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프리존]이정우 기자= 1970년대 전반(1970∼1974년)에 태어난 이른바 ‘2차 베이비부머’ 세대는 4명 중 1명 꼴로 부모와 자녀를 모두 부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960∼1974년 출생한 전국 50∼64세 성인 남녀 1천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실시한 ‘돌봄 실태와 인식 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1970년대 전반에 태어난 이들은 부모·자녀 부양에 자신의 불안한 노후 걱정까지 ‘돌봄 삼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은퇴를 앞뒀거나 이미 은퇴한 1960년대생(55∼64세)보다 70년대 전반생(50∼54세·이하 70년대생)들이 건강 지수나 노후 준비, 돌봄 부담 등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두드러졌다.
조사 대상 70년대생의 76%는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고 있고, 42%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다고 답했다. 자녀 부양엔 월평균 107만원, 부모 부양엔 62만원을 지출하고 있었다.
자녀와 부모를 모두 부양하는 응답자는 25%로, 월평균 155만원을 부양에 지출하고 있다.
60년대생은 이미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아 43%가 자녀 부양(월평균 88만원), 44%가 부모 부양(월평균 73만원)을 하고 있었다. ‘이중 부양’ 비율은 70년대생보다 10%포인트 낮은 15%였다.
60년대생 이중 부양자의 지출 규모는 165만원으로 70년대생보다 다소 많았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부담스럽다’는 응답 비율은 60년대생 46%, 70년대생 57%였다. 부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응답자는 60년대생 33%, 70년대생 48%였다.
자신의 노후에 대한 불안도 70년대생이 더 컸다.
70년대생의 80%는 현재 일을 하고 있었고 이 중 일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는 절반이 넘는 56%였다. 60년대생은 70%가 일을 하고 있었고, 46%가 노동 지속에 불안감을 느꼈다.
연금을 받기 전까지 소득 공백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비율도 70년대생은 91%로, 81%가 느끼는 60년대생보다 많았다.
실제로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답한 70년대생은 50%에 그쳐 60년대생(62%)보다 적었다. 70년대생의 39%만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이 노후의 주요 소득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70년대생은 자기 신체·정신 건강 상태에 대해서도 각각 40%, 62%만 좋다고 답했다. 오히려 51%(신체)·75%(정신)가 좋다고 답한 60년대생보다 건강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졌다.
70년대생은 자신이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사는 기간(비건강 수명)도 10.5년에 달할 것으로 예상해 60년대생(9.0년)보다 비관적이었다.
60∼70년대생 모두 돌봄이 필요한 시기에 살기 원하는 장소로 절반 이상(52%)이 ‘살고 있던 집’을 꼽았다.
우리나라의 돌봄서비스가 부족하다고 답한 비율은 60년대생 78%, 70년대생 85%로 집계됐다.
김용익 돌봄과 미래 이사장은 “70년대생은 부모 부양과 자녀 교육, 자신의 노후에 대한 불안감까지 겹쳐 돌봄 부담을 과중하게 느끼고 있다”며 “돌봄 부담 정점에서의 부담감과 불안감이 건강 인식에도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현재의 정년제도가 유지된다면 1970년대 전반생은 10년 이내에 대부분 은퇴하게 된다. 또 고령화를 맞는 60년대생은 돌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번 조사 결과는 이중 부양 부담과 돌봄 수요 폭증을 고려한 고용·연금·요양보호 제도의 정책 연구와 사회적 논의가 시급한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