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전북 남원의 모 재단이 운영하는 요양 병원에서 고령의 환자가 장기간 복용할 경우 치매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약을 9개월여간 투약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제보자 K씨는 지난 10일 다른 언론사 취재 보도 내용과 함께 11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본인 주장을 다시 밝혔다. 지난 2017년 3월 B씨(당시 만 73세)가 교통사고로 인해 그 당시 전치 16주라는 진단과 함께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N요양병원’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B씨에겐 법적 보호자나 가족이 없어 먼 친척이었던 K씨가 모든 입원 절차를 대신 진행했다.
K씨 주장에 따르면 해당 요양병원에 B씨가 입원해 있던 중 그해 11월경 기억력 감퇴와 치매 증상이 급격히 나타나 치매 3급 판정을 받았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K씨는 N요양병원에 투약기록지를 요청했고 B씨에게 수면 유도제 ‘스틸렉스정’을 그해 3월부터 12월까지 꾸준히 복용케 한 것을 확인했다.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에 따르면 ‘스틸렉스정’은 치료기간을 최대 4주까지 권장하며 치료기간에 따라 남용과 의존성의 위험이 증가해 환자 상태에 대한 재평가 없이 최대 치료기간을 초과하면 안 된다.
특히 고령자에게 최소한의 유효 용량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일부 환자에게 기억상실증 및 기타 신경-정신 증상들이 예측할 수 없게 발생할 수 있다.
전북약사회 한 관계자는 “처방전이 필요한 전문 의약품으로 장기간 복용 시 기억력 감퇴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씨는 “내가 알기론 B씨는 입원 전까지 인지능력이나 기억력에 전혀 문제가 없었고 N요양병원에 입원 후 치매증상이 생겼다”며 “요양병원이 법적 보호자가 없는 환자를 쉽게 관리하려고 치매를 유발할 수 있는 약을 9개월여간 투여해 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또 요양병원이 2017년 3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4년 8월간 B씨를 방치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B씨가 요양병원 입원 당시 잇몸 문제로 이가 돌출되는 등 수술이 필요한 상태임에도 방치됐다”며 “요양병원에선 법적 보호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이 같은 사실을 통보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K씨의 주장에 대해 N요양병원 관계자는 “입원 당시 B씨에게 이미 인지능력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재 시간이 많이 지나 당시 병원장과 의료진이 대부분 교체된 상태라 추가 확인이 필요한 상태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B씨는 보호자가 없어 병원비가 미납된 상황이었다.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정확한 사실 확인 후 공식 입장을 내놓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K씨는 B씨의 법적 후견인을 신청한 상태로 이미 병원비를 납부하겠다는 각서에 서명했으며 논란이 되는 문제가 해결되면 병원비를 전액 완납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B씨는 전주 다른 병원으로 전원 조치돼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