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 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로 제시했다. 지난 5월 발표한 전망치 3.2%에서 0.2%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보호무역 기조가 거세지면서 글로벌 교역이 위축된 게 경기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KIEP는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세계경제 전망’을 발표했다. KIEP는 미국, 인도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국가의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중국이 대표적이다. KIEP는 중국이 경기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복귀에 따른 추가 관세 도입과 대중 제재로 내년 성장률이 4.1%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 4.8%보다 0.7%p 낮은 수준이다.
반면 미국의 내년 성장률은 2.1%로 종전보다 0.4%포인트 높였다. 올해 성장률(2.8%)보다는 저조하지만 트럼프 정부의 감세 정책이 조기 시행되면 투자가 살아나 안정된 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게 KIEP의 예상이다.
이시욱 KIEP 원장은 “내년 세계경제 성장 흐름의 키워드는 ‘강화되는 트럼피즘(미국 우선주의), 심화하는 성장 격차’로 요약된다”며 “앞으로 정책의 전개 양상에 따라 미국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경쟁 대상국들의 성장세가 둔화하는 차별화 양상이 전개될 수 있다”고 말했다.
KIEP는 내년 경제 핵심 하방 요인으로 트럼프 2기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조치 시행 시점을 꼽았다. 트럼프 정부가 보호무역주의 조치를 조기 집행할 경우,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KIEP는 지적했다.
정영식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트럼프 정부 1기 때는 실제 관세 인상이 2018년 중순부터 진행됐다. (이는 집권 후) 13~16개월 시차를 두고 움직인 것”이라며 “트럼프 2기 때는 이보다 조금 더 빨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글로벌 경기침체 가능성도 거론했다. KIEP는 보고서에서 “첨단기술 수출통제 영역의 확대, 다른 주요 동맹국들과의 통상 마찰 발생으로 세계 교역과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신흥국들은 금융 불안과 함께 성장률이 하락하고,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 리스크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동맹국을 포함한 광범위한 수입 규제가 도입된다면 중국 및 주요국들의 보복조치로 세계 교역이 급락하고 글로벌 공급망에 심각한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며 “신흥국은 금융불안과 함께 성장률이 하락하고,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만일 미·중 양국의 전면적 디커플링이 진행된다면, 글로벌 무역 블록화가 가속되고 교역 급감과 세계경제 침체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당선이 촉발한 최근 강달러 현상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지다가 완화할 것으로 관측했다. 정 실장은 “트럼프 정책이 완전히 정립되기까지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까지 강달러 움직임이 지속되지만 실제로 정책이 진행되는 과정에선 (달러 강세가)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미국이 무역수지 개선을 하기 위해 달러 약세를 선호할 수 있다는 점은 강달러를 완화할 요인으로 꼽았다. 내년 미국 경기 성장세가 둔화하면 미 중앙은행(Fed)이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점도 이유로 들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