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전경 (사진=인가희갤러리 제공)](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1/CP-2022-0038/image-d509e6c9-cc60-479d-a787-0bc1f655ae18.jpeg)
인가희갤러리에서 구지언(b.1990)과 여운혜(b.1989)가 참여한 전시 《여우 나오는 꿈》이 열리고 있다.
전시에서는 구지언 작가의 회화 8점, 여운혜 작가의 설치 작품 6점을 볼 수 있다.
전시는 동아시아의 설화 및 신화에 인간도, 신도, 동물도 아닌 중간쯤의 존재로 등장하는 ‘여우’에 주목한다. 존재의 경계에 존재하는 여우와 같이 구지언은 중성의 신들과 혼종의 생명체들을, 여운혜는 까마귀와 버려진 사물들에 대한 작품을 선보인다.
![전시 전경 (사진=인가희갤러리 제공)](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1/CP-2022-0038/image-2b460793-99f7-47b7-96c7-7eabb57df1e8.jpeg)
구지언의 하이브리드(hybrid) 적 이미지는 이번 전시에서 ‘이질적인 것의 접합’과 ‘갈라진 적 없던 것들의 출현’으로 나타난다. 이질적인 것들의 접합은 ‘매고양이 신화’, ‘나리괴석도’, ‘사이버드래그 뷰티’ 연작, 그리고 「영감도깨비신」 등에서 나타난다.
![구지언, 사이버 드래그 뷰티-은란 (좌)/사이버 드래그뷰티-소오 (우), 2024, 나무판넬에 아크릴 채색, 90.9 x 72.7cm (사진=인가희갤러리 제공)](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1/CP-2022-0038/image-c13a8900-0e8c-42aa-81e7-0d89a59af044.jpeg)
여운혜는 도처에 널려 있는 보잘 것 없어 보이는 사물들이 어떻게 우리에게 질문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여운혜, 다그닥 다그닥 (내 얘기 좀 잘해 줄 수 없겠니), 2024, 말 놀이기구, 종이에 연필 (꾸미기), 각 60 x 70 x 40 cm (사진=인가희갤러리 제공)](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1/CP-2022-0038/image-978b397b-9eb5-413f-a7aa-c92908e97cbd.jpeg)
작가는 껍데기만 남아있는 회전목마의 말이나(「다그닥 다그닥 (내 얘기 좀 잘해 줄 수 없겠니)」 (2024)),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버려진 조각 (「머리, 입, 꼬리 (내 얘기 좀 잘해줄 수 없겠니)」 (2024))을 통해 계속해서 의미가 바뀌어온 사물들이 현재 우리 눈에는 텅 빈 껍데기로만 이해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전시 전경 (사진=인가희갤러리 제공)](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1/CP-2022-0038/image-6b406a47-0f1e-4ac1-9b44-7a75d52b26ed.jpeg)
더불어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까마귀가 불길하고 부정적인 동물이라고 여겨지는 상황에 도전하기도 한다.
![전시 포스터 (사진=인가희갤러리 제공)](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1/CP-2022-0038/image-6c341336-a664-4b5c-b5a6-511238e4bb8a.jpeg)
자난 14일 시작된 이번 전시는 11월 29일까지 용산구에 위치한 인가희갤러리에서 진행된다. 갤러리 오픈 시간은 수요일에서 토요일까지 13시에서 18시까지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