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포스트] 김민수 기자 = 디지털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10년 뒤 산업계의 고용 규모가 13.9%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2일 디지털 전환(자동화 및 AI)이 한국 산업과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개 업종에 걸친 1700개 사업체, 300명의 업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이 각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인력수요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분석됐다.
우선 제조업은 AI와 자동화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 서비스업은 업무 편의성 개선과 소비자 편익 증진을 위해 디지털 혁신 및 전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고용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디지털 전환 기술로는 AI를 꼽았으며, ‘이미 AI를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18.3%였다.
디지털 전환이 성공적으로 도입되어 활용될 경우 AI가 노동력을 대체하며 노동 수요 및 고용 감소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5년 뒤 8.5%, 10년 뒤에는 13.9%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특히 음식숙박업과 운수·물류업이 각각 2028년까지 14.7%, 2035년까지 21.9% 감소해 고용 감소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기술의 도입이 직무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인지적 특성을 가진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에서는 AI가 보완적 도움을 준다는 응답이 74.2%로 가장 높았다.
반면 ‘설치·정비·생산직’ 등 자동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직군에서는 ‘AI가 대체할 것’이라는 응답이 63.3%였다.
또한 디지털 전환과 활용이 활발하게 이뤄질 시 근로자의 평균 근무시간은 감소하고 평균 임금은 증가하는 등 노동의 질이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챗GPT 등 생성형 AI의 도입으로 노동력 대체 등 고용구조 변화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나 디지털 전환의 영향은 직업과 직무 유형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됐다.
숙련이 필요한 전문가와 대면 업무가 주인 서비스직 등은 대체 가능성이 적을 것(21~40%)으로 본 반면 사무종사자, 판매종사자, 단손노무 직군 등에서는 대체 가능성이 높을 것(61~80%)으로 내다봤다.
고용정보원 관계자는 “디지털 전환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여러 직군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산업 및 고용구조 변화에 대응한 제도 및 정책이 요구된다”며 “디지털 전환과정에 따른 고용 구조 변화에 대비해 직무 재교육 및 훈련 등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