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8일(현지 시간)로 예정된 12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하되 동결 신호를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이른바 ‘매파적 인하’다. 인플레이션 진전이 정체된 가운데 한 달 뒤 출범하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내놓을 관세정책 등에 따른 물가 상승 우려를 배제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16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0.25%포인트 금리를 인하하면서 새로운 경제전망요약(SEP)을 통해 내년 금리 인하 속도를 줄이겠다는 메시지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 매체 배런스도 “12월 회의에서 인하와 함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매파적) 선제 지침을 낼 것”이라며 “이는 연준이 내년 초 금리 인하를 중단할 것이라는 신호”라고 말했다.
|
9월 당시 연준은 점도표에서 기준금리 전망을 올해 말 4.4%, 내년 말 3.4%로 전망했다. 0.25%포인트씩 인하한다고 가정할 때 내년 중 네 차례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와 달리 ING의 수석 국제이코노미스트인 제임스 나이틀리는 내년 금리 인하 횟수가 3회에 그칠 것으로 봤다. 현재 선물시장은 내년 금리 인하 횟수가 두 차례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에서는 일단 12월 FOMC에서의 기준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9월 이후 미국 인플레이션의 진전이 멈췄지만 장기 관점에서는 개선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애틀랜타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가격이 잘 떨어지지 않는 품목을 따로 뽑아 산출하는 경직성(sticky)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9월 4.0%에서 11월 3.8%로 개선됐다. 인플레이션 진전 중단이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가격 압박이 예상보다 질기다는 신호에도 불구하고 물가지표에서 연준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다는 징후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연준 내 우려는 커지는 분위기다. 미셸 보먼 연준 이사와 로리 로건 댈러스연은 총재는 최근 연준의 정책 완화 행보가 지나친 금리 인하로 이어질 가능성을 경고하기도 했다. 물가 진전이 멈춘 것은 물론 고용 붕괴 우려도 사라지고 경제성장세도 좀처럼 줄지 않아서다. 11월 비농업 고용은 22만 7000명 늘어나 시장의 전망(21만 5000명)을 웃돌았다.
여기에다 내년 1월 이후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은 연준의 머릿속을 복잡하게 하는 변수다. 관세의 경우 수입물가 상승, 불법 이민자 추방은 임금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WSJ는 “트럼프의 근로자 추방과 관세정책은 인플레이션이 2% 목표로 가고 있다는 관료들의 확신을 떨어뜨리고 낙관적인 예측을 뒤집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