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 외딴섬에서 조난당한 등산객이 경찰과 마을주민의 도움으로 무사 구조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30일 경찰청 공식 유튜브 계정에 따르면 지난 9월 전남 신안 가거도에서 “늦은 밤 등산하다 길을 잃었는데 부상과 탈진으로 내려오기 힘들다”는 내용의 112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를 받고 수색에 나선 경찰은 난관에 부딪혔다. 등산객은 외지인으로 조난 위치를 특정하지 못했고, 그가 보낸 사진 2장만이 단서의 전부였다.
경찰은 마을 주민의 도움을 받아 조난 위치를 2곳으로 잡았다. 이후 등산로에서 약 300m 떨어진 급경사 지역에서 탈진한 등산객을 발견했다.

경찰은 구조용 밧줄 등을 이용해 등산객을 안전하게 구조했다.
해당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최선을 다해 구조하신 경찰분들 응원합니다”, “제발 안전하게 등산합시다”, “구조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등 반응을 보였다.

등산객이 몰리는 가을철은 유독 사고가 자주 난다.
국립공원공단 통계에 따르면 2020~2022년 3년간 등산 사고는 2만4302건 발생했다. 그중 10월이 3443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고 원인은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면서 발생하는 실족 사고가 34%로 최다였고, 이어 길을 잃는 조난(27%), 지병 등으로 인한 신체 질환(20%), 추락(4%), 고립(3%) 순이었다.
행정안전부는 등산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집을 나서기 전 등산 소요 시간과 대피소 위치, 날씨 등을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