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와이어로프 제조·판매업체들의 장기간에 걸친 입찰 담합 행위를 적발하고, 총 13억 54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번 조치는 2009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약 13년간 진행된 34건의 민간 및 공공 분야 와이어로프 구매 입찰에서 발생한 불법 행위에 대한 것이다.
와이어로프는 조선업, 건설업, 해운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강력하고 유연한 밧줄로, 이 제품의 가격 담합은 시장의 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로 간주된다. 공정위에 따르면 고려제강, 만호제강, DSR제강 등 주요 와이어로프 업체들은 입찰에서 사전에 낙찰예정자를 합의하거나 투찰가격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담합을 진행해왔다.

구체적으로, 이들 업체는 6개 민간 회사가 발주한 21건의 입찰에서 특정 업체가 계속 낙찰받기로 합의하였으며, 대한석탄공사가 발주한 13건의 입찰에서는 홀수 해에는 만호가, 짝수 해에는 고려가 번갈아가며 낙찰받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합의는 카카오톡 등을 통해 들러리사에게 견적서를 전달하고, 들러리사는 이를 바탕으로 투찰하는 방식으로 실행되었다.
이번 사건은 철강선 가격 담합에 이어 철강 제품 관련 담합에 대한 추가 제재 사례로, 9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와이어로프 업체들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해온 불법적인 입찰 담합을 적발한 데 큰 의미가 있다.
공정위는 앞으로도 산업 전반에 걸쳐 철강 제품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법 위반 행위가 적발될 경우 엄정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먼컨슈머 = 임기준 기자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