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를 겨냥해 「자고 나면 바뀌는 한동훈의 말이 혼란과 불안 키운다」 사설을 냈다. 앞선 채상병 특검 문제부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여부까지, 계속되는 말바꿈을 놓고 “여당 대표의 말이 이렇게 가벼워서야 되겠는가”라고 비판했다.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질서 있는 퇴진론이 더 무질서하고 불확실성이 크다”며 “탄핵은 그래도 한번 가본 길”이라 했고 조선일보는 국민의힘이 탄핵소추안 2차 표결 때는 참여할 것이라 예상했다.
침묵 지킨 한동훈… 당내 갈등 격화에 탄핵 통과 가능성은
지난 9일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모두발언을 하지 않았다. 의원총회에서도 발언 없이 의원들 의견을 듣는 데 치중했다. ‘질서 있는 퇴진’의 구체적 방안을 묻는 기자들 질문에도 답하지 않았다. 경향신문은 10일자 3면 「당내 조율도 버거운 한동훈, ‘질서 있는 퇴진’ 방법에 묵묵부답」 기사에서 “한 대표가 대통령 퇴진 시기를 못 박지 못하는 데는 구체적 시점을 두고 당내 의견이 갈리기 때문”이라고 했다.
친한계는 1년 내 퇴진, 친윤계는 임기단축 개헌을 통한 2026년 퇴진에 무게를 두고 있다. 2026년 지방선거와 대통령 선거를 동시에 치르려는 계획이다. 동아일보는 10일자 1면 「친한 “탄핵보다 빠르게 하야” 친윤 “임기단축 개헌”… 또 충돌」 기사에서 “당내에선 ‘머리를 맞대도 모자랄 판에 서로 갈라져 싸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고 했다.
한편 조선일보는 10일 ‘퇴진 로드맵’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탄핵소추안 표결에도 나선다. 10일자 1면 「與, 오늘 ‘尹 질서있는 조기퇴진’ 로드맵 내놓는다」 기사에서 “한동훈 대표가 지난 8일 ‘질서 있는 조기 퇴진’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지 이틀 만에 당내 여론 수렴을 거쳐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는다”며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 2차 탄핵소추안 표결에서는 기존 ‘반대’ 당론을 유지하면서도 1차 표결 때와 달리 투표에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다”고 했다.
동아일보 “여당 대표의 말, 어떤 게 진심인지 알 수 없을 정도”
동아일보는 10일 「자고 나면 바뀌는 한동훈의 말이 혼란과 불안 키운다」 사설을 내고 “12·3 비상계엄 사태 수습을 놓고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의 말이 하루가 멀다 하고 달라지고 있다”며 “말이 너무 자주 바뀐 것은 물론이고 당내 의견 수렴 절차도 거치지 않은 때문인지 의원들과의 이견도 자주 표출되면서 혼란과 혼선의 당사자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했다.
한 대표가 “조속한 직무집행 정지가 필요하다”며 탄핵 찬성을 시사했다가 ‘질서 있는 조기 퇴진’을 언급하며 탄핵 반대로 선회한 것을 놓고 동아일보는 “대통령 탄핵이라는 중차대한 사안을 놓고 여당 대표의 말이 이렇게 가벼워서야 되겠는가”라고 했다.
한 대표가 꺼내든 ‘국무총리-여당 공동 국정 운영’에 대해선 “위헌과 월권 논란은 둘째치고 이런 중대한 방침을 최고위원회든 의원총회든 공식적인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지도 않은 채 불쑥 발표할 수 있는 건지도 의문”이라고 했다.
동아일보는 앞서 한 대표가 ‘채상병 특검’에 대해서도 “발의하겠다”고 했다가 선회한 것을 지적하며 “정치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니 어느 정도 입장이 달라질 순 있다. 그러나 40여 년 만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초유의 현직 대통령 내란죄 수사 등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정국의 한 축인 여당의 대표가 어떤 게 진심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말이 왔다 갔다 하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말의 신뢰’ 차원을 넘어 현 시국을 여당이 제대로 수습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직결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사상 초유의 ‘출국금지’ 대통령… “혼돈 끝낼 방법은 탄핵뿐”
지난 9일 윤석열 대통령은 내란 혐의로 ‘출국금지’됐다.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이다. 「‘피의자 윤석열’ 현직 대통령 첫 출국금지」(경향신문), 「尹 출국금지, 현직 대통령 사상 초유」(동아일보), 「尹대통령 출국금지」(조선일보), 「윤석열 출국금지… 현직 대통령 ‘사상 초유’」(한겨레) 등 10일자 아침신문 1면 대다수에 소식이 실렸다.
한겨레는 10일 「출국금지 현직 대통령, 혼돈 끝낼 방법은 탄핵뿐이다」 사설을 내며 “무정부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눈 윤 대통령은 법적으로 직무정지가 되지 않은 탓에 여전히 국군통수권을 갖고 있는 등 ‘대통령 아닌 대통령’”이라며 “대통령과 내각, 여당 어디에도 컨트롤타워가 없다. 이런 정국 불안정과 불확실성을 해소할 유일한 헌법적 방법은 탄핵뿐”이라고 했다.
경향신문도 「‘대통령 명예롭게 탈출시키자’는 여당, 제정신인가」 사설에서 “여당이 ‘질서 있는 퇴진’을 구실 삼지만, 시간벌기 술책임을 모르는 국민은 없다”며 “헌법에 따라 윤석열이 사퇴하거나 국회가 탄핵하는 것보다 질서 있는 방식이 있는가. 내란 수괴를 하루라도 빨리 직무에서 배제시키라는 게 국민 명령”이라고 했다.
탄핵에 찬성하는 취지의 칼럼은 보수성향 신문에서도 나온다. 서경호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칼럼에서 “2024년 12월 한국의 ‘덤 앤 더머’는 윤석열 대통령과 여당인 국민의힘”이라며 “거리의 민심이 임계점을 넘어 폭발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경찰 추산 15만 명, 주최 측 추산 100만 명이 참석한 (지난 주말)집회는 박근혜 촛불시위 때처럼 ‘일반 시민’의 잔치였다”고 했다.
서경호 위원은 “질서 있는 퇴진론이 더 무질서하고 불확실성이 크다. 경제는 불확실성을 싫어한다. 탄핵 불발 이후 처음 열린 어제 금융시장에서 주가와 원화 값이 폭락한 이유다. 탄핵의 길도 불확실성이 있지만 그래도 한번 가본 길”이라며 “도도한 탄핵의 파도가 몰려오고 있다. 허무하게 휩쓸리며 ‘덤 앤 더머’가 될 것인가, 담대하게 용기를 내서 험한 파도를 타고 갈 것인가. 여당이 마지막 초읽기에 몰렸다”고 했다.
전 헌법연구관 김진한 변호사도 중앙일보 칼럼에서 탄핵소추를 주장했다. 김 변호사는 “가까스로 지켜낸 공화국이 또다시 위태롭다. 헌법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혼란이 생긴 원인도, 그 혼란을 해결할 방법도 자명하다. 공화국을 배신한 대통령은 헌법이 정한 절차와 원칙에 따라 탄핵소추 의결되어야 한다. 말과 기술의 정치로 이를 피하고 넘어가려 하는 행위, 그리고 그것을 허용하는 태도야말로 공화국의 자해행위”라고 했다.
한국일보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즉각 하야를 촉구했다. 장인철 한국일보 수석논설위원은 「윤 대통령, 즉각 하야가 국익이다」 칼럼에서 “윤석열 정권에 대한 기대를 접고 싶지 않았던 중년의 한 사람으로서, 귀싸대기라도 한 대 후려치고 멱살 잡아 끌어내리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다. 도대체 들떠 돌아갔던 전 정권보다는 낫겠지 했던 소박한 기대마저 오만, 방자 끝에 이토록 얼빠진 짓으로 단숨에 뭉개 버리는 형편없는 사람이 어디 있단 말인가”라고 했다.
장인철 위원은 “지금은 이재명 대표의 대선 출마 견제라는 여당 당략보다 국정혼란의 최소화가 우선이다. ‘질서 있는 퇴진’이라는 무리한 시도를 접고, 즉각 거국내각 구성 등을 통한 국정 정상화에 매진하는 게 집권당으로서 최소한의 책무다. 그러려면 윤 대통령 퇴진은 일주일 후도 1개월 후도 아닌, 당장 이행돼야 한다. 그게 국익이자, 보수의 진정한 새출발을 도모할 지름길”이라고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