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당국이 대학 교재에서 고구려 역사를 중국의 ‘변방’ 역사로 서술한 것을 두고 역사 왜곡이 교묘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수 민족까지 하나로 보는 이른바 ‘중화민족 공동체’ 의식에 사상적 근거를 둔 이런 움직임이 이어지지 않도록 적극적인 대응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논란이 된 교재는 올해 3월 보급한 ‘중화민족 공동체 개론'(이하 개론)이다. 중국 내 소수민족 관련 정책이나 문제를 관할하는 국가민족사무위원회가 주축이 돼 2021년부터 집필진을 꾸렸으며 지난해 말 최종 발간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론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중화민족 공동체가 형성돼 온 과정을 설명하는 게 골자다. 중화민족 공동체는 주류 민족인 한족과 소수민족까지 모두 포함해 각 민족이 교류·동화를 거쳐 하나로 융합한 실체를 일컫는다. 중국 당국이 보는 민족 정책의 지향점과도 같다.
총 377쪽 분량의 개론 곳곳에는 고구려와 관련한 서술이 나오는데, 중화민족 공동체라는 관점에서 ‘변방 정권’으로 치부하고 중국 역사에 귀속시키려는 듯한 표현이 다수 발견된다.
예컨대 개론은 “(당나라 시기) 동북방에는 고구려, 발해 등 변방 정권이 연속해 있었다”며 “그들은 모두 한문·한자를 썼고 역대 중앙(중국) 왕조의 책봉을 받았다”고 서술하고 있다.
또 “중원과 동북 각 족군(族群) 문화의 영향을 받아 고구려의 세력이 장대해졌다”라거나 “고구려 고분 벽화에 선명한 중화문화의 각인이 다수 남아있다”고 적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중화민족 공동체 의식이 투영된 개론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역사 왜곡이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대응과 연구가 필수라는 게 학계 중론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