에도 시장이 정상적으로 열렸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 적어도 국내 금융시장은 정상적인 시스템 안에서 돌아간다는 신뢰를 보여줬다는 의미다.
다만 탄핵 정국 등 아직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안도하기에는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미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이탈은 가속화되고 있다. 당초 자금이탈 폭이 줄어들었다고는 하지만 앞으로가 더 큰 문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