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에 파견된 북한군이 북한 김정은 체제의 핵심 전력이 아닐 가능성이 크며, 전투력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가 나왔다. 매체는 27일(현지시각) 이처럼 보도하며 파견된 북한군 병력의 상태와 그들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분석했다.
매체는 북한군 파견 병력 관련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들 병사가 대부분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보이는 젊은이들로 이뤄져 있어 군 복무 초기 단계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특히 이들의 체격이 왜소한 점을 지적하며, 이는 북한 내 영양실조 문제가 여전히 심각함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매체는 이러한 영양 결핍이 병력의 체력과 지속적인 전투력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봤다.
매체는 파견된 북한 병력의 군사 훈련 내용 또한 우크라이나 전장의 적합성에 한계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북한군이 남한의 산악지대를 염두에 둔 침공 훈련을 주로 받은 것으로 알려져 넓은 평원이 많은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기동성과 작전 수행 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북한군은 주로 산악 전투와 게릴라 전술에 능숙하며, 우크라이나 같은 개활지 전투에 대한 실전 경험은 거의 없다.
미국과 한국, 우크라이나의 정보 당국에 따르면 현재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군 병력은 약 3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러시아 군사 훈련장에서 목격됐으며, 일부는 이미 우크라이나 최전선 중 하나인 쿠르스크 지역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는 북한이 이 병력들을 러시아 전선에 투입해 내부 반응을 탐색하고, 이들의 전투 수행을 통해 추가 파병 여부를 검토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북한 국무위원장 김정은은 외부 정보가 철저히 통제된 북한 사회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파견 병력 중 사상자가 발생할 시 국내 정치적 반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이에 따라 북한군의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북한 내부에서 이를 문제 삼기 어려운 구조라고 매체는 분석했다. 북한은 오는 12월까지 총 1만 명의 병력을 러시아에 파병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은 북한군에 대해 ‘세계 최강’이라고 자부하지만, 실상 북한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주요 전쟁에 참전하지 않았기에 실전 경험이 거의 없는 상태다. 이번 파병을 통해 북한군의 전투력을 과시하려는 김정은의 의도가 있으나, 실전 경험의 부족과 체력적 한계가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매체는 분석했다.
한국 정보 당국은 파견된 일부 북한군 병력이 특수작전부대 소속일 가능성도 제기했다. 한국의 2022년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군은 약 20만 명의 특수부대 병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주요 군사 시설 파괴와 핵심 인사 암살 등을 위해 훈련받고 있다. 이러한 특수부대의 일부가 파견됐다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특수 임무 수행에 기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WSJ에 따르면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군사화된 국가 중 하나. 북한 인구 약 2600만 명 중 약 3분의 1이 사병 또는 예비군으로 군 복무를 수행하고 있다. 남성은 의무적으로 8~10년, 여성은 5년간 군 복무를 해야 한다. 이런 강력한 군사화 정책은 북한군 병력의 수적 확장을 가능하게 하지만, 현대화된 전투 능력을 갖추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북한군의 병력을 받아들인 것은 서방의 제재 속에서 인적 자원이 부족해진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매체는 러시아가 이러한 북한군의 파견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선에서의 병력 소모를 보충하고 일정 부분 북한과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의 파병은 김정은이 러시아와의 외교적 관계를 강화하면서, 국내외에 강경한 외교 정책을 이어가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매체는 이러한 전략이 국제 사회에서 북한의 입지를 확대하려는 김정은의 장기적 계획의 일부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