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강우 기자 지난해 기준 대한민국 인구의 약 3분의 1이 교통약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약자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 △어린이 등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뜻한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교통약자는 지난해 기준 1,586만명으로 총인구 5,133만명의 30.9%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2년 대비 약 18만명 (1.1%) 증가한 수치다.
◇ 자치구와 특별시 등에선 ‘버스’ 이용 가장 많아
18만명이 증가한 교통약자와 비교되는 것은 대한민국의 총인구수 감소다. 2023년의 총인구수는 2022년 대비 약 11만명(-0.2%) 감소했다.
이 같은 행태는 한국의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실제로 교통약자 1,586만명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973만명으로 전체의 61.3%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장애인 264만명(16.7%) △어린이 230만명(14.5%) △영유아 동반자 245만명(15.4%) △임산부 23만명(1.4%)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약자의 주 이동 교통수단은 대상별로 상이한 것으로 타나났다. 교통약자의 주 이용 교통수단을 조사한 결과, 자치구 내 이동시 버스(32.4%)를 이용하거나 휠체어 이용을 포함한 보행(29.8%)으로 주로 이동했다.
특별·광역·자치시 내에선 버스(42.6%)와 지하철(28.1%)로 이동했으며, 시외로 이동시 승용차(62.8%)와 기차(15.5%)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경우 모든 통행에서 바우처·임차택시(기초 15.0%, 광역 20.0%, 지역간 12.1%) 및 특별교통수단(기초 5.5%, 광역 6.7%, 지역간 3.1%)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시각장애인의 경우 버스와 지하철 이용률(기초 25%, 광역 35.1%)이 지체장애인(기초 52.5%, 광역 54.8%), 청각장애인(기초 68.9%, 광역 65.6%)의 버스·지하철 이용률에 비해 낮아 장애유형별에 따라 교통수단 이용에 차이를 보였다.
홍서준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연구원은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수도권과 대도시를 기준으로 지하철은 오히려 역을 찾기 쉽고 거의 정해진 시간과 정해진 장소에서 문이 열리는 등 이용에 수월함이 있다”며 “다만 버스의 경우 정류장을 제대로 찾는 것부터 어렵고, 버스가 실제로 서야 할 자리에 서지 않거나 실제 정류장으로 들어오고 있는 버스를 음성으로 제때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 등이 있어 이용에 불편함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소도시의 경우 버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된 경우가 많아 이와 같은 부분에 있어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전체 이동편의시설 기준적합 설치율 ‘증가세’
한편 지난해 기준 특별·광역시의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보행환경)를 대상으로 한 이동편의시설의 기준적합 설치율은 85.3%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21년 조사 때와 비교했을 때 3.8%p(퍼센트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세부적으로 나눠보면 △전자문서자안내판 △목적지표시 △휄체어승강설비 등 교통수단(탈 것)의 이동편의시설 기준적합 설치율은 88.3%로 2021년 대비 8%p 상승하는 등 모든 분야에서 상승했다.
△교통약자 화장실 △점자블록 △임산부 휴게시설 등 여객시설(건물 등) 이동편의시설 기준적합 설치율은 2021년 대비 2.8%p 상승한 82.8%를 기록해 마찬가지로 모든 부분에서 적합 설치율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자치구 내 이동과 특별·광역·자치시 내 이동에서 가장 많은 사용률을 보인 버스의 경우 교통수단(버스 차량)과 여객시설(버스정류장)의 이동편의시설 기준적합 설치율이 전부 2021년 대비 상승했다.
박정수 국토교통부 종합교통정책관은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관심으로 이동평의시설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다”며 “실태조사 결과를 전국 교통행정기관 및 사업자에게 제공해 교통행정기관 및 사업자에 제공해 개선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어 “이동 편의시설 지속 확충 노력과 함께, 교통약자 서비스를 제고할 수 있도록 현장 종사자·관리자 교육을 강화하고, 시청각 정보안내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