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해역의 해수면 상승 급증으로 범람 면적이 지자체 중 최대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지역적 연구개발과 모니터링이 미흡하고 관리주체도 모호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우승범 인하대 교수(인하대 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장)는 25일 오후 인하대 60주년 기념관 월천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인천해양발전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해양전담기구 설치와 실효적 운영방안으로 주제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우 교수는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사를 토대로 1989~2018년까지 30년 동안 인천 해수면은 3.08㎜(전체 평균 2.97㎜)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분석을 인용해 2100년까지 해수면이 1.36m 상승할 경우 인천 면적의 45.5%가 범람 위기를 맞을 것으로 예측했다.
우 교수는 “한반도 바다평균 표층 수온이 1968년 16.1도에서 2014년 17.3도로 상승했다”며 “이는 세계 평균 수온 상승률의 3배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서해 표층 수온은 1.18도 오르면서 서해에서 오징어와 멸치 등 예전 동해 쪽 어종이 발견된다고 그는 덧붙였다.
우 교수는 인천의 경우 해양관측망조차 부실하다고 평가했다.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관측망이 3개, 분기별로 측정하는 지자체 관측망이 32개소에 불과하다.
전남지역은 국가 관측망이 29곳, 실시간 앱으로 제공되는 지자체 관측망이 82곳에 이른다고 우 교수는 지적했다.
인천은 기초 해양데이터 부족으로 의사결정이 미뤄지고, 정책지원의 바탕인 과학적 근거가 약하다고 그는 평가했다.
인천은 민물과 해수가 만나는 한강하구를 두고 있어 더 많은 과학적 자료를 축적할 필요가 있는데도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그는 주장했다.
인하대 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 우 교수팀은 최근 인천해역의 염분변화와 부유사 변화에 대해 5개월가량 모니터링 보고서를 발표해 시선을 끌었다.
우 교수는 “인천은 해양 쓰레기와 해상풍력, 해양관광 등 서해안 공동현안의 리더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선 전문인력이 55명에 이르는 항공우주산학융합원처럼 해양전담기구 설립이 절실하다”고 피력했다.
/박정환 선임기자 hi21@incheonilbo.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