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강우 기자 한국의 건설기업들이 건설정보모델링(BIM), 탈현장건설(OSC), 건설자동화 등 스마트건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비교적 규모가 작은 전문건설업에게 있어 스마트건설 도입의 문턱은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각종 지원을 통해 격차를 줄여야 한다는 연구기관의 주장이 나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4일 브리프 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점진적인 기술 도입을 가능케 하는 브릿징 기술개발 및 적용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금융지원과 제도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 점점 늘어가는 ‘스마트건설’ 비중… 다만 종합건설업 위주
건설업에서 스마트건설의 비중은 점점 늘어가는 추세다. 정부 또한 이를 지원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22년 스마트건설산업 육성을 위해 제도를 정비하고, 기업지원센터를 확대한다고 밝히는 등 지원계획을 밝힌 바 있다.
지난달 20일부터 22일까지 킨텍스에선 건설산업 패러다임 전환 및 스마트 건설기술 공유 등을 위한 ‘2024 스마트건설엑스포’가 개최됐으며, 239개 기업이 참여하고 727개 부스가 운영되는 등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를 기록하며 스마트건설기술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음이 확인됐다.
엑스포에서 소개된 6개 분야 핵심 기술은 △BIM △탈현장건설 △건설 자동화 △스마트 안전 △디지털센싱 △빅데이터 플랫폼 등이다.
특히 건설정보모델링(BIM) 분야 같은 경우 DL이앤씨는 ‘BIM 기반 토공·파일스마트 공사관리 솔루션’으로 엑스포에서 혁신상을 받았으며, 이 시스템을 통해 드론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사 진도관리가 가능하고, 3D BIM 기반 설계와 견적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종합건설사의 스마트건설 기술개발 소식은 계속 들려오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의 경우 국토교통부가 주최한 ‘2024년 스마트건설 챌린지’에서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결합한 ‘AIot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흙막이 계측관리 시스템’을 선보이며 혁신상을 수상했다. 현대엔지니어링 측은 시사위크에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며, 이 기술로 미계측구간 및 미시공구간에 대한 과학적 예측을 통해 보이지 않는 위험 요소에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 스마트건설, 종합건설과 전문건설의 격차
문제는 스마트건설 분야에 있어서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10년 후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계획에 대해 종합건설업은 45%, 전문건설업은 15%로 응답했다. 전문건설업은 통상적으로 종합건설회사의 외주를 받아 현장에서 직접 일하는 건설업종을 말한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하면, 종합건설업은 스마트건설 기술을 혁신으로 보고 있지만 인력 중심의 간단한 장비와 공구를 주로 사용하는 전문건설업은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문건설업의 기술개발 투자 현황은 그다지 좋지 않은 게 현실이다. 대한전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간 전문건설업 등록 업체 수는 4만7,497에서 5만4,517까지 7,020업체나 늘었지만, 특허등록은 2022년 1만2,339건에서 점차 오르다 2023년 8,397건으로 떨어졌다. 특히 2023년 기준 특허를 등록한 업체는 전문건설업으로 등록 돼있는 업체의 3.14%인 1,712업체밖에 되지 않는다.
이뿐만 아니라 2023년 실용신안과 환경신기술 등록 건수도 2020년에 비해 줄어들었으며, 건설신기술만 유일하게 동 기간 147건에서 178건으로 상승한 바 있다. 물론 건설신기술을 개발한 업체의 비중도 전체 업체 중 0.27%인 149업체에 지나지 않는다.
◇ 금융지원 비롯해 협업 시 인센티브도 고려해야
이 같은 현실을 두고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측은 전문건설업의 경우 드론, BIM, 인공지능(AI) 등 초기 기술도입 비용이 큰 건설기술보단 부분 자동화가 가능한 직업 단위 신기술의 개발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한 인력대체에 대한 우려로 기술도입을 기피하는 현상이 있는 만큼, 직업의 완전 대체보단 부정적인식을 완화하고, 점진적 도입을 가능케 하는 브릿징 기술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금융지원의 뒷받침도 강조했다. 이경태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정부가 인센티브와 같은 방식으로 금융지원이 들어간다면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이어 “특히 종합건설사에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결국 현장에서 업무를 진행하는 건 전문건설사이기 때문에, 전문건설사와 종합건설사가 협업해 사업을 진행하고, 또 현장에서 기술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 등의 일이 이뤄지면 정부 차원의 지원이 큰 힘이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발주 단계뿐만 아니라 시공단계에도 신기술을 도입했을 시 추가적인 메리트를 주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지금도 스마트건설 기술을 활용함에 있어서 발주를 할 때 가점을 주고 있다”며 “다만 현장의 상황이 다를 수 있어 도입하기로 한 신기술 적용되기 어려울 수 있지만 그럼에도 신기술을 잘 운용해 시공하는 게 확인된다면 이에 대한 메리트를 부여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전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