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입주자 대표회의 회장으로 선출되고 아파트 관리소장이 3년간 10명이 바뀌었어요. 아파트 관리가 엉망이라 후임으로 온 소장들이 몇 개월을 채우지 못하고 모두 두 손 든 거죠”
지난 8일 남양주시의회에서 열린 ‘공동주택 운영관리 정상화를 위한 정책 포럼’에서 한 참석자가 한 얘기다.
이번 포럼은 한송연 시의원이 남양주시 공동주택 운영관리 문제를 공론화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행사에는 한송연 시의원과 남양주시 건축관리과장, 아파트바로세움 연구소 이경민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경민 대표는 관리업체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과도한 이윤 추구 ▲관리인력 운영의 불안정성 ▲비전문적 시설관리를 지적했다.
이 대표는 “관리업체가 필요 이상의 용역계약을 체결하거나 공사 용역 입찰 과정에서 리베이트와 수수료를 요구하는 사례가 있다. 이외에도 관리직원 이직률이 연간 30%에 달하는 등 단기 계약직 위주 채용으로 책임 의식이 결여돼 있다”라고 말했다.
개선 방향으로 ▲입주민 주도형 관리체계 확립 ▲관리업무의 아파트 귀속화 ▲투명성 및 책임성 강화 ▲공공 부문의 지원 정책 수립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공동주택관리의 핵심은 입주민이 실질적인 주체가 되어 지속 가능한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을 통해 관리업무가 아파트에 귀속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입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감독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장기수선충당금의 문제도 제기됐다.
남양주 와부읍 덕소 아이파크에 거주하는 참석자는 “장기수선계획 수립 시 비전문가의 판단으로 운영돼 노후화된 주택은 비용의 과다 지출이 발생하고 입주자대표회의와 관리주체의 불투명한 집행이 문제가 된다”며 “스마트 공동주택 관리프로그램 도입으로 관리 투명성을 보장하고 관련 자료를 보관, 공개해 민원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송연 시의원은 “남양주시의 아파트 단지가 173개에 달하는데 공통된 문제점은 관리주체의 불투명한 관리 운영과 이를 감시 감독할 시스템의 부재”라며 “시의 관리·감독에도 한계가 있어 이를 대체할 스마트 관리프로그램 도입으로 투명성 강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남양주=글·사진 박현기 기자 jcnews8090@incheonilbo.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