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한 지 5년이 채 되지 않은 신혼부부 수가 지난해 처음으로 ‘100만쌍’선이 무너졌다. 자녀를 낳는 신혼부부들은 줄고, 주택을 보유하는 신혼부부들은 늘었다.
통계청은 10일 ‘2023년 신혼부부통계’를 통해 혼인 신고한 지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신혼부부의 수가 지난해 97만4000쌍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보다 5.6% 감소한 수치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사상 최저’다.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전년보다 줄었다.
다만 혼인 1년 차 신혼부부가 늘어난 것은 희망적이다. 이들의 수는 19만1175쌍으로 전년보다 2.9% 증가했으며,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는 47.5%로 절반에 육박했다. 전년과 비교해서는 1.1%포인트(p) 늘었다. 이는 역대 최고치다. 반면 자녀가 있는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2018년 60%까지 육박했다가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난해엔 52.5%에 그쳤다.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 자녀 수는 0.63명으로 전년(0.65명)보다 0.02명 감소했다.
신혼부부들은 아이를 낳지 않는 대신 경제적 활동에 더욱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초혼 신혼부부 중 맞벌이 부부 비중은 58.2%로 전년보다 1%p 상승했다. 혼인 1년 차의 맞벌이 비중이 61.8%로 가장 높았는데, 혼인 연차가 높아질수록 맞벌이 비중이 줄어들어 결혼 5년 차에서는 54.9%를 나타냈다.
초혼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소득은 7265만원으로, 전년(6790만원)보다 6% 증가했다. 맞벌이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 소득은 8972만원이었고, 외벌이 부부는 5369만원이었다.
이들 중 한명이라도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신혼부부는 40.8%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0.3%p 증가한 것이다. 초혼 신혼부부의 주택 소유 비중은 2015~2018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2022년까지 감소했다. 주택 소유 비중이 증가세로 전환한 것은 2018년 이후 5년 만이다.
초혼 신혼부부 중 금융권 대출이 있는 이들의 비중은 87.8%로 전년보다 1.2%p 하락했다. 대출이 있는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2021년 이후 2년째 하락세다. 다만 대출 잔액의 중앙값은 1억7051만원으로 전년(1억6417만원)보다 634만원 늘었다.
통계청은 “고금리 영향으로 대출이 있는 신혼부부 비중은 하락했지만, 디딤돌·보금자리론 등 주택 관련 대출 지원 영향으로 고액 대출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