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손지연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4・10 총선에서 108석을 얻으면서 21대에 이어 22대에도 ‘여소야대’ 정국을 맞게 됐다. ‘총선 참패’라는 오명이 당 전체를 뒤덮으며 위기의식과 쇄신의 요구가 빗발치자 총선참패 원인을 분석하고 혁신하고자 ‘총선백서 특별위원회(총선백서 특위)’를 구성했다.
29일 총선 202일만에 발간된 국민의힘 총선백서에 대해 여러 평가가 나오고 있다. 총선백서 특위는 전날(28일) 오전 당 지도부에 ‘마지막 기회’라는 제목의 백서를 보고하고 활동을 종료했다.
◇ 총선 이후 반년만에 발간된 총선백서
앞서 국민의힘이 4.10 총선에서 참패 하자 ‘영남 자민련(영남 지역정당)’, ‘경포당’(경기도 포기당), ‘사포당(40대 포기당)’ 등의 쓴소리가 나온 바 있다. 하지만 이런 성토에도 당 지도부는 위기수습에 대한 대책은 없고 “(당의 방향에 대해)의견 수렴하는 과정을 거칠 예정(윤재옥 당시 원내대표)”이라는 원론적인 답변만을 반복했다.
총선 직후 낙선된 당협위원장들은 지난 4월 19일 국회에서 열린 원외조직위원장 간담회에서 “통렬한 성찰과 쇄신이 없다면 미래가 없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재창당 수준의 혁신을 요청한다”고 성토하기까지 했다.
이에 지난 4월 22일 총선참패에 대한 원인분석과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총선백서TF 위원장으로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을 선정했다. 하지만 총선 이후 6개월이 넘으면서 총선백서는 총선참패에 대한 원인 규명을 뜻하기보다는 ‘한동훈 총선 패배 책임론’을 뜻하는 대명사처럼 여겨지게 됐다.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거치며 한동훈 당시 당대표 후보를 공격하는 공세용으로 항상 ‘총선백서’가 거론됐기 때문이다.
전당대회 당시 1차본이 완성돼 출간이 가능했던 총선백서는 책임론을 둘러싸고 논란이 가중되자 전당대회 이후 공개하게 됐다. 조정훈 총선백서 특위위원장은 “한동훈만 허락하면 전당대회 전 발간이 가능하다”고 했지만, 이미 백서는 ‘한동훈 책임론’의 상징이 되어 당내에서도 이를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한동훈 국민의힘 당 대표의 당선 이후 총선백서는 수정 작업이 이뤄졌다. 한 총선백서 관계자는 지난 8월경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많은 부분이 축소됐다”고 밝혔다. 조정훈 총선백서특위위원장은 지난 8월 22일 서범수 사무총장에게 검토를 마친 총선백서 최종본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제 발간 시점을 정하는 것은 ‘한동훈 지도부’의 몫이라는 의미였다.
특위 관계자는 “한동훈 지도부에서는 백서를 공개하는 것을 탐탁치 않아했고 이로 인해 발간이 미뤄진 것”이라고 했다. 이를 증명하듯 한 대표가 용산과 대립각을 더 강하게 세우자 당내 친윤(친윤석열)계 지지자들이 ‘총선백서를 발간하라’며 국민의힘 당사 앞에서 한 대표를 타도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총선 이후 202일 만에 공개된 총선백서에는 ‘제22대 총선 패배 원인’으로 △불안정한 당정관계로 국민적 신뢰 추락 △미완성의 시스템 공천 △절차적 문제와 확장성 부재를 야기한 비례대표 공천 △집권여당의 승부수 전략(공약) 부재 △조직구성 및 운영의 비효율성 △효과적인 홍보 콘텐츠 부재
△당의 철학과 비전 그리고 연속성 문제 △기능 못한 여의도 연구원 등 총 8가지를 제시했다.총선백서에서는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과 호주대사 임명, 시민사회수석 발언 논란, 의대 정원 정책, 대파 논란 등 연이은 이슈가 정권심판론에 불을 붙였지만 당도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함께 존재한다”며 “위의 이슈들에 대해 당은 대립각을 세우기보다 정부의 기조를 따라가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는 등 당정 사이에 건강하고 생산적인 긴장감이 조성되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총선백서 특위 관계자는 이날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순화된 내용으로 나왔는데도 (한동훈 지도부에서) 못 받아들이는 지금의 모습이 너무 안타깝다”며 “당헌당규 위반 등도 당사자가 특정되지 않도록 썼다”고 말했다.
그는 ‘당헌당규 위반이 한 대표가 했다는 것이냐’라는 물음에 “그렇다. (당시 장동혁) 사무총장과 여의도 연구원장, 그리고 국민의미래 공천관리위원회 이런 부분들”이라며 “(한 대표가) 대통령 탓만 하는 것은 심각한 리더십의 위기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