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LG전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0/CP-2023-0203/image-335f5a80-2cd1-4cbb-bbab-61c251478727.jpeg)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LG전자가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기술인 ‘Soft V2X’ 등 첨단 교통안전 통합 솔루션을 선보였다.
LG전자는 지난 21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글로벌 차량통신 연합체 ‘5GAA(5G Automotive Association)’ 회의에 참가해 클라우드 기반 교통안전 솔루션이다.
이 시스템은 보행자와 차량의 위치, 방향, 속도 등의 데이터를 익명화해 수집하고, 이를 상호 공유 및 분석해 위험이 예측되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를 제공한다.
Soft V2X는 도로에 설치된 스마트 RSU(노변기지국)와 연동하여 인근 도로 상황이나 교통신호 등 안전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율주행차량 및 배송로봇 등 미래 모빌리티 기기에도 탑재가 가능하다.
LG전자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이번 회의 기간 중 베를린 시내 도로에서 Soft V2X를 활용한 교통안전 통합 솔루션을 시연했다”면서 “참석자들이 직접 체험한 결과, 실제 환경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솔루션의 효과와 완성도에 대해 큰 호평을 받았다”고 전했다.
베를린 내 5.6km 도로에서 진행된 시연에서는 다양한 V2X 기술이 소개됐다.
예를 들어,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에서 보행자나 자전거가 빠르게 접근할 때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를 보내 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선보였다.
또 도로 작업자 존재 여부나 응급 차량 접근 상황에 대해서도 실시간 알림을 제공했다.
김학성 LG전자 CTO부문 C&M표준연구소 연구위원은 이번 회의에서 ‘V2X의 진화를 위해 나아가야 할 단계’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진행 중인 실증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V2X 기술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사진=LG전자)](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0/CP-2023-0203/image-bfa6a9d2-2f76-411f-a587-09bc9657185d.jpeg)
LG전자는 현재 서울, 강원도 강릉, 세종시 등에서 지역 특성에 맞춘 V2X 실증 사업을 진행 중이며, 최근에는 인천 송도에서도 민-관 협력 체험형 서비스 실증 사업을 시작했다.
이들 실증 사업에서는 V2X 기술을 통해 평균 0.05초 내에 실시간 정보를 분석하고 전달함으로써, 이용자의 사고 위험 노출 시간을 3.03초에서 1.93초로 크게 단축시켰다.
제영호 LG전자 CTO부문 C&M표준연구소장은 “Soft V2X를 포함해 교통안전 및 자율주행 관련 솔루션을 지속 연구·개발해 글로벌 시장을 이끄는 리더십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자료제공=LG전자」
댓글0