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를 ‘가짜’라고 주장하는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국제사회의 기후 대응이 일관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는 가운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를 향한 한국 언론의 주목도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 인력도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미디어오늘 취재에 따르면 지난 11일(현지시간) 아제르바이잔에서 열린 COP29 현장에 취재 인력을 보낸 언론사는 세계일보랑 한겨레뿐이다. 지난해 COP28엔 한겨레와 KBS가 갔는데 올해는 KBS가 빠져 현장을 취재하는 방송사가 사라졌다. 2021년 총회 현장을 취재했던 연합뉴스, 뉴스1 등 통신사도 이후 취재 인력을 보내지 않고 있다.
언론사별로 COP29에 대한 보도량 편차가 컸다. 지난 11일부터 19일까지 지면 기준 COP29 관련 한겨레는 14개, 경향신문과 세계일보는 12개 기사를 쓴 반면 조선일보는 4개, 중앙일보는 1개, 동아일보는 관련 기사를 내지 않았다. 경제신문에서도 매일경제 3개, 한국경제 2개 등 주목도가 낮았다.
일간지 환경팀 출신 A기자는 통화에서 “우선 사람들이 아직 관심이 없다. 기사를 써도 많이 읽히지 않는다”며 “비용을 써서 현장을 보내도 효율이 높지 않고 영어권 언론에 비해 취재 노하우도 많이 쌓여 있지 않다. 비용과 관심 모든 측면에서 현장에 취재 인력을 보낼 동기가 떨어진다”고 말했다.
지난 11일 세계기상기구(WMO) 발표에 따르면 올해 1~9월 지구의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1.54도 상승했다. 과학자들이 재앙을 막기 위해 제시했던 마지노선 ‘1.5도’를 넘어선 셈이다. 기후위기 심각성은 커지는데 언론의 주목도는 낮아 사람들 관심도 떨어지는 악순환이다.
김원상 기후솔루션 커뮤니케이션 담당은 “최근 COP이 연속으로 산유국에서 열리고 선진국에서 관심 있는 의제가 아니다 보니 관심이 떨어진 건 사실”이라며 “정부도 잘 챙기지 않는 상황에서 언론의 관심이 필요하다. COP 어젠다는 여러 국가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해마다 복잡해지고 있어 갈수록 면밀히 들여다 보려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COP의 이슈들이 한국과 거리가 먼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한국은 기후변화대응지수가 최하위권에 해당하는 등 ‘기후악당’으로 꼽히는 나라 중 하나다. 12일자 한겨레 「선진국이 내던 ‘기후재원’… 한국, 신규 부담국가로 4번째 꼽혀」 기사에 따르면 국제사회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필요한 ‘기후재원’에 돈을 댈 국가 후보군 중 한국은 ‘공여국’이 돼야 할 정당성이 네 번째로 큰 나라였다.
기후솔루션은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아제르바이잔, 프랑스 등 시민사회에서 한국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경제협력개발기구 의제였던 ‘공적금융의 화석연료 금융제한’을 한국이 반대한 것을 놓고 ‘스톱 토탈’, ‘350.org’, ‘르 브루퀴 코트’ 등의 프랑스 시민단체는 18일 “OECD 국가들이 기후위기 대응의 득점을 올리려고 노력 중인 가운데, 한국이 적극적으로 이를 막아서고 있다”고 했다.
일부 선진국만 갖고 있는 기후재원 공여국 지위를 어떻게 확대할지 여부는 COP29의 핵심 의제다. 지난해 열린 COP28에서 총회 참사 당사국들은 ‘화석연료로부터 멀어지는 전환’과 ‘손실과 피해 기금 출범’에 대해 합의한 바 있다. 주로 선진국이 개발도상국, 저개발국가에 배상하는 이 기금의 운영 방안과 함께 ‘신규 기후재원 조성’을 합의하는 것이 이번 COP29의 목표다.
현장에 취재 인력을 보낸 세계일보와 한겨레는 관련해 기획성으로 기사를 내고 있다. 한겨레는 ‘COP29 돈이 행동의 열쇠’ 기획의 일환으로 지난 11일에만 「구속력 잃어가는 기후대응… 추가재원 분담 합의해낼까」(1면), 「‘지구의 허파’ 파푸아뉴기니, 기후총회 왜 보이콧했나」(6면), 「참여국 늘었지만 의무 느슨… 협약 무용론까지」(6면), 「‘신규 재원’ 놓고 선진국-개도국 충돌 가능성」(6면) 등 4개 기사를 냈다.
세계일보도 지난 11일 ‘COP29, 기후위기 현장을 가다’ 기획을 시작해 「‘트럼프 탈환경 정책’에 기후재원 조성 비상」(1면), (8면), 「눈 사라진 설산에서 돌덩이 와르르… 마을은 폐허가 됐다」(8면) 등의 기사를 냈다. 이후에도 12일 「지구촌 평균기온 첫 1.5도 상승… 기상이변 피해 속출」(2면), 13일 (14면), 14일 「“석유·가스는 신의 선물”… 기후총회 찬물 끼얹은 의장국」 등 기사가 이어졌다.
환경팀 출신 A기자는 “한국은 동남아 국가들이 정책을 만들 때 참고하는 국가이기도 하고 기후 관련 세계적으로 지위나 역할이 생기는 단계인 것 같다”며 “내년 COP가 환경에 관심이 많다고 알려진 룰라 대통령이 있는 브라질에서 열린다. 이때 한국 언론이 얼마나 취재를 보내는지가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