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파경제=(시카고) 김지선 특파원] 엔비디아는 한때 공상 과학으로 밀려났던 또 다른 기술인 양자 컴퓨팅을 추구하기 위해 알파벳의 구글과 협력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발표된 두 회사의 성명에 따르면 구글의 양자 AI 사업부는 엔비디아의 이오스 슈퍼컴퓨터를 사용해 양자 구성 요소의 설계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이 컴퓨팅 분야는 양자역학을 활용해 오늘날의 반도체 기반 기술보다 훨씬 빠른 기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양자 프로세서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물리학을 시뮬레이션해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엔비디아는 이 기술이 구글이 한 가지 까다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반면, 아직 초기 단계로 다양한 기업들이 양자 컴퓨팅으로 돌파구를 마련하겠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대규모 상용 프로젝트가 준비되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

양자 프로세서가 더욱 강력해짐에 따라 실제 정보와 노이즈로 알려진 간섭을 구별하기가 점덤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엔비디아는 AI 가속기 칩으로 구동되는 거대한 컴퓨터를 제공하고 있다.
이 컴퓨터는 양자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환경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양자 칩은 작동하기 위해 극도로 낮은 온도로 냉각돼야 한다.
엔비디아는 “이러한 계산은 이전에 매우 비싸고 시간이 많이 소요됐으나 자사 시스템이 비용의 일부로 일주일이 걸렸던 결과를 몇 분 만에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구글 퀀텀 AI의 연구원 기프리 비달은 “상업적으로 유용한 양자 컴퓨터의 개발은 노이즈를 억제하면서 양자 하드웨어를 확장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며 “엔비디아 가속 컴퓨팅을 사용해 점점 더 큰 양자 칩 설계의 노이즈 영향을 탐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글의 노력은 엔비디아가 이번 주 애틀랜타에서 열리는 고성능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및 분석 국제 컨퍼런스인 SC24에서 발표하고 있는 여러 발표 중 하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