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퍼블릭=김미희 기자]국내 증시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첫 거래일인 16일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12거래일 만에 2,510선 위로 출발한 가운데 금융권도 안도하는 분위기다.
계엄령 선포와 해제 이후 증시와 외환시장에서 등을 돌렸던 외국인이 돌아오며 환율이 안정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아직 헌법재판소 심리와 사법당국의 수사 등이 남아 있어 정치적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큰 상황이지만 당장의 불확실성이 사라지면서 마지막까지 점검하는 분위기다.
특히 우리나라는 계엄 이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한 우려가 컸는데, 사실상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그리고 연이은 탄핵 정국까지 사실상 이에 대한 대응이 전무한 상태였다는 점에서 비상등을 켤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의 경우 더군다나 정치 불안이 길어지게 되면 원/달러 환율이 계속 오르고 대외 신인도가 떨어지면 외화 유동성과 자기자본비율, 결과적으로 이익 등 경영 실적이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태를 예의주시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금융권이 가장 걱정하는 문제는 원화 약세(원화 가치 하락)이다. 원/달러 환율은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일 1,440원대까지 치솟았다가 이후 다소 안정됐지만, 여전히 1,410∼1,430원을 오르내리며 크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환율이 크게 오르면 기업의 매입 외환(해외에서 받을 외화를 은행으로부터 선할인해 받는 여신) 물량이 늘어나고, 대기업 위주로 외화 예금을 빼내면서 은행의 외화 유동성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있다. 파생상품 관련 추가 담보 제공 요구(마진콜)도 유동성 부족의 잠재 요인이다.
아울러 외화 표시 자산이나 해외 출자금 가운데 신용 위험가중자산(RWA) 등이 늘어 금융그룹 전체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떨어질 수도 있다.
주요 금융지주들은 환율이 10원 높아지면 자기자본비율이 약 0.01∼0.02%포인트(p)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한다.
이에 이에 따라 주요 금융그룹은 지주사의 지휘 아래 이미 비상 점검·관리 체계를 가동한 상태다.
5대 금융지주의 관계자는 “3일 이후 비상 체계를 운영하며 금융시장 변동성 전반의 영향을 점검하고 유동성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고객 자산 위험 관리도 강화하고 고객·주주·직원 등과의 소통을 늘려 불안을 줄이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금융지주 관계자도 “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유동성과 자본 비율 관리 어려움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리스크 관리 그룹장 주관으로 ‘위기 대응협의회’를 계속 열고 있다”고 밝혔다.
외환·주식·채권 등 주요 금융시장 지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본점 주요 부서장이 참석, 부문별 위험 취약 부문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매일 오후 4시 기준으로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과 자기자본비율 영향을 공유하고 있다.
16일 서울경제 보도에 따르면 갈 곳을 잃고 대기하던 자금들도 불확실성이 일부 제거되면서 투자처를 찾아갈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시장에 불안감이 커지면서 5대 은행(신한·국민·하나·우리·NH농협)의 요구불예금은 비상계엄 선포 전인 이달 3일 600조 2615억 원에서 12일 616조 3379억 원으로 2주도 안 돼 16조 원 넘게 늘었다. 탄핵 직후인 4일에는 하루 만에 8조 원대나 급증했고 12일까지 단 하루를 제외하고는 매일 상승세를 이어왔다.
요구불예금은 수시 입출금으로 이자율은 연 0.1% 수준으로 매우 낮지만 언제든 꺼낼 수 있기 때문에 대기 자금으로 분류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