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1인 가구 비율이 치솟고 있다. 세 집 중 한 집은 1인 가구로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비중은 크게 증가했으며, 고령화 영향으로 70대 1인 가구가 29세 이하 청년층을 넘어섰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 통계로 보는 1인 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5.5%인 782만9000가구로 집계됐다. 1인 가구의 비중은 전년보다 1.0%포인트(p) 증가했고, 가구 중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3인 가구는 0.2%p, 4인 가구는 0.8%p 각각 감소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70세 이상이 19.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29세 이하 18.6%, 60대 17.3%, 30대 17.3% 순이었다. 통계청은 5년 마다 해오던 인구주택총조사를 2015년부터는 매년하고 있는데, 70세 이상 1인 가구 비중이 29세 이하를 앞지른 것은 2015년 이래 처음이다.
1인 가구로 생활한 기간은 5~10년 미만이 28.3%로 가장 많았고, 10~20년 미만(24.0%), 1~3년 미만(16.5%) 순이었다. 29세 이하 1인 가구의 61.7%는 혼자 산 기간이 3년 미만이었고, 40대 1인 가구의 53.5%는 혼자 산 기간이 10년 이상이다. 성별로는 남자는 본인의 학업·직장(33.1%)이 가장 많았고, 여자는 배우자의 사망(43.0%)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1인 가구로 생활하는 주된 이유는 배우자의 사망이 31.9%로 가장 많았고, 본인의 학업·직장(22.4%), 혼자 살고 싶어서(14.3%) 순이다. 연령대별 1인 가구 사유는 40대까지는 본인의 학업·직장(32.3%), 50대는 본인의 이혼(30.0%), 60대와 70대 이상은 배우자의 사망이 각각 42.6%, 73.7%으로 가장 많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학업이나 직장 때문에 청년층의 혼자사는 비중이 높았지만 고령화 영향으로 고령층 1인 가구가 청년층을 앞지른 상황”이라며 “여성과 남성의 수명 차이로 인해 배우자의 사망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1인 가구 중 31%는 주택소유…평균 주거면적 45.9㎡
지난해 1인 가구의 거처는 단독주택 40.1%, 아파트 34.9%, 연립·다세대 11.7% 순이었다.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에 비해 단독주택(11.7%p), 주택이외의 거처(5.7%p) 거주 비중이 높은 반면, 아파트(-18.2%p) 거주 비중은 낮았다. 지난해 1인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31.3%로 전체 가구 56.4%보다 25.1%p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주택 소유율은 70세 이상이 49.4%로 가장 높았고, 60대(43.4%), 50대(37.6%) 순이었다.
지난 2022년 1인 가구의 주거면적은 40㎡이하가 51.2%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60~85㎡(16.7%), 40~50㎡(13.6%) 등의 순이었다. 1인 가구의 평균 주거면적은 45.9㎡로 전체 가구 평균 주거면적 67.9㎡의 67.6% 수준이다. 40㎡이하 주거면적 거주 비중은 전년대비 감소한 반면, 40~135㎡ 주거면적 거주 비중은 전년대비 증가했다.
2022년 1인 가구가 원하는 주거지원 프로그램은 전세자금 대출 지원(30.0%), 월세 보조금 지원(22.5%), 장기 공공임대 주택공급(16.1%) 순이었다.
1인 가구 취업자 467.5만명…기초생보 수급 비중 6.5%p ↑
지난해 10월 취업자 1인 가구는 467만5000가구로 전년대비 12만 가구 증가했다. 취업자 1인 가구의 연령대별 비중은 50~64세가 26.5%로 가장 높았으며, 30대(23.3%), 15~29세(19.4%) 순이다. 연령대별 비중은 전년대비 65세 이상에서 1.4%p 증가했고, 15~29세에서 1.1%p 감소했다.
2023년 소득구간별 1인 가구 비중은 1000만원∼3000만원 미만이 41.5%로 가장 많았고, 3000만원∼5000만원 미만(26.1%), 1000만원 미만(14.1%) 순이다. 1인 가구는 전체 가구보다 5000만원 미만의 비중은 높은 반면, 5000만원 이상 비중은 낮았다. 1000만원 미만은 전체 가구(4.6%)보다 9.5%p 높고, 1000만∼3000만원 미만 비중은 전체 가구(20.1%)보다 21.4%p 높았다.
2023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 가구는 131만 4000가구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 가구의 73.5%였다. 전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 가구는 전년대비 6.5% 증가했고 전체 가구(5.2%)보다 1.3%p 높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1인 가구 뿐 아니라 전반적인 소득 수준은 증가하는 추세”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4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최근 1인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소비에 대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가구 중에 1인가구가 비중은 지난해 기준 35.5%로 전체 가구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1인가구 소득은 전체의 60% 중반 수준으로 70% 후반에서 90% 초반인 유럽에 비해 낮았다. 1인가구의 소비 중 주거비 비중은 20.2%로 전체 가구의 주거비 비중(14.8%)보다 크게 높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