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와 자취를 시작한 직장인 A씨는 월급 3분의 1 이상을 월세로 내고 있다. 여기에 물가가 크게 오르며, 생활비 지출도 만만치 않다. 결국 A씨는 외식과 문화생활 등 기타 소비를 줄일 방법을 모색 중이다.
최근 1인 가구의 줄어든 씀씀이가 전체 소비 회복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지난 3일 ‘최근 2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징과 소비 성향 악화의 원인 등이 포함됐다.
1인가구 경제적 특징, “소득 낮은데 고용도 불안정”
먼저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와 비교해 매우 낮은 경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기준 1인 가구의 약 70%가 연소득 30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전체 가구의 평균 소득(3950만원)보다 34.0% 낮은 셈이다. 실제로 1인 가구의 순자산은 작년 기준 1, 2분위 비중이 각각 45.1%, 26.9%로, 대부분이 하위에 포진되어 있다.
또한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 단순·임시직 일자리 비중이 높아 고용안정도가 낮았다. 임시일용직이 많다보니 자연스레 무직 기간이 생겨, 무직 비율(42.0%)도 높게 나타났다.
주거비·생활 물가 상승으로…소비 줄이는 1인 가구
이렇듯 1인 가구의 경제 형편이 취약한 상황에서 다른 요인도 함께 작용했다. 가장 큰 이유는 ‘주거비 상승’이다. 실제로 1인 가구는 소득의 대부분을 주거비로 지출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1인 가구 중 월세 비중은 42.3%로 전체 가구의 약 2배 수준이었다. 특히 29세 이하의 경우 월세 비중이 64.1%에 달했다.
또 코로나19 이후 생활 물가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1인 가구의 경제는 더욱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이는 결국 1인 가구의 소비 축소로 이어졌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여타 가구보다 더 크게 악화되면서 경제 전체의 소비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를 위한 극복책으로 “전체 취약계층을 포괄하는 정책 틀 안에서 1인 가구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균형감 있게 고려하는 게 바람직해 보인다”며 아래와 같은 자료를 제시하기도 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