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정보·방첩사령관, 계엄 전
김용현 지시 받고 ‘사전 조치’ 시행
김용현, 지휘관들에게 ‘북한 도발
가능성’ 여러 차례 강조해 온 듯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앞두고 군 당국이 사실상 ‘계엄 후속조치’를 준비했던 정황이 차례로 확인되고 있다.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이 북한 위협을 강조하며 주문했던 ‘인원 차출’ ‘대기 조치’ 등이 실은 계엄군 투입을 위한 포석이었다는 평가다.
문상호 국군정보사령부 사령관은 10일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서 김 장관이 지난 3일 오전 10~11시께 “해당 주 야간에 임무를 부여할 수 있으니 한 개 팀 정도를 편성해 대기 시키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대북 첩보 임무를 수행하는 정보사령부에 장관이 직접 인원 차출을 지시한 것이다. 다만 해당 시점에 김 장관이 관련 인원의 ‘임무’까지 언급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문 사령관에 따르면, 김 장관은 계엄 당일 추가 지시를 하달했다. 당일 야간에 임무를 줄 수 있으니 오후 9시께 편성 인원들을 정부과천청사 인근에 대기시키라는 내용이었다. 계엄 선포 1시간 반가량 전, 정보사 인원들이 ‘임무 대기’ 상태에 들어간 셈이다.
실제로 관련 인원들은 추후 문 사령관 지시로 계엄 선포 6분 만에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건물로 진입했고, 서버 외관 촬영 등을 진행했다.
다만 문 사령관이 선관위 투입 지시의 ‘목적’을 인지했는지는 불분명하다. 실제로 그는 ‘김 장관으로부터 부정선거 의혹 수사 필요성을 들은 적이 있느냐’는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처음 듣는 이야기”라며 헛웃음을 지었다.
국군방첩사령부 역시 계엄을 앞두고 ‘북한 변수’ 관련 대비태세를 강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경민 국군방첩사령부 참모장(육군 소장)은 국방위에서 여인형 방첩사령관이 지난 1일 북한 도발을 이유로 방첩사 주요 간부들에게 지시 대기를 하달했다고 밝혔다. 여 사령관은 계엄 선포 직후, 방첩사 수사단장에게 국회의원 체포·구금을 지시하고, 조지호 경찰청장,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 등에게 관련 인원의 위치 추적 등을 요청한 인물이다.
여 사령관은 계엄 당일이었던 지난 3일에는 ‘북한 오물·쓰레기 풍선 상황이 심각하다’며 대기 철저를 주문하기도 했다. 해당 지시가 여 사령관 자체 판단인지, 김 장관 지시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여 사령관은 이날 검찰 특별수사본부 소환에 응하느라 국방위에 참석하지 못했다.
다만 곽종근 특수전사령관도 계엄 당일 북한의 서울 도발 가능성을 크게 우려했던 것으로 확인된 만큼, 상당수 지휘관은 북한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웠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곽 사령관은 국방위에서 김 장관으로부터 계엄 선포 이틀 전인 지난 1일 국회, 민주당사, 선관위 3곳 등 총 6곳에 대한 확보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비상계엄이 아니고 당시 전방에서 어떤 상황이 생겨서 문제가 생기는 가능성이 더 염두가 되는 상황 인식이 더 컸다”고 말했다.
앞서 특수전사령부 소속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육군 대령)도 전날 기자회견에서 곽 사령관이 계엄 당일 북한의 서울 도발 가능성을 대단히 높게 평가하며 “좀 심각한 것 같다. TV를 보고 있으라고 했다”고 전한 바 있다.
이에 김 단장은 기존에 계획했던 훈련 일환으로 비상소집을 걸어 부대원 분장 검사, 사후 강평 등을 진행하며 TV 발표 내용을 기다렸다. 오후 10시가 다 되도록 이렇다 할 내용이 방송되지 않자, 김 단장은 부대원 퇴근을 명령했다.
하지만 10시 23분께 윤 대통령 담화가 방송되기 시작했고, 김 단장은 퇴근 중이던 부대원들을 다시 불러들였다. 김 단장과 부대원들은 김 장관의 지시를 받은 곽 사령관 명령에 따라 헬기를 타고 국회로 향했다.
북한 도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태세를 유지하던 특수부대가 계엄 선포 이후 국회로 급히 투입된 셈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