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퍼블릭=김미희 기자]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언 그리고 해제 이후 탄핵 국면까지 정국이 어지러운 가운데,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언 후 국회의 계엄 해제요구안 가결까지 단 155분이 걸린 이유로 사실상 계엄의 전 과정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전 국민에게 실시간 공유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를 본 시민들은 영등포구 등 국회의사당과 가까운 지역부터 국회로 속속 모여들었고 일부 시민들은 택시 등을 이용해 국회로 모일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4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서 국회의 계엄 해제요구안 가결까지 걸린 155분 동안 벌어진 계엄의 사실상 전 과정이 SNS 관계망을 타고 퍼졌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시민들이 스마트폰을 들고 국회로 몰려들며 국회 진입 통제 상황이나 국회로 날아드는 군 헬기, 완전무장한 계엄군이 국회로 진입하는 모습 등이 사진과 영상으로 삽시간에 단체 카카오톡방 등에 퍼진 것이다.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국회 내부 상황 역시 정치인들이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 방송을 하며 여과 없이 공개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월담’을 해 국회에 진입한 유튜브 라이브 방송은 238만명이 시청했다. 국회 본회의를 주재한 우원식 국회의장의 개인 유튜브 채널도 시청자 60만명을 넘겼다.
일각에선 국민들이 계엄의 전 과정을 지켜보면서 과거와 달리 큰 충돌 없이 계엄 해제가 이뤄질 수 있었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실제 계엄 과정에서 인터넷 사용도 폭증했다. 13일 머니투데이는 12일 모바일인덱스를 인용하면서 이달 첫주(2~8일) 유튜브 모바일 앱(안드로이드+iOS 기준) 시청시간은 4억6668만시간으로 전주 대비 4.3%(1983만시간) 늘었다. 주간 1인당 평균 이용시간은 706.58분으로, 모바일인덱스가 해당 데이터를 제공해 온 2021년 3월 이후 가장 길었다.
이 매체에 따르면 유튜브, SNS, 포털은 물론 각종 메신저와 전화·문자까지, 모든 소통을 뒷받침하는 통신 인프라는 계엄에도 정상 작동했다. 과거 이집트 아랍의 봄, 미얀마 군부 쿠데타 등 해외에서 계엄 세력은 통신망 차단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는데, 국내에선 달랐다.
현 상황에서 정부가 전국 통신망을 차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서울대 김백영 사회학과 교수는 “마지막 계엄인 45년 전은 모든 상황을 실시간 공유할 수 없으니 언론 통제가 용이했을 것”이라며 “이번 비상계엄 자체가 충분한 준비 하에 진행한 것인지도 의문이지만, 사태가 금세 일단락된 데는 전 국민이 지켜본 덕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