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프리존]이정우 기자=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올해 합계출산율이 지난해보다 오른 0.74명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말까지 이 흐름이 유지되면 합계출산율은 2015년 이후 9년 만에 반등하게 된다.

합계출산율은 한 여성이 가임기간(15~49세) 동안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저출산위의 이 같은 예측은 주형환 부위원장이 25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연 ‘K-ESG 얼라이언스 10차 회의’에서 한 강연을 통해 알려졌다.
26일 「연합뉴스」는 주 부위원장이 강연에서 “최근의 혼인과 출생아 수 증가 추세가 유지된다면 올해 합계출산율은 작년 0.72명보다 높은 0.74명 내외로 전망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를 통해 추산한 올해 출산율 예측치 0.68명이나 지난해 출산율 0.72명보다 높은 수치다.

국내 출산율은 2015년 1.24명을 기록한 뒤 계속 떨어졌다.
국회 예산정책처도 10월 펴낸 보고서에서 “올해 합계출산율은 2015년 이후 9년 만에 반등이 예상된다”며 저출산위와 같은 예측치를 내놓은 바 있다.
예산정책처는 “최근 지연된 출산의 회복 등 영향으로 올해는 전년(0.72명) 대비 0.2명 상승해 2028년까지 완만히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럼에도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초과하며 내국인 인구는 지속해서 감소할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두 기관이 올해 출산율 반등을 예측한 원인은 최근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과 8월 두 달 연속으로 출생아 수가 2만 명을 웃돌았고, 8월 혼인 건수도 1만7천527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0% 늘어났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