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도 행정안전부 예산이 10일 국회 본회의에서 72조 839억원으로 확정됐다.
내년도 예산은 지방교부세 67조 385억원, 사업비 4조 6362억원, 기본경비·인건비 4092억 원으로 구성된다.
이 예산은 당초 행안부가 편성한 72조 872억원이 거의 그대로 통과됐다. 교부세도 67조 385억원으로 같았고, 사업비만 4조 6394억원에서 32억원 줄었다.
분야별 예산도 소폭 조정 외에는 거의 그대로 통과됐다.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관련 기반시설 조성 등을 지원, 생활인구 제도를 활성화, 빈집정비, 청년마을 조성 등 지역경제 분야에 1조 4300억원을 편성했다.
세부항목별로는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원, 빈집정비 지원에 100억원, 청년마을 조성 75억원, 지역발전활성화 53억원이 쓰인다.
기후변화로 인한 사전적 재난안전 인프라를 지속 구축과 재난 발생 시 주민 피해에 대한 복구 지원, 화재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지자체 CCTV 관제체계 인공지능기반으로 고도화 등 재난안전 분야에 1조 6681억원을 편성했다.
이 중 재해위험지역정비에 8803억원, 사유시설·공공시설 복구비 1200억원, 지능형 CCTV 관제체계 구축 51억원 등이 투입된다.

디지털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시스템 인프라 개선과 범정부 AI 활용 기반을 구축 등에도 8213억원이 잡혔다.
주요 쓰임처로는 중앙행정기관 등 노후장비통합 1627억원, 범정부 인공지능 공통기반 구현 54억원 등을 배정했다.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온기나눔 캠페인과 민선 지방자치 30주년 등 기념사업 등 사회통합 분야에 7169억원을 편성했다.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은 제주 4·3사건 보상금으로 2419억원이 투입된다.
정영준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국회 심사 과정에서 정부안 대비 예산이 일부 감액됐으나, 국민의 안전과 민생을 위한 정책은 흔들림 없이 추진되어야 한다”며 “2025년 연초부터 필요한 곳에 예산을 신속히 집행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 수립 등 집행 준비를 철저히 하고, 국민께서 정책의 성과를 조기에 체감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현정 기자 hyun9593@public25.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